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출판 콘텐츠의 타매체 활용 현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enomenon Using Other Media of Publishing Contents : Centering on conversion of ''novels'' to visual medi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노병성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8394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지금까지 문자매체는 인간의 사고와 문화를 압도적으로 지배하는 매체였다. 또한 문자매체가 지배적인 문화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출판이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혁신에 바탕을 둔 디지털 문화는 생활 형태와 생산방식, 교육 방법 등 전 분야에 거쳐 연쇄적이고 근원적인 변화를 불러왔으며 문화의 영역도 예외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문화에 있어 영상 미디어가 주요 매체로 자리 잡게 된다.
현대의 디지털 문화에서는 미디어간의 경계선이 무너지고 개별 미디어의 독자성과 독립성이 약화되는 동시에, 또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콘텐츠와 서비스가 통합되는 융합현상이 가속화되었다.
이와 같이 미디어의 경계가 무너지고 점점 융합하는 상황 속에서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영상매체가 주도하는 이미지 문명이 현대 사회의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문학은 자신의 몸 바꾸기와 더불어 다른 장르에 축적된 스토리텔링의 자양분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존재로 거듭나야 할 때가 되었다. 이는 좋은 콘텐츠가 다양한 매체로 확대되어 갈 수 있는 새로운 매체 환경이 지배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소설이 영상화되는 과정에서는 대중성이 강화되고 있다. 영화가 소설 자체만으로는 해소하기 어렵고 놓치기 쉬운 대중적 욕구 충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돋을 만한 이야기 요소들을 적절하게 점차 배치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는 소설에 비해 대중적인 속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강력한 대중 침투력을 보유한 영화의 위력은 무겁고 진지한 소설적 주제의식을 용해시키고 완화시켜 대중 속으로 스며들게 한다.
본고에서는 소설작품의 영상 매체로의 전환 현상을 사례를 들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문학 텍스트가 문자로 인쇄된 죽은 매체로 존재하지 않고 세상 사람들에게 또 다른 감동과 재미를 주는 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이제 문학은 영화 및 여러 대중 매체들과 결부되어 새로운 문학형식으로 변형됨으로써 문학과 영화 양 분야의 발전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소설(小說)의 경우는 영화와 비슷한 장르로 인정받으면서 그 존재 가치를 높이고 있다. 문학은 영화에 소재나 주제를 제공해주며, 영화 또한 다양한 표현 기법이나 구성 기법을 문학에 되돌려주면서 발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문학과 영화는 서로의 영역을 보완해주고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결국 소설의 영상화란 단순히 한 편의 이야기를 문자에서 영상으로 그 전달 수단을 바꾼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 이야기를 대중적으로 소통시킬 수 있는 기획을 확보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단순한 전달 수단의 전이가 아니라 전달 내용의 대중적 변이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요컨대 소설의 영상화 과정에서 발견되는 대중적 변모는 소설의 대중적 확산과 소설의 소통 공간의 확장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소설은 초기 투자비용이 적으면서도 대중성 검증이 비교적 용이하고, 무한한 문자적 상상력의 보고로 평가되어 원천 콘텐츠로서 그 잠재 역량이 무한한 장르이며, 영화는 태생적으로 대중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는 장르이다. 대중적 요소라는 것은 결국, 하나의 산업으로서의 콘텐츠적 특성을 살피는 것이며, 그것은 상업적인 성공 여부와 결부된다. 문학의 위기를 언급하는 오늘날, 소설의 존재 양상을 영화라는 영상매체와 관련지어 살펴본다면, 영상문화시대의 소설의 기능과 가치를 새삼 깨닫게 될 것이다.

more

목차

For centuries, the written media have been media to dominate human thinking and culture overwhelmingly. And, the most influential communication means has been the publication in the culture that the written media are dominant.
However, the digital culture based on the innovation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has brought serial and fundamental changes through all of areas from lifestyle to production system to education methods. And, the area of culture is not exception. In the digital culture like this, visual media have become major media.
In modern digital culture, the boundaries between media are collapsing and the independence and originality of individual media get weakened. In addition, the convergence of contents and services of different media has accelerated.
In this situation, movies based on books tend to increase gradually. We cannot deny that image civilization led by visual media forms a large stream in modern society.
Now, it is time for literature to change itself and to turn into an existence to provide sources of storytelling to other genres. This is because a new media environment that good contents may be expanded to various media is popular at present.
The popularity is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a novel into a film. It shows that the visualization of the novel can satisfy the masses’ need hard to meet and easy to miss efficiently. Films can make the masses immersed in the work by arranging story elements which can excite their interest properly. Films have strong popular characters unlike novels. The power of films that can approach the masses more easily and strongly lessen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novels which is heavy and serious.
This paper concentrates upon the subject of conversion of novels to films, taking the cases for instance. This is to show that literature texts can be born again as contents to give people different impression and enjoyment not to exist as dead printed media.
At present, literature can be associated with films and other mass media and it is being changed into new formats, which can bring development and changes in both areas of literature and films. Particularly, novels are recognized as a genre similar to films and so, the existence value is increasing. Literature provides materials and themes to films and films return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composition techniques to literature. In this way, they keep developmental relationships. Nowadays, there is no denying that literature and films complement each other, which causes synergy.
After all, transferring novels to visual media means not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ans from written words to visualization but ensuring the opportunities that can make the story understood by the masses. In other words, it is not a simple transformation of communication means but a popular transformation of the messages. In brief, the popular transformation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novel has the meanings as popular diffusion and expansion of communication space of novels.
The novel has a small initial investment and verifying its popularity is relatively easy and it is evaluated as a treasure house of unlimited literal imagination. Accordingly, it has unlimited potentialities as source contents. And, the film has popular elements and artistic elements at the same time by nature. The popular elements mean characteristics as contents as an industry, which is involved with commercial success or failure. Today when we are talking about crisis of literature, if we involve the existential aspect of novels with visual media of films, the function and value of novels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may be recognized new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