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소설 이미지의 수사학적 연구
A Rhetorical Study on the Images of Kim Seung-ok's Novel
- 주제(키워드) 김승옥 , 수사학 , 형상화 , 의사소통 , 근대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우찬제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499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가 텍스트에서 어떠한 효과를 내는지 밝히고, 이미지를 통해 도시 '서울'을 재현함으로써 근대에 대한 비판적인 작가의 태도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가가 이미지를 선택하여 텍스트 안에 형상화한다면, 독자에 의해 이미지는 다양한 측면이 부각될 수 있다. 문학 이미지는 독자의 내부적 표상작용을 통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독자에 의해 상상되어야 한다. 작가는 텍스트 안에 의도하는 바를 숨겨둠으로써,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케 한다. 이미지를 활용하여 독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향하는 김승옥의 소설 텍스트는 끊임없이 의미를 재구성하는 독자에게 소통의 수사학으로 나아가도록 유도한다. 작가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방식에 있어 비유 방법 가운데 하나인 은유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비유는 장식적이라기보다는 서사를 관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주목하게 될 이미지는 독자가 독서행위를 수행해나가면서 느낄 수 있는 이미지, 즉 빛과 어둠 이미지이다. Ⅱ장에서는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빛과 어둠 이미지를 검토할 때, 축자적 의미로의 접근으로는 수사적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텍스트에서 창조되는 시간이나 공간 및 계절과 같은 상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빛'이, 무의미한 반복이 아닌, 독자와의 의사소통을 지향하는 선택된 이미지임을 증명해 나갈 것이다. 한편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중심 이미지의 또 하나인 어둠 이미지는 공간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의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텍스트의 세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수사적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김승옥 소설 텍스트의 중심적 이미지가 서사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양상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양상은 작가 김승옥이 도시 '서울'을 재현함에 있어 더욱 두드러짐을 파악할 수 있다. 소설 텍스트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빛과 어둠 이미지는 혼재양상을 보이며 당시의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을 감각적으로 재현한다. 김승옥의 소설 텍스트에서 도시 '서울'의 풍경은 보이는 현실에 대한 단순한 재현이라기보다 작가의 시선에 의한 감각적인 재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빛과 어둠 이미지를 통해 등장인물의 심리상태뿐 아니라 근대화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살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용된 빛 이미지는 근대화된 도시 '서울'에서 불안을 겪는 도시인을 형상화하는데 일조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근대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태도를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김승옥 소설 텍스트에서 살펴본 중심적 이미지는 도시 '서울'을 재현함으로써 은폐된 억압적 현실을 인식할 수 있는 상징적인 의미로 드러난다. 본고는 소설 텍스트 분석에서 형상화되는 이미지를 통해 작가의 특징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한 시도로 서사와의 관련성을 드러내고자 했다는 측면에서 나름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images that repeatedly appear in the text of Kim Seung-ok' novel.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images on the text and examine the author's critical perspective by reproducing 'Seoul' through the images. If an author chooses specific images and gives shape to the images in texts, the images can be delivered in many aspects by readers because the images of literature must go through reader's perception process. Namely, the images must be imaged by readers. As the author hides his intentions in texts, he or she makes readers participate actively. The text of Kim Seung-ok' novel that aims to have smooth communication with readers by applying images induces readers who continuously restructure the meanings to rhetoric. The author uses a metaphor, one of figures of speech, while he or she selects and applies a specific image, and metaph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netrating description rather than attaching a decorative image. In chapter II, when the images of light and darkness were examined in the text of Kim Seung-ok's novel, the situations such as created time, space and seasons were considered in the text. Through the process, rhetorical messages can have a chance to be fully understood. In chapter III, the aspect that the central image of the text of Kim Seung-ok's novel has a lose relation with description stands on the basis. Such an aspect can be clearly observed when Kim Seung-ok, the author, reproduces 'Seoul.' The images of light and darkness that form whole atmosphere of the text of the novel seem to be chaos and reproduces the gloomy situation of the times. In addition, through the images of light and darkness, the author's attitude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state of characters can be examined. Lastly, a twisted image of light contributes to represent urban people who suffer anxiety in 'Seoul', a modernized city and it also reflects the author's critical perspective towards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central image of 'Seoul' reproduced in the text of his novel represents the symbolic meaning that recognizes covered and repressed reali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with description, attempting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more clearly through the images given a shape in text analysis of the novel.
more목차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기존 논의 검토 및 문제제기 = 3
3. 이미지의 범주 검토 및 연구 방법 = 10
Ⅱ. 텍스트의 주된 이미지 특성 : 반복되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 17
1. 빛을 통한 시간의 수사학 = 17
2. 어둠 이미지로 드러나는 공간성 = 35
Ⅲ. 도시 '서울'의 이미지와 근대의 비판적 태도 = 44
1. 도시 '서울' 이미지의 감각적 재현 = 44
2. 이미지의 변용을 통한 전략적 측면 = 53
Ⅳ. 결론 = 71
[참고문헌] =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