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iam James의 Pragmatism 진리관에서 바라본 종교
Religion seen from William James' Pragmatic Perspective
- 주제(키워드) William James , Pragmatism , Religion , Truth , cash valu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종진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의 Pragmatism을 분석하고, Pragmatism의 진리관에서 드러나는 종교를 조명해 보는 것이다. 제임스가 Pragmatism의 논의를 종교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의도했던 바는, 기본적으로 불가지론과 회의론에 맞서 종교를 옹호하는 것이었다. 퍼스(Charles S. Peirce, 1839-1914))에 의해 고안된Pragmatism의 기본사고는 이른바 ‘퍼스의 원리’로서, 대상에 대한 관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한 조건 하에서 그 대상이 나타낼 결과에 관한 것에 그 대상의 의미가 국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임스는 이러한 사고를 단지 과학적 탐구 영역 뿐만 아니라 모든 신념과 사고 일반에까지 적용시켜, Pragmatism을 진리이론으로 확대하고 발전시켰다. Pragmatism의 진리관에 의하면, 어떤 한 신념이 진리인 것은 그 신념이 합리적 자족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신념을 통해 우리가 세계와 더 유용한 관계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진리란 구체적 삶에서의 실제적 결과, 곧 ‘현금가치’를 따져보는 검증절차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합리주의 철학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던 제임스는 기본적으로 경험주의 철학 위에 Pragmatism의 사상적 토대를 두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종교 연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개념적 정의를 통해 종교를 정형화시키는 것을 거부하고, 종교의 의미를 개인적이고 주관적 차원의 종교, 곧 종교적 경험에서 찾았다. 종교적 경험의 진위를 판별할 나름의 기준은 그 경험자의 삶에 드러나는 실천적 결과인데, 제임스는 이러한 기준을 통해 종교적 경험을 다양성으로 열어 두었다. 또한 그는 전통적으로 인지적 영역에서 배제되어 왔던 감정이나 정서, 신념에도 인지적 가치를 부여하여, 이들을 종교적 믿음의 근거로 삼을 여지를 마련하였다. 종교적 가설에 대한 선택은 본성상 지적인 근거로 결정될 수 없는 문제이며, 이러한 선택을 무한히 보류하고 회의론이나 불가지론의 태도를 취하는 것은 오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진리를 상실한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우리는 믿으려는 의지에 따라 종교적 믿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 또한 믿음에 대한 선택 여부에 따라 달라진 인생 전체의 양상과 이해득실을 따져 볼 때, 종교적 믿음을 선택하는 것이 정당하다. 결국 이 논문이 제시하는 바는, 제임스가 ‘합리주의 철학’에 맞서서 ‘경험’을 종교적 삶의 참된 토대로 변호하고 있으며 프래그마틱(pragmatic)한 사고에 기반하여 종교적 믿음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alyse William James(1842-1910)' pragmatism and to elucidate religion from his pragmatic perspective. When James applied pragmatism to religious issues, his basic intention was to advocate religion against agnosticism and skepticism. In the pragmatic theory called ‘the principle of Peirce’, which was proposed by Charles S. Peirce(1839-1914) himself, a meaning of an object should be confined to the results it produces under all the possible conditions, in order to make clear the concept of the object. James applied this train of thoughts not only to scientific investigations alone but also to all faiths and thoughts in general, which ultimately widened and developed his pragmatism into the theory of truth. According to the pragmatic theory of truth, a certain faith is true, not for its own reasonable self-sufficiency but for the useful relationship it enables us to have with the world. Therefore, truth is an actual result in an actual life, viz., it is processed thorough the verification of its cash value. James was consistently critical about rationalism and his idea is pragmatic based on empirical point-of-views. His enquiry into the religious problems also reflects his general tendency. He refused to standardize religions through conceptual definition and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religion in religious experiences, that reduce religion into an individual and subjective level. Actual results in a person's life, who went through a certain religious experience, are the standards themselves to verify the truthfulness of the experience. With this, he opened the possibility of diversity to religious experiences. In addition, he endowed feelings, emotions, and faith with cognitive values as well so that they could be now considered as possible grounds to verify religious faith. These had been traditionally excluded from the realms of cognition. In fact, the choice amongst religious hypothesis is, by nature, an issue not to be decided intellectually. It is at the risk of losing truth to opt for a skeptical or an agnostic attitude due to the fears against possible falsehood. We have a right to take our religious position according to our own will to believe. If we reckon the changed aspects of one's life or the gains and losses that our choice in faith issues brings about, it can be said to be just to choose to believe religiously.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prove that James supported ‘experience’ against ‘rationalism’ as a true foundation for a religious life and that he justified religious faith philosophically based on pragmatism.
more목차
Ⅰ. 서론 = 1
Ⅱ. Pragmatism의 사상적 기원과 배경 = 4
1. Pragmatism = 4
1.1 Pragmatism의 기원 = 4
1.2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 7
1.2.1 합리주의와 Pragmatism = 8
1.2.2 경험주의와 Pragmatism = 15
2. Pragmatism의 배경 = 18
2.1 『근본 경험론(Essays in Radical Empiricism)』 = 18
2.2 『다원적 우주(A Pluralistic Universe)』 = 23
2.3 『심리학의 원리(The Principles of Psychology)』 = 28
Ⅲ. Pragmatism의 진리관과 종교관 = 33
1. Pragmatism과 진리 = 33
1.1 전통적 진리이론 = 34
1.2 Pragmatism의 진리관 - 진리의 형성과 의미, 해석기준 = 37
2. Pragmatism과 종교 = 44
2.1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을 중심으로 한 종교해명 = 51
2.1.1 종교의 의미 = 52
2.1.2 종교경험의 장소 = 57
2.1.3 진리의 문제 = 60
2.2 「The Will to Believe」에 나타난 “종교적 믿음의 정당화” = 63
Ⅳ. 결론 = 71
참고문헌 =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