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매체를 통한 <도미설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애니멘터리를 중심으로

A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tale of domi> through media : Based on Ani-Mentary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시대&#8228;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교육과정의 개정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설화 교육을 위해 “매체를 통한 설화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매체를 통해 구술설화의 모습을 체험함으로써 설화 본연의 특징이나 아름다움을 알고, 설화가 지금도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며, 학생들도 설화의 전승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설화를 스스로 찾아 감상하고 즐기는 독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시대&#8228;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교육과정 및 연구사의 분석을 통해 설화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매체의 이용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 이용에 있어서도 매체를 실제 교재로 사용하여 설화와 매체를 함께 교육하고 제작 수업까지 진행하는 적극적인 차원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니멘터리 <도미 아내의 사랑>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도미설화> 수업뿐만 아니라 설화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매체를 읽고 제작하는 매체 교육까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Ⅱ장에서는 매체를 통한 <도미설화> 교육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먼저 설화의 구술성 및 설화와 현대 매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미설화>의 구술성을 분석하고 매체 텍스트로 교육하는 것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애니멘터리 텍스트로 설화를 교육하는 것의 타당성 및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먼저 애니멘터리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해를 도왔다. 그리고 애니멘터리 <도미 아내의 사랑>을 1차적인 구술성과 애니멘터리 텍스트만의 구술성으로 나누어 분석해봄으로써 설화의 구술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8228;청각적인 요소까지 지니고 있어 설화 텍스트보다 설화 교육에 더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애니멘터리가 갖고 있는 설화적 요소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애니멘터리 텍스트의 교재변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분석들을 토대로 매체를 통한 교수-학습의 실제 방안을 애니멘터리 <도미 아내의 사랑>을 통한 수업과 애니멘터리 제작 수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설화 텍스트와 애니멘터리 텍스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화의 전승자로서 체험함으로써 쉽게 내면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전체 논의를 마무리하고 애니멘터리 텍스트를 통한 설화 교육의 의의를 다시 확인하며 앞으로의 설화 교육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분석과 개정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매체를 통한 설화 교육의 타당성 및 효과, 교재변용 방안을 마련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였기에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이 논의를 바탕으로 설화와 현대 매체와 관련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a revision of education process and the change of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take measures on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folktales through media” for an effective folktale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tudents to recognize the nature or beauty of folktales through experiences thereby confirm the influence of folktales in our lives even today and that they can also be successors of folktales. Consequently, the study seeks to provide a chance for students to appreciate folktales and become enjoyable readers of their own.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folktales through analysis of the history of studies and education process including the change of periodic and social environment, it is vital to utilize media. In utilizing media, the study h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simultaneous aggressive dimensions which would proceed the education as well as production mechanism along with folktales using media as an actual textbook. The study, therefore, selected Ani-Mentary <Love of Do Mi's wife> as a text and arranged not only a <the tale of domi> study but implemented a media education which enabled media reading, understanding folktales as a whole and production. Chapter Ⅱ ensured a feasibility of <the tale of domi> education through media and provided a theoretical ground to devise a teaching-learning method. Firstly, the study examined relevancy between folktales and modern media including orality of folktales. Then it analyzed the orality of <the tale of domi> and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education in media text. In order to prov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folktale education using the Ani-Mentary text, it first review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Ani-Mentary to support its comprehension. Through separate orality analysis on the Ani-Mentary text only and a primary orality of Ani-Mentary <Love of Do Mi's wife>, the study confirmed not only the orality of folktales but also its capacity of varieties in visual and auditory factors wherein more usefulness in the folktale education than that of folktale text.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narrative factor of Ani-Mentary and educational effect thereby provided textbook transform measures of the Ani-Mentary tex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is. Chapter Ⅲ is proceeded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Ⅱ wherein actual measures of teaching-learning through media is performed by separate studies through Ani-Mentary <Love of Do Mi's wife> and Ani-Mentary production. Through the analysis, not only appropriate understanding on the folktale text and the Ani-Mentary text would be implemented but also, internalization would be simpler through first-hand experience as a successor of folktales. Lastly, the whole discussion is given the finishing touch in conclusion and contemplated a direction for folktale education for the future while re-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folktale education through the Ani-Mentary text. The study provided feasibility, effectiveness and textbook transform measures for the folktale education through media based on the systematic analysis and revised education process. It also devised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would be effectively applicable in schools. Much studies shall be implemented which contemplate a teaching-method pertaining to modern media and folktales based on the finding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