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東人詩話』에 나타난 道德論과 格律論의 相關性 : Th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in Dongin sihw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정요일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국어국문학과
  • 식별자(기타) 000000108412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고는 徐居正의 「東人詩話」에 나타난 ‘道德論’과 ‘格律論’의 양상을 통한 相關性을 조명하고자 한다. 「東人詩話」에서의 ‘도덕론’과 ‘격률론’이라는 비평 범주의 설정에는, ‘道學’과 ‘詞章學’의 공존을 조성하였던 시대적 여건과 아울러 ‘聖道之學’과 ‘臺閣之學’의 조화를 이루어야 했던 조선 전기 대표적 臺閣文人인 徐居正의 비평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는 道가 文에 선행한다는 근본 원리를 견지하면서도, 당시 사대외교의 정치적 역량을 가늠할 수 있는 사장의 필요성을 부정할 수 없는 대각문인으로서의 역할을 수반하였다. ‘文以載道’로 대변되는 理學的 세계관이 중심축을 이루는 문장론의 흐름을 역류하지 않으면서도, 대각문인이라는 특수한 입장에서 사장옹호론을 펼칠 수밖에 없는 상황적 조건으로 볼 때, 도덕론과 격률론의 관계는 적지 않은 상관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표면적으로 격률론의 측면이 우세한 「東人詩話」에서는 어떻게 도덕론과 통하게 되는가를 논의하는 것은, 「東人詩話」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본격적인 도덕론과 격률론의 상관성에 대한 논의에 앞서, 「東人詩話」비평 유형의 두 양상을 作法論과 作家ㆍ作品論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상관적 면모를 보이는 자질을 중심으로, 원류비평론ㆍ시본질론ㆍ시작법론에서의 그 상관성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첫째, 「東人詩話」에 나타나는 尙古主義의 경향은, 「東人詩話」의 詩意識을 규율한 코드로 작용하는 본질주의에 기반한다. 서거정은 ‘구분’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唐詩風의 형식적 특성과 유가사상에서 중히 여기는 敎化ㆍ忠信을 짚어내었다. 이렇듯 당시풍을 시학의 기준으로 삼는 과정에서 송시풍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정권 확립과 時運과의 연결성을 강화하려는 臺閣文人으로서의 입장을 드러낸다.
둘째, 徐居正은 시에 있어서 修飾보다도 氣節이 우선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氣節의 범위를 作詩者의 氣象으로 확장하여 ‘詩如其人’을 논하였다. 나아가 時運의 영향력에 대한 접근성을 덧붙여 ‘詩人’과 ‘詩’의 양자 관계에서 ‘時運’을 추가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 때 鍊琢의 과정을 통하여 객관화된 외시적 의미와 함축된 본질적 의미는 시의 意境을 통해 도덕적 측면으로 구현된다.
셋째, 徐居正은 「東人詩話」에서 用事ㆍ點化를 작법상의 주요 관심사로 삼았다. 특히 經書를 出處로 할 때에는 원래의 맥락을 보존하면서도 사용된 시에서의 意境 전개를 높이 평가하였고, 격률론적 작법에 대하여 ‘春秋筆法’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禮’와 유사한 분류체계를 보였다. 그 접근성은 구체적인 체계이므로 질서 확립과 맞닿아 있는 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 상징과 관념의 결합성은 청각적 구성을 통한 교화의 도구로 기능한다.
이처럼 「東人詩話」에 나타난 도덕론과 격률론의 상관성은 正名論的 詩意識의 표출과 詩敎의 효용성을 통하여 그 합일점으로의 도달을 가능하게 한다. 사실과 당위의 성격을 반복적 수행관계로 파악함으로써, 도덕적 측면과 그것을 외시 의미로 구현하는 격률의 양 측면은 ‘존재’와 ‘표현’을 모두 충족하는 意境의 표현에 관심을 둔다.
