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부문 외국 R&D 센터 유치현황과 정책과제 : Global IT R&D investment :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Policy stud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 지도교수 전현배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7793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시장개척과 자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기술과 인재를 발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글로벌 기업의 R&D 세계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발표된 UNCTAD(2005)에 의하면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평균 6.3개(2005년 기준)를 해외에서 지출하는 등 R&D의 세계화는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미국, 서유럽, 일본의 선진 3개 권역에 집중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진출지역도 중국, 인도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외환위기 이후 글로벌 기업의 진출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별 외국 R&D센터의 유치 지원제도(인센티브)와 해당국별 시장상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외국 R&D센터의 국내 유치를 통한 선진기술 도입 및 이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측면을 우리와 IT부문에 걸쳐 경쟁 대상국에 있는 주요국을 비교하여 분석하여 우리에게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끄집어내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목차
This study will provide Korea''s pros and cons for its aim to be the Northeast R&D Hub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R&D centers in Korea with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China, India and Ireland.
In order to analyze in the targeted ways, this study considers Korea''s technological prowess and its market size and based on that, 4 different types of strategy of attracting foreign R&D investment are provided. Based on the different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market size a specialized measure should match to each type. Especially much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area in which Korea has relatively big market size and low technological advances through reinforced incentives, superior manpower and well-formed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addition to that, this study also briefly provide Korea''s pros and cons for attracting foreign R&D investment in aspects of environment and incentives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