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개화기 생활사 서술 분석
Contents Analysis of Enlightenment Period Life Cycle in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03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Given history is a study on people who lived in the past: study on how they lived and what societies were like, life history is one important part which describes real and everyday life of humans and changes of those. Life history focuses on various experiences of people and emphasizes people themselves as a key subject at every moment in the history. However, current history textbooks rarely describe life history while textbooks are contradictorily a main tool for teaching life history in schools. This thesis looks into high school textbooks to see how they describe real life history, specifically digging into the parts mentioning the times of enlightenment in Korea. This research also aims to raise some points to be amended going forward throughout analyzing the descriptions of life history in the textbooks. First of all, this thesis analyzes the form and contents of life history descriptions in some sample text books. Checking not only the main contents of the textbooks but also those of supporting materials, we could check whether contents are well positioned properly inside the textbook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s. Lastly, this study checks the points to be corrected going forward on the back of analysis on life history description. Most of textbooks failed to clearly state the objectives of study and titles of each sections failed to fully imply the contents of the units. Also, the descriptions of life history were limited comparing to others. There have been some positive changes. For example, supporting materials of textbooks has become more various than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However, this still seems to have a long way to go to be utilized in schools. Lastly, in case of authorized textbooks, titles of each unit were in line with contents.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tools for teaching life history. Researches on teaching life history are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and textbooks for history hav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Going forward,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to figure out problems in text books and propose how life history should be described in text books.
more초록/요약
역사는 그 주체가 되는 ‘인간’의 삶에 관한 이야기이다. 따라서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모습이 배제된 역사는 죽은 이야기와 다름없다. 역사가 과거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다양한 삶과 나아가 그들이 만든 사회의 제반 모습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때, 생활사는 그 중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 모습과 생활양식 그리고 그 변화상을 추구하는 역사 연구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 내지는 인간의 경험을 일차적으로 중시하여 역사행위자로서의 인간의 주체성을 부각시키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역사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활사 학습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서는 사람들이 실제로 살아가는 모습을 거의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필자의 연구는 고등학교 근ㆍ현대사 교과서의 개화기 생활사를 중심으로 해당 단원을 밀도 있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앞으로 교과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교과서의 형식 즉, 서술체제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각 교과서별 본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문의 지문과 함께 각 교과서에 게재되어 있는 학습보조자료도 분석하여 학습 효과의 향상에 기여하도록 적절하게 선택 배치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행한 생활사 관련 서술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그 결과 크게 네 가지 문제점을 밝혀내었는데 학습목표와 단원명이 교과서 본문의 내용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정 항목에 치우쳐 내용상 한정적인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생활사 관련 서술 분량이 다른 분야에 비해 극히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 본문의 학습보조자료가 국정 교과서에 비해 눈에 띄게 늘어난 점은 긍정적인 변화라 할 수 있겠으나 일부분에서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6종이나 되는 검정 교과서는 각 교과서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단원명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서술 내용이나 그 속에 포함되는 항목이 거의 비슷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생활사 교재로서 역사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을 파악하여 교과서 내의 생활사 관련 서술을 보완하고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의 생활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중등 역사교육에서의 생활사 교육과 관련한 연구 성과는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판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모색하고 앞으로 생활사 관련 내용을 서술함에 있어 어느 정도의 비중을 가지고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물론 생활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e목차
1장 들어가며 = 1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 8
1. 분석 대상 교과서의 선정 = 8
2. 연구 범위의 설정 = 10
3. 연구 방법 = 13
3절 생활사에 대한 이해 = 15
1. 생활사 연구 동향 = 15
2. 생활사 분야 = 18
2장 생활사 관련 교과서 서술체제 분석 = 23
1절 목차와 분량 비교 분석 = 23
1. 목차 분석 = 23
2. 분량 분석 = 28
2절 교과서별 편술 체제 분석 = 31
3장 생활사 관련 교과서 본문 분석 = 34
1절 학습목표 분석 = 34
2절 교과서별 본문 분석 = 42
1. 금성교과서 = 42
2. 대한교과서 = 46
3. 두산교과서 = 51
4. 법문사 = 53
5. 중앙교과서 = 55
6. 천재교과서 = 56
4장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58
5장 나오며 = 66
표목차
표 1 <고등학교 검정 근현대사 교과서> = 8
표 2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비교> = 8
표 3 <근ㆍ현대사 교과서 단원 구조> = 11
표 4 <제7차 교육과정 한국 근ㆍ현대사 준거안> = 23
표 5 <교과서별 ‘4.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목차> = 24
표 6 <교과서별 ‘5.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 목차 = 25
표 7 <각 교과서의 중단원, 소단원별 서술 분량> = 28
표 8 <교과서별 학습보조자료> = 31
표 9 <4. 개항이후의 경제와 사회 - 교과서별 중단원 학습목표> = 36
표 10 <5.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 - 교과서별 중단원 학습목표> =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