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개인-직무 적합성(person-job fit)이 직무스트레스와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the Employees' Job Attitudes and Job Stress

초록/요약

개인에게 있어서 일은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도구이자 목적으로써 중요성을 가지고 있기에 일을 떠나서 개인은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평생 직장에서 평생 직업으로 일에 대한 개념이 바뀌면서 자신이 수행하는 일 즉, 직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들이 자신의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판단 기준 또한 회사의 명성에서 자신이 하게 될 일이 어떤 것인지를 고려하게 되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인력의 채용 및 인력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직무의 특성과 개인의 특성간의 적합성을 고려하고 있다. 개인-직무 적합성은 직무와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간에 상호유기적인 조화관계를 맺기 때문에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행위가 나타날 수 있기에, 보다 높은 성과를 위해서 실무적으로도 개인-직무 적합성을 많이 고려하고 있고 있다. 그러나 개인-직무 적합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개인-직무 적합성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지만,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개인-직무 적합성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합성을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개인-직무 적합성을 측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여전히 논란이 존재한다는 의미로, 보다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개인-직무 적합성 측정방식을 고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스트레스를 통해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개인-직무 적합성을 측정함에 있어서의 논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PI(Predictive Index)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기제로써 상사 및 동료의 사회적 지원을 조절변수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종업원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PI가 개인-직무 적합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한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설문조사법을 채택하였으며, 약 4주 간에 걸쳐 다국적 기업과 국내 대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총 400부가 배포되었고 그 중 248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61.5%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기록내용이 누락되었거나 또는 중심화 경향이 두드러지게 보인 응답지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회수된 설문지를 모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판별타당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가설 검증 결과 요약이다. 첫째, 개인-직무 적합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PI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PI를 통해서 개인-직무 적합성을 측정하였고, 이렇게 측정한 결과는 문헌 연구를 통해서 설정한 가설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관계를 보였다. 즉, 종업원이 개인-직무 적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원인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이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원의 특성상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인-직무 적합성의 결과변수로 고려한 직무스트레스가 종업원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심리적 안정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못하였다.

more

초록/요약

Although the fit between employee's and job characteristics has been emphasized extensively, little research has focused upon the mechanism of relationships person-job fit and employees' job attitud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the job stress. Secondly,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employees' job attitudes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job stress and employees' job attitud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hypothesis was set up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pass through primary preliminary investigation toward hypothesis and analyzed data by survey research.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are surveyed to employees at the multinational companies and domestic large enterprises during the period of August 1th, 2008 to August 31th, 2008. Person-job fit was measured by PI(Predictive Index) and a questionnaire abou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been made up for the practical approach.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48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erson-job fit was relate to lower job stress.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attitud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job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level of service deliver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 목적 = 3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범위 = 5
1. 연구의 범위 = 5
2. 연구의 방법 = 6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 7
제 1 절 개인-직무 적합성 = 7
1. 적합성의 의미와 측정 = 7
2. 개인-직무 적합성의 정의 개념 = 12
3. 개인-직무 적합성의 특성 = 21
4. 개인-직무 적합성의 측정 = 25
제 2 절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 33
1. 직무스트레스 = 33
2. 직무만족 = 36
3. 조직몰입 = 44
4. 심리적 안정 = 49
제 3 절 사회적 지원 = 51
1. 사회적 지원의 개념 = 51
2. 사회적 지원의 특성 = 57
3.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63
제 3 장 연구 및 분석방법 = 65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 65
1. 연구모형 = 65
2. 가설의 설정 = 66
제 2 절 조사설계 = 69
1. 조사목적 = 69
2. 조사 대상자의 선정 = 69
3. 조사 기간 및 방법 = 69
제 3 절 설문지의 구성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 70
1. 설문지 구성 = 70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 72
3.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 76
제 4 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 86
제 4 장 실증분석의 결과 = 89
제 1 절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 89
제 2 절 가설검증 = 92
1. 가설1의 검증 = 92
2. 가설2의 검증 = 94
3. 가설3의 검증 = 98
제 5 장 결론 = 103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103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 106
참고문헌 = 108
설문지 = 122
표목차
표 2-1 직무 스트레스의 정의 = 34
표 2-2 직무만족의 정의 = 38
표 2-3 Loke(1976)의 직무만족 요인 = 42
표 2-4 조직몰입의 정의 = 47
표 2-5 사회적 지원에 대한 정의 = 53
표 2-6 사회적 지원 개념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 = 56
표 3-1 설문지 항목 및 출처 = 70
표 3-2 Nunnally(1978)의 측정타당화 검증과정 = 77
표 3-3 수정된 개별항목 대 전체항목간 상관관계 = 78
표 3-4 각 설문항목의 Alpha if Item Deleted 통계치 = 79
표 3-5 단일차원성 검증 = 81
표 3-6 신뢰성 검증 = 82
표 3-7 결과, 종속변수 및 조절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 84
표 3-8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88
표 4-1 관련변수간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 91
표 4-2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스트레스 = 93
표 4-3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95
표 4-4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 99
표 4-5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 100
표 4-6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정 = 101
표 4-7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 102
그림목차
그림 2-1 개인-직무 적합성의 연구 방향 = 22
그림 3-1 연구 모형 = 65
그림 3-2 PI의 측정 방법 =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