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부모교육 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 관계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that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gives to the Self-respect of Mothers and to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Mother Perceives
- Publisher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Adviser 정성원
- Issued 2008
- Awarded 2008. 2
- Thesis degree 석사
- Major 공공정책대학원
- Other identifier 000000107815
- Language 한국어
Table of contents
본 연구는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 진행 후 칭찬수준의 향상으로 어머니들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문제해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긍정적 성장을 통한 어머니- 자녀관계 향상을 목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대상의 실험집단은 서울시내 거주하는 자녀를 둔 20대중반~50대사이의 20명의 어머니와 비교집단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비슷한 세대의 19명의 어머니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절차로 교육은 1회기 3시간, 총 6주, 6회기로 진행되었다. 사전검사는 두 집단 모두 l회기 시작 전 실시하고, 사후검사는 6회기 교육 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칭찬을 통한 집단상담식으로 부모교육을, 비교집단은 의사소통부모교육의 방식으로 각각 진행 되었다.
칭찬프로그램의 과정은 강의와 활동 및 집단 상호역동의 피드백으로 최대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3시간 동안 진행된다. 활동시간은 모든 집단원이 활동에 직접 참여하며 활동을 통한 생각과 느낌을 발표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은 "지금-여기"에서 타인과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그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집단역동을 통해 자신을 바라보며 참여한다.
매회과정 후에는 도움 받은 점과 느낀 점을 나누고, 자신의 삶의 현장에 돌아가서 실천하고, 실천과정에서의 변화된 효과와 문제, 느낌과 경험을 다음 회기 시간에 나눈다. 이렇게 배우고 느끼고 실천하여 잘못된 것은 수정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칭찬프로그램의 목적을 이루며 최대의 효과를 가져 오고자 한다. 칭찬을 생활화하며 일어나는 주변의 반응과 행동 변화를 탐색하고 알아차림으로써 강화시켜 나간다.
본 연구에서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등질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nonequivalent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이용하였다.
칭찬부모교육집단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척도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직후에 사전검사에서 실시한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처리와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측정된 자아존중감, 칭찬의 걸림돌과 칭찬의 수준,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 어머니-자녀 간 친밀도, 어머니의 양육태도, 그리고 어머니-자녀 관계 등의 변인에 반복측정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 자아존중감 향상, 칭찬 걸림돌 감소와 칭찬 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문제 2.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 향상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연구문제 3.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간 친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연구문제 4.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 변화 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문제 5. 칭찬부모교육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한 칭찬 부모교육집단 프로그램은 먼저, 어머니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인정과 존중을 우선 목표로 두고 집단원간의 칭찬 상호 활동을 통해 칭찬의 상호 효과성을 높인다. 그 결과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을 갖게 되며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타인과 자녀에게 되돌려 주는 변화의 원동력이 된다. 긍정적 사고와 표현은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과 행동변화를 주며,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 및 긍정적인 삶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준다.
Table of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forming of the positive self-respect of a mother and chang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by the improvement of the praising level after the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This is not the admiring program to solve the problem but to improve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by the positive growth of the mother herself.
The target tested group of this research is 20 mothers who have children and live in Seoul from middle of twenties to fifties and the comparison group is 19 mothers who live in Kwang-Ju of similar ages.
The research processing was made up of total 6 weeks, 6 sessions- three hours a session. The preliminary inspection of both group was done before the 1st session and post inspection was done after the 6th session. The processing of this tested group is proceeded on the parents'' training by way of group counseling through praising and the comparison group by way of the parents'' communication training.
The course of this admiring program runs for 3 hours in the way to get the best effects through lecture, activity and feedback for the mutual dynamics among the group members. In the activity course, all the group members hav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tell their thoughts and feelings get from the activity. All members express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ir own and others "here and now" and participate in watching themselves through the group dynamics rising in that state. After each session they share the things that they got help and felt. Then they go back to their daily life and exercise what they have learned during the session and when they come to the next session they have to share the changed effects, problems, feelings and experiences during the exercise. Like this, repeating the process of learning, feeling, exercising and adjusting the errors will lead them to the goal of this admiring program and the best result. They can strengthen it by making praising habitual with looking for, watching and recognizing the response of the around and changes of the act.
In this research to check the effects of the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I use the nonequivalent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Before beginning the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I apply the same measure to the both the tested and the comparison groups and after finish the program I estimate it by using the measure of the pre inspection. I use SPSS 12.0 to process and analyze the data. And I also use repeat measurable analyze of the variate to the variable of self-respect, obstacle against the praising and the level of the praising,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intimacy level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methods of bringing up of moth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To sum up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
Research topic 1.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influences to the raising of self-respect of mother, reduction of the obstacle against the praising and improvement of the level of praising.
Research topic 2.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doesn''t influenc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Research topic 3. Admiring parents training group program doesn''t influence to the changes of the intimacy between mother and child.
Research topic 4.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doesn''t influence to the changes of the methods of bringing up the children.
Research topic 5.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influences to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In conclusion, the admiring parents group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research first of all aims to the understanding, accepting, approval and respect of the mother herself and promotes the mutual effect of the praising through the mutual praising activity among the members. As the result of it, she is able to respect herself as a valuable be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ve self-respect becomes the motive power of the transforming to return to others and her children. The positive thoughts and expressions can lead the forming of the positive concepts of self and the changes of activities and can help the forming of the generous human relationship and the positive changing of the life and th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