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이사회 구축에 관한 연구 : 사외이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Board of Directors : Focused on the Outsider's roles
- 주제(키워드) effective board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인석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박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03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사회는 최고경영자가 기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략적 의사결정이나 자원 배분과 같은 중요한 안건에 대해 승인권을 가진 최고의 의사결정기구로,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내부매커니즘이다. 따라서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에서는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고, 최고경영자의 전횡을 막을 수 있는 방안으로써 이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실증연구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이사회란 무엇인지, 기업성과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먼저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통제역할에 관심을 두고 독립적인 이사회를 효과적인 이사회로 보거나 지원역할과 관련하여 협력적인 이사회를 효과적인 이사회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사회의 역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사회와 같은 무형적인 자산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성과 측정치를 사용해야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외에도 최고경영자 유형이나 이사회 활동성을 통해서 이사회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이러한 영향들을 간과했기 때문에 이사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적인 이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사회의 두 가지 역할인 통제역할과 지원역할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과적인 이사회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효과적인 이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소유경영자 기업에서의 효과적인 이사회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최고경영자 유형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으며, 하위 위원회 수를 통해서 이사회 활동성의 조절효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회의 통제역할과 관련한 요건으로 고려한 사외이사 비율, 감사위원회 설치, 사외이사추천위원회 설치, 최고경영자 겸직여부, 이사회 지원역할과 관련된 외부연결망의 크기, 외부연결망의 다양성, 이사회 회의 수가 기업성과로 고려한 총자산이익률(ROA), 총자산회전률(TOA), 그리고 시장부가가치(MVA)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소유경영인 여부가 이사회의 지원역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사회 활동성과 관련하여 하위 위원회 수가 이사회의 통제 및 지원역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2003-2007년 동안 국내의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표본을 선택하기 위한 여러 요건을 충족하는 1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수는 총 790개였으며(158*5), 가설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가설 검증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효과적인 이사회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건으로 고려한 사외이사 비율은 총자산회전률과 시장부가가치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외부연결망의 다양성은 총자산이익률과, 외부연결망의 크기는 총자산회전률과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이사회는 통제역할과 지원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이사회임을 주장한 본 연구를 실증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둘째, 이사회의 활동성으로 고려한 하위 위원회 수는 사외이사 비율이 시장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이사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이사회의 참여 기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소유경영인 여부는 이사회의 지원역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관계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이사회가 달라질 것이라는 주장을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more초록/요약
A Board of director has power either to approve or to disapprove CEO's important decisions for strategic management and resource allocation, so that it represents an internal machinism for shareholders' profits. Therefore many studi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have focused the board of directors as an answer not only to maximize corporate performance but also to intervene CEO's moral hazard. However, in spite of those studies, the questions about BOD such as 'what is the most efficient BOD structure?' and 'dose BOD really help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still remain. The reasons why those questions remai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most of existing studies on BOD have just focused on a one-sided role as a controller or collaborator. Secondly, those studies have used only tangible measurement to set out corporate performance although BOD is intangible. Lastly, those studies have ignored that CEO type and board activity influence a role of BOD, so that those cannot answer the previously suggested questions. This study noticed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and considered both of BOD roles as a controller and a collaborator, and tried to figure out a structure of effective BOD. This study shows what factors of BOD are needed to be more effective and also how those factors affect firm performance. In order to research this thesis, I used CEO type and BOD activ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subordinate committees as modera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lation between BOD role as a controller and firm performance. BOD role as a controller was measured by outsider ratio, audit committee, and outside director nominating committee, CEO duality, size of external network, diversity of external network and the number of BOD meeting. Firm performance was measured by ROA, TOA, MVA. Second, it aims to verify whether CEO's ownership intensify the relation between a role of BOD as a collaborator and firm performance. Third, it aims to verify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subordinate committees related to BOD activity intensify the relation between a role of BOD as a controller and collaborator and firm performance. For empirical study, this study researched 158 of firms listed in KOSPI from 2003 to 2007 so that The number of total sample is 790(158*5). And the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sider ratio which was considered a necessary factor for effective BOD was positively related to TOA and MVA. And also diversity of external network and ROA showed positive relation while size of external network and TOA showed positive relation. This result empirically supported the argument of this study that an effective BOD had to have both roles such as a controller and a collaborator. Second, increasing the number of subordinate committee as an index for BOD activity intensified the relation between outsider ratio and MVA. That means more chances that a BOD participate in management are needed to increase BOD's effectiveness. Third, CEO's ownership didn't affect the relation between a role of BOD and firm performance significantly. Therefore, this study didn't verified that CEO type changed structure of effective BOD.
more목차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 목적 = 4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범위 = 6
1. 연구의 범위 = 6
2. 연구의 방법 = 7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 9
제 1 절 이사회의 역할 = 9
1. 기업지배구조와 이사회 = 9
2. 이사회 역할의 종류 = 13
3. 이사회의 통제역할 = 16
4. 이사회의 지원역할 = 22
제 2 절 이사회의 유형 = 29
1. 독립적인 이사회 = 29
2. 협력적인 이사회 = 31
3. 효과적인 이사회 = 33
제 3 절 기업성과 = 38
1. 통제역할과 기업성과 = 38
2. 지원역할과 기업성과 = 41
3. 기업성과의 종류 = 42
제 4 절 이사회의 역할에 대한 조절효과 = 45
1. 최고경영자 유형 = 45
2. 이사회의 활동성 = 49
제 3 장 연구 및 분석방법 = 51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 51
1. 연구모형 = 51
2. 가설의 설정 = 52
제 2 절 조사설계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 58
1. 조사목적 = 58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방법 = 58
제 3 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 63
1. 표본의 선정 = 63
2. 표본의 특성 = 65
제 4 장 실증분석의 결과 = 67
제 1 절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 67
제 2 절 가설검증 = 71
1. 가설1과 2의 검증 = 73
2. 가설3과 4의 검증 = 84
제 5 장 결론 = 93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93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 98
참고문헌 = 102
표목차
표 2-1 기업의 지배구조 = 11
표 2-2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구분 기준 = 18
표 3-1 종속, 독립 및 조절변수의 기술통계량 = 65
표 3-2 표본기업의 산업별 분류 = 66
표 4-1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68
표 4-2 이사회의 통제 및 지원역할과 총자산이익률 검증 결과 = 75
표 4-3 이사회의 통제 및 지원역할과 총자산회전률 검증 결과 = 78
표 4-4 이사회의 통제 및 지원역할과 시장부가가치 검증 결과 = 80
표 4-5 최고경영자 유형과 이사회 활동성의 조절효과(총자산이익률) = 85
표 4-6 최고경영자 유형과 이사회 활동성의 조절효과(총자산회전률) = 86
표 4-7 최고경영자 유형과 이사회 활동성의 조절효과(사장부가가치) = 88
표 4-8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 92
그림목차
그림 2-1 Tricker(1994)의 사외이사 역할 분류 = 34
그림 2-2 Pye 와 Camm(2003)의 사외이사 유형 분류 = 36
그림 2-3 이사회 역할에 기반한 이사회 유형 = 37
그림 3-1 연구 모형 =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