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시규정에 따른 내부자 유형별 전략적 거래와 초과수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c behaviors and abnormal returns of insider

초록/요약

내부자거래란 회사의 내부자가 자신의 지위를 통하여 취득한 미공개의 중대한 정보, 즉 내부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회사의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를 말한다. 현행 증권거래법 제188조의2제1항에서는 공시 이전에 내부자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매매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공시규정에 따르면 내부자는 본인의 거래를 공시해야 하지만 주요주주와 5%이상 주주의 경우 매매시점과 공시시점 사이에 공시시차를 가질 수 있다. 조사결과 주요주주와 5%이상주주의 공시시차와 매매빈도가 최대주주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공시시차를 최대한 늦출 수 있는 월초에 매매시작거래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규모정보에 있어서 전략변수가 가장 높은 값을 갖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들이 전략적으로 행동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해주고 있다. 매수/매도거래의 경우 공시일 이후 초과수익이 나타났다. 그러나 공시일을 기준으로는 전략적거래가 초과수익에 미친 효과는 매수거래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매도거래에서는 오히려 음의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종거래를 제시하여 분석하여, 매도거래의 경우 정보거래자의 매매가 당일의 초과수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종거래의 존재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more

초록/요약

An insider trading is a insider of a company trading their stocks with non-public information. Under the current regulation in Korea, an insider trading is strongly prohibited before the public announcement. But the current regulation for insider trading in Korea gives inducements of strategic behaviors to insiders of specific companies. In Korean regulation, stock holders who have stocks either over 5 percent of company’s stocks or over 10 percent of company’s stocks can get duration between a trading date and an announcement date, which could stimulate strategic behaviors. Finding on inquiry, stock holders of both over 5 percent of company’s stocks and over 10 percent of company’s stocks showed relatively higher frequencies and longer durations. Specially, frequency at the beginning of the month was much higher and strategic variables in the middle size of information got the highest value. This result would be direct evidences for strategic behavior of insiders. CAR could be found on both buying and selling. But strategic behaviors didn’t influenced CAR after announcement date. Assuming a mimicking trading, some evidences could be found in selling behavior.

more

목차

Ⅰ. 서론 = 5
Ⅱ. 이론적 배경 = 10
2.1 선행연구 = 10
A. 내부자의 초과수익에 관한 연구 = 10
B. 추종거래에 관한 연구 = 12
C. 내부자의 전략적 행동에 대한 연구 = 12
2.2 지분 공시제도 = 13
A. 주식의 대량보유 및 변동보고 = 14
B. 주요주주의 소유주식상황보고(5% 보고) = 15
C. 최대주주 등의 소유주식 변동신고 = 17
2.3 내부자거래규제 = 17
A. 우리나라 내부자거래 규제의 연역 = 17
B. 내부자거래규제 = 18
C. 내부자거래의 규제이유 = 21
D. 내부자거래의 규제이론 = 23
Ⅲ. 정보거래자는 전략적거래를 하는가? = 25
3.1 정보거래자의 전략적거래에 대한 검증 = 25
3.2 중규모정보가설검증 = 32
Ⅳ. 정보거래자의 전략적거래는 성공하였는가? = 36
Ⅴ. 전략적거래의 실패 원인은 무엇인가? = 42
Ⅵ. 결론 = 47
참조문헌 = 49
표목차
표 2.1 ‘5%보고’와 ‘주요주주의의 주식소유상황 보고’의 세부내용 비교 = 16
표 3.1 시장 형태별 주요변수의 통계량 = 27
표 3.2 투자자 유형별 주요변수의 통계량 = 27
표 3.3 지분율수준별 주요변수의 통계량(시장형태별) = 28
표 3.4 지분율수준별 주요변수의 통계량(규모별) = 30
표 4.1 주요주주와 5%이상 주주 공시일 이후의 초과수익과 초과거래량(단위: %, 천주) = 36
표 4.2 식(4.1)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시장형태별 = 40
표 4.3 식(3.1)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매매주체별 = 41
표 5.1 듀레이션 기간동안의 일표본 t-test 결과 = 42
표 5.2 주요주주와 5%이상 주주의 초과수익과 초과거래량의 평균(%, 1주) = 44
표 5.3 식(5.1)의 회귀분석 결과 = 45
그림목차
그림 3.1 월중 기간에 따른 매매시작일의 빈도 평균 = 31
그림 3.2 변동지분율별 평균거래빈도 = 33
그림 3.3 변동지분율별 평균공시시차 = 34
그림 3.1 공시일의 AR(매수) = 37
그림 3.2 공시일 이후 CAR3(매수) = 37
그림 3.3 공시일의 AR(매도) = 38
그림 3.4 공시일 이후 CAR3(매도) = 3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