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광고연구''와 ''광고학연구''의 연구논문에 한 내용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윤각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7785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한국의 대표 광고 학술지인 ‘광고연구’와 ‘광고학연구’는 국내 광고 연구의 전체적 흐름을 이끌어가고 있으므로 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 분석을 통해 현재의 광고 연구 분야에 대한 성과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두 학술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은 국내 광고 연구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국내 학술지의 생산성을 재검토하는 작업으로 국내 광고 연구 분야에 대한 학술지의 기여도를 검토 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본 연구의 접근을 시도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광고연구’와 ‘광고학연구’에 개제된 총 730편의 논문의 제 1저자의 구성적 특성과 연구자 소속 기관 분류를 단행하여 양적 연구를 실행하였고 총 16가지 대 분류 항목 하에 제 1연구 주제를 분류하는 질적 연구를 통해서 각 학술지에서 나타나는 상대적 주제 특성과 차별성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광고 연구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를 통해 시대적인 광고 연구 분야의 변화를 검토하고 광고 연구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광고연구’에 분류된 제 1저자 전공은 광고/홍보학, 언론학, 경영/경제학, 심리학 전공자 순으로 나타났다. 저자의 소속 분류에 있어서 학계 소속 단독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지만 과거에 단독연구가 공동연구보다 더 활발히 이루어졌던 과 비교하여 볼 때 두 학술지 모두에 나타난 학계공동연구, 산학공동연구, 그리고 산업계 간의 공동연구들은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거의 비슷한 비율에 임박하고 있다. 또한 ‘광고연구’에서 나타난 저자의 전공은 문학, 이학 같은 이론 관계적인 전공자들의 참가가 두드러진다. 논문 게재 연구 대학에서는 이화여자대학, 한양대학, 중앙대학, 그리고 성균관대, 경희대 공동 순위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광고와 소비자 행동, 복합뉴미디어, 광고와 크리에이티브, 기타, 광고매체와 효과, 광고와 마케팅으로 분류되었다.
‘광고학연구’에서의 역시 학계의 단독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공동연구의 비율 역시 높게 분류되었다. 제 1저자 전공 분류는 전술한 광고연구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나 광고/홍보학, 언론학, 경영/경제학, 심리학 전공자의 순으로 검토되었다. 가장 많이 논문을 게재한 소속 대학의 분류는 한양대학, 고려대학, 동국대학 공동, 중앙대학, 이화여자대학 순으로 나타나 상위 순위에서 다른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다루어 졌던 주제의 분류는 광고와 소비자 행동, 광고매체와 효과, 복합뉴미디어 공동, 광고와 크리에이티브, 광고와 마케팅, 광고특수분야로 두 학술지에 나타난 주제 분류는 비슷하지만 근소한 차이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새로운 연구주제를 검증하는 연구라기보다는 기존의 연구를 단순 반복하는 수준으로 논문의 양적인 분석에 치중하여 심층적인 분석에 이르지 못하였다는 점과 이론적인 가치를 찾아내었으나 광고업계의 실증적인 도움을 주는 가치를 찾아 내지 못하였다는 점, 그리고 두 학술지가 가지는 독특성의 차이가 미비하여 국내 학술지가 일률적으로 유사하다는 결론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술지 생산성에 대한 최신의 연구의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저자의 인적 구성과 전공별 변동을 통해 현재의 연구자 현황을 고찰하고 연구 기관의 활동을 분석하여 연구 기관의 이후의 활동을 독려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분류를 통해 광고 산업에 있어서 연구 동향을 제고하는 차원으로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more

목차

Because the journals, Advertising Research and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mainly lead the domestic advertising research field, the content-analysis on these journals would offer a chance to investigate the present achievement of advertising by 2007. The concrete analysis of the thesis papers in the journals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ing research and it can be the criterion of journals'' influence.
The total papers, 730 issues of the Advertising Research and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from 2000 to 2007 are content-analyzed with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authors, the first authors'' belonging institutions and the main themes. Not only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first authors and the first authors'' belonging institutions has been analyzed but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ain themes has been studied. Through this research, the objective variation and validity have been proved,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Advertising.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Advertising Research show that the most of the articles has been written by the scholar with academic background of Advertising/Public Relations, Journalism, Business Administration/Economics or Psychology. In the past, there were more academic authors who executed research alone but recently more than two academic-related authors, academic/ company-related authors, and company/company-related authors have rapidly been increased. In the aspect of the classification institution, Ehwa woman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Kyunghee university are ranked as the most frequently posting institutes. The most popular topics are consumer behavior, mixed new media, creatives, miscellanies, media & effect and marketing areas.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similarly show that the most of the articles has been written by the scholar with academic background of Advertising/Public Relations, Journalism, Business Administration/Economics or Psychology as like the results of the Advertising Research. Same as the other journal, the various author''s association has been increased in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In the aspect of the classification institu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university, Dongkuk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are ranked in as the most frequently posting institutes. The most popular topics are consumer behavior, media & effect, mixed new media, creatives, marketing and special advertising field.

There are som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is paper has simply been repeated same procedur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not reached on in-depth analysis. Although this paper finds the theoretical value, it does not have practical support on the advertising industry. In addition, because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both journals, Advertising Research and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seem similar in their style and contents. However, since this research suggests up-to-date and objective results, it is sufficient as a valued paper.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latest tendency and expect to be contributed for the advertising research fiel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