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근 현대사 수업에서의 문학작품 활용연구 : 광복이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struction :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초록/요약

The emergence of postmodern study of history has entailed a lot of changes, affecting history education. In history class, there has typically been no further efforts than merely conveying and acquiring knowledge, At present, however,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re being studi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interpret history on their own and improve their historic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in history class as one of the diverse ways to focus on historical awareness and interpretation. Students are familiar with literature, and the way of writing a literary work is the same as the way of describing history. Besides, participatory poetry and social novels testify to historical incidents. That was why literary work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s a means to conduct history education. Specifically, how to provide instruction on Korean modern history that has been disregarded was suggest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works. Literary works could be utilized in history class since both literature and history have been written in the form of narrative. The application of literary works written in that form makes it possible to stimulate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students through empathy, Nacherlebnis or insertion in order for them to have an easier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reate new knowledge. In particular,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in history class produces five different effects. One is to understand causal relationship, and the second is to realize that the master of history is ordinary people, not great men or heroes. The third is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and the fourth is to broaden one's outlook on history. The fifth is to deal with minor incidents to get a more profound grip on history. There should be strict selection criteria for literary works when the works are utilized in modern history class. The literary works should handle historical incidents that took place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and the authors should have a distinct awareness of reality and history. The literary works should capitalize on contemporary subject matters to let learners learn what contemporary society was like. When students have a discussion about a particular historical incident, literary works that were writte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incident should be adopted. A variety of materials should be presented when they have a discussion so that they could build their own view of history. Specific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in this study by selecting several literary works. First, Oh Jang-hwan's poems entitled 'Welcome to the Allies' and 'Sick Seoul' were selected as reading materials to portray the delight of the poet about the National Liberation and post- liberation chaotic society. Second, Lee Moon-yeol's novel entitled 'The Era of Heroes' and Jo Jeong-rae's novel entitled 'The Han River' were selected to have a discussion on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Finally, Hwang Seok-young's novel entitled 'A Strange Land' was selected as a script of role play to shed light on the negatives of economic growth. As the lesson plans weren't actually used in class, it's required to apply the lesson plans with some modification. Yet the application of literary works might put some strain on history teachers as well as college-bound high schoolers,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o link history and language arts education as the application of literary works is not possible in every class.

more

초록/요약

랑케이후 역사학은 객관성 추구를 역사학의 가장 큰 가치로 두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제1·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에 인간이성에 대한 믿음이 무너지면서 인간의 진보를 전제로 발전하였던 역사학에 대한 반성이 요구되고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면서 역사학은 다양한 자료와 인접학문의 연구방식을 통해 작은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한다. 역사학의 이러한 변화는 그 역사학습에까지 영향을 미쳐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고 학생이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그쳤던 역사학습이 학생들의 눈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인식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이 글은 역사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 문학작품을 활용한 역사수업 방식을 모색하였다. 다양한 방법들 중에 문학작품에 주목한 이유는 문학이란 장르가 학생들에게 익숙하며 그 서술방식이 역사서술의 방식과 같다는 것과 참여시, 사회소설 등 역사적 사건을 증언해 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학작품의 특성에 주목하여 그동안 소홀하게 다루어 졌던 한국현대사 수업 방안을 제시 할 것이다. 문학작품을 역사수업에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은 문학과 역사서술이 내러티브 형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내러티브 형식으로 쓰인 문학작품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면 감정이입이나 추체험이나 삽입의 과정을 통해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학생들에게 역사를 쉽게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역사수업에서 문학작품을 사용하면 5가지의 효용성 있는데 첫째,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둘째, 역사의 주인은 위인이나 영웅이 아닌 보통사람이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셋째, 인간의 경험을 이해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역사를 보는 넓은 시야를 기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작은 사건을 특별하게 다룸으로써 역사를 풍부하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대사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문학작품은 엄격한 작품 선정 기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기준은 광복이후 역사적 사건을 다룬 문학작품으로 작가의 현실의식과 역사의식이 확실해야 한다. 더불어 역사적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의 분위기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당대자료 쓰인 문학작품을 사용하며, 토론 자료는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뒤 몇 년 뒤에 쓰인 작품을 사용한다. 토론 자료로 활용되는 자료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해서 학생들이 나름의 역사관을 만들도록 도와주어여야 한다. 구체적인 수업방안으로는 첫 번째, 오장환의 시 『연합군 입성 환영의 노래』와『병든서울』을 통해 광복 후 느낀 시인의 환희와 광복이후 혼란한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읽기자료로서 활용했다. 두 번째, 이문열의 소설 『영웅시대와』,조정래의 소설『한강』을 통해 6.25전쟁이 남긴 상처를 토론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경제성장의 그늘진 면을 살펴보고자 황석영의 『객지』를 활용해 역할극의 대본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가 실제로 수업에 적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서는 현실에 맞게 조금 변형하거나 개선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문학작품을 활용한 수업은 대학입시를 앞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수업량의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역사교사에게도 많은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모든 수업을 문학작품을 활용 할 수 없음으로 국어과와 연계하는 방안도 연구되어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