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원/달러 통화옵션 내재변동성의 정보력 검정 : The Information Content of Implied Volatility from Currency Option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한식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학과
  • 식별자(기타) 000000108513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논문에서는 장외통화옵션자료를 바탕으로 미래변동성에 관한 시장의 기대가 반영된 원/달러 통화옵션 내재변동성의 정보유용성을 검정하고 GARCH(1.1)모형 변동성 예측치 및 역사적 변동성과의 비교를 통해 그 예측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 장에서는 각 변동성의 정의를 설명한다. 제 3 장에서는 변동성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점검하여 본다. 제 4장에서는 GARCH모형과 EGARCH모형을 바탕으로 내재변동성의 정보력을 검정하고 제5장에서는 실현변동성을 내재변동성이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역사적변동성과 GARCH변동성 예측치를 통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이 논문의 결과와 그 한계점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more

목차

Measures of volatility implied in option prices are widely believed to be the best available volatility forecasts.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information content and predictive power of implied volatilities derived from KRW/USD Exchange options on foreign currency forwards.
This study introduces a different research design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implied and realized volatilities. I examined several volatility forecasting instruments are examined in this paper, namely : historical volatility, implied volatility and realized volatility.
The article finds that implied volatility is outperformed by statistical time series model and historical volatilities. Also This article finds that the implied volatility has significant information content about exchange volatility in KRW/USD Exchange Marke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