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교수 지식을 통한 중학교 평가문항 분석 : 중학교 2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unior High School Evaluation Test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PCK) : Centering on second year curriculum of JuniorHighSchool
- 주제(키워드) 내용 교수 지식 , PCK , 내용 교수법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석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492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미국에서 1950년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진행된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통하여 메타 분석한 결과 학습자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최고의 변인이 교사라는 결론을 얻은 후 교육계에서는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사를 평가하기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스탠포드 대학의 Shumlman(1986)교수는 교사들이 교과 내용의 지식을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사가 교과 내용에 대하여 가르치는 기술인 내용 교수 지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여기서 내용 교수 지식(PCK)이란 ‘특정 내용을 특정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지식(교과 전공 지식+일반 교육학 지식+수업경험에서 교사들이 경험하여 얻은 지식)’을 말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교사가 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함을 인식하여 내용 교수 지식의 의미를 학생의 교과 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의 범위로 확장하고 평가를 통해서 어떤 수학적 개념에 대해서 학생들의 혼동이나 이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교수 지식 연구보고서의 평가 모형 개발 틀에 맞게 (1) 교과내용,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하고, (2) 사전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새로 배울 내용과 연계를 적절히 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고, (3) 학생들이 가진 오개념과 난개념은 무엇인지 알고 바로잡아줄 수 있는지 평가한 후 (4) 내용 교수 지식의 의의에 맞게 특정학생에게 적합하도록 하는 수준별 평가문항을 제시하고 피드백 하는 절차를 따른다. 특히, 본 연구자는 중학교 2학년의 연립방정식, 일차함수, 도형의 성질 단원을 중심으로 내용 교수 지식의 평가 개발 모형에 따른 적절한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분석해 보았다.
more초록/요약
Results from the meta-analysis of studies on education during the period from 1950 to the early 1980’s in the United State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tudents’ academic grades was the teacher. Since then, educational circles have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evaluation of teachers in order to try to secure the best quality educators. In the process, Professor Schulman from Stanford University insisted that teachers are equipped not only with knowledge on the subject they teach but also PCK, the techniques to teach the course content. Here, PCK means ‘the knowledge (professional course content knowledge, plus general educational knowledge, plus knowledge obtained from classroom experience) of a teacher on how to teach certain groups of students with certain course content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Being aware that a teacher should be equipped with expertise in evaluation,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has extended the meaning of the PCK into the category of knowledge of course study evaluation, and has tried to find out how to ascerta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r difficulty faced by students dealing with certain mathematical concepts. In this thesis, according to the frame of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PCK study report of KICE, the following procedure is carried out: evaluations of (1) whether students understand course content and the educational process, (2) whether they already have preliminary knowledge or whether they can connect with new content to learn (3) and evaluations on the students’ concepts of ‘wrong’ and ‘difficult’ and whether those can be amended (4) followed by the procedure of suggesting proper evaluation tests for certain groups of students and giving feedback,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of PCK. In particular, I have presented and analyzed proper evaluation tests according to the PCK evaluation development model, centering on units of simultaneous equations, linear functions, and characters of diagrams in the textbook of the second year of Junior High School.
more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내용 교수 지식 = 5
1.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 5
2. 내용 교수 지식과 일반 교수 지식의 차이 = 6
3. KICE-TLC의 내용 교수 지식 개발 방향 = 8
4.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 = 11
Ⅲ. 교수학습 평가의 이론적 배경 = 14
1. 평가의 의의와 목적 = 14
2. 수학과 평가의 목적과 방법 = 16
3. 수학과 평가 문항 작성 시 고려할 점 = 18
Ⅳ. 내용 교수 지식을 통한 중등교과 평가문항 분석 = 22
1. 내용 교수 지식과 평가의 연계성 = 22
2. 내용 교수 지식을 기반으로 한 평가 모형 개발 = 23
3. 평가 문항 분석(중학교 2학년 과정 기준) = 27
1) 연립방정식 = 28
2) 일차함수 = 35
3) 도형의 성질 = 43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7
국문초록 = 59
표목차
[표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CK 관련 연구 추진 현황 및 장기 계획(안) = 9
[표 2] 수학과 PCK 분석틀 = 24
그림목차
[그림 1] 내용 교수 지식과 교사 전문 지식 영역의 관계 = 6
[그림 2] 교과별 PCK 연구 내용 및 절차 = 11
[그림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CK 연구틀 = 11
[그림 4]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정의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