일반적으로 모순 대립적 비평 범주로 인식되었던 도덕론과 격률론에 대하여, 그 두 이론적 측면에서 보이는 자질들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합일점에 이르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표면상 대립적으로 드러나는 두 비평 범주의 특수성 가운데 통일성을 발견하게 된다. 서로가 서로를 근거지우는 상관적 관계는 대각문인 徐居正의 입장과 맞물린 문학관과 직조되면서, 도덕론에서 말하는 보편적 진리가 격률론의 다양성과 차이를 조화시킨다. 「東人詩話」는 그 체계 속에서 개념화 되어 있는 作法 및 風格 評語의 형태로 道德性을 담지하고 있다.

more

목차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orrelation through the aspects of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in Geojeong Seo''s 「Dongin sihwa」. In the establishment of critical categories of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in 「Dongin sihwa」, the condition of the time which formed co-existence of ''Dohak''[moral philosophy] and ''Sajanghak''[study of poetry and writing] and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Geojeong Seo, representative Daegak[people who work for the government as high ranking officials]writer of early Joseon who had to form a harmony between ''the study of saint way'' and ''the study of the political power'' are reflected. He kept a fundamental principle that viewed moral precedes writing and at the same time, accompanied by role as Daegak writer who cannot deny the necessity of Sajang that could weigh political talent of toadist diplomacy at the time. Considering the situational condition in which he cannot but insisting the defensive argument for Sajang in a special position as Daegak writer, without flowing backward the flow of syntax centering around philosophical world-view for which ''Munijaedo''[writing as a vehicle of moral] speaks, the relation between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come to have considerable correlation. Thus, under such a circumstance, discussing how 「Dongin sihwa」 in which superficially the aspect of theory of figures is superior can be communicative with the theory of morals, will be an attempt to search for a new direction of the study of 「Dongin sihwa」.
Before getting into discussing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morals and the theory of figures, it discussed two aspects of critical types in 「Dongin sihwa」, which is divided into composition method and criticism of writer and works. Based on this, focusing on the features that show correlative aspects, the correlation in origin criticism, theory of poetry essence and of poetry composition method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attachment for the old things in 「Dongin sihwa」, is based on the fundamentalism that works as a code which regulated the poetic consciousness of 「Dongin sihwa」. Geojeong Seo, beginning from the concept of ''distinction'' and pointed out formal character of the Tang dynasty''s poetic style and civilization and loyalty to which confucian thought attaches importance. Like this, by using the Song dynasty''s poetic style in the process of taking the Tang dynasty''s poetic style as poetical standard, he shows his position as Daegak writer trying to establish political power and reinforce connectivity with fortune.
Second, Geojeong Seo, emphasizing the priority of spirit and fidelity to decoration in poetry, expanded the range of spirit and fidelity to poet''s temperament and insisted on ''poem tells who the poet.'' Furthermore, he formulated a new relation with ''fortune'' out of the relation between ''poet'' and ''poetry'' by adding accessibility to the effect of fortune. In this time, through the process of discipline, objectified external meaning and implied essential meaning embodied in the moral aspect through Uikyeong[the border where the subjective emotion of a writer meets the objective things] of poem.
Geojeong Seo in 「Dongin sihwa」, primarily was interested in Yongsa[the quotation of classics] and Jeomhwa[reformative use of classics] in composition method. Especially for the quotation from Chinese classics, he praised Uikyeong development in poem, which preserve original context, and he showed classification system similar to ''decorum'' by evaluating the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ory of figures like ''Chunchupilbeop''[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Since the accessibility is concrete system, it can be said to be an element linked to order establishment and the combination of symbol and concept serves as enlightening tool through auditory organization.
Like th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in 「Dongin sihwa」enables the attainment to the un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poetic consciousness like the theory of rectification of names the usefulness of poetry education. In fact,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reality and what should be a repetitive operational relation, moral aspect and both aspects of figures that embodies that with external meaning are interested in the expression of ''Uikyeong'' that satisfies both ''existence'' and ''expression.''
He came to discover unity in speciality of the two critical categories superficially looking oppositional, by showing the procedure to reach unity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oretical aspects for the theory of morals and theory of figures which had usually been recognized as the category of contradictory oppositional criticism. Correlative relationship based on one another being weaved together with literary theory intertwined with Geojeong Seo''s position as a Daegak writer, universal truth which theory of morals address harmonizes diversity and differences of the theory of figures. 「Dongin sihwa」contains morals in the form of composi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 criticism conceptualized in its syst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