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의 거래가 시장의 변동성에 미친 영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박정수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
- 식별자(기타) 000000107724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논문에서는 2002년 10월 14일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된 ETF(상장지수펀드)가 현물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ETF 시장에서 KOSPI 200지수를 추종하는 두 ETF (KODEX 200, KOSEF 200)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이들의 비교지수인 KOSPI 200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로 이루어진 지수포함군과 이에 대응하는 지수비포함군을 구성하여 ETF 의 도입 전후로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성 변수들이 변동성 비교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 변동성 측면에서 지수포함군과 가장 유사한 지수비포함군을 추출하기 위해 Harris(1989)가 제시한 방법을 따랐다. 이렇게 선정한 지수비포함군과 지수포함군 간의 변동성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업특성변수와 환노출 정도, 그리고 거래일 전날의 미국주가지수를 통제한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업특성변수들과 환노출 정도는 현물시장 변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미국주가지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본 논문의 주 관심사인 ETF 거래의 도입 이후 지수포함군이 지수비포함군에 비해 변동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동성의 변화가 ETF 거래에서 기인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 결과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Harris(1989)의 주가지수선물 거래가 현물시장의 변동성에 미친 영향과 같은 결과이다.
목차
New derivatives receive attention when high market volatility occurs. If the derivative increases market volatility, the derivative will come under criticism. The reason we are interested in stock market volatility is that increase in volatility means heightened risk and it relates to market efficiency.
On October 14, 2002, the Korea Exchange (KRX) began trading Exchange traded Funds (ETFs hereafter).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between the trading ETFs and its underlying stock market volatility in Korea. volatilities of KOSPI 200 stocks are compared to the volatilities of a matched set of stocks, after controlling differences in firm attributes known to affect volatility (beta, price level, market value, turnover ratio), exchange rate and American stock index. The sample period is divided into two sub-periods, before the introduction of ETFs (period A: June 29, 1998 ~ October 11, 2002), after ETFs (period B: October 14, 2002 ~ June 26, 2006). My results show that KOSPI 200 stocks have been relatively volatile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