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김수영''에 대한 헤르메스적 접근 : The Hermetic approach about ''Poet Kim Su-You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무경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사회
- 식별자(기타) 000000107499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1960년대의 대표적 시인이자 지금까지도 여러 동료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김수영은 그가 죽은 지 40여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비평적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인이다. 하지만 일치된 유명세와는 달리 그에 대한 논쟁은 극단적인 대립의 양상을 띤다. 하지만 시인 김수영은 양극단에서 주장하는 것들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A’와 ‘not A’라는 단 두 종류의 해결만이 존재하는 ‘제 3자 배제’의 원칙인 이분법적 구도는 김수영이 가지는 이율배반에 대해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를 해결하고, 김수영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이론적 자원으로 프랑스의 저명한 사회학자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구조적 3분법’을 가져오고자 한다. 그는 이러한 ‘참ㆍ거짓’이라는 이원적인 논리 또는 삼단논법에 따라 무언가를 판단하는 흐름을 ‘풍토병적인 성상 파괴주의’라고 칭하면서, 2분법적 구조가 빠트린 제 3의 종합적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3분법’을 통해 인간과 사회가 갖는 이율배반이라는 모순을 해결하려고 많은 노력을 경주한다. 더 나아가 그 모순이 부수적 사항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가 가지고 있는 당연하고 의미 있는 모습이라고 역설한다.
여기에 더해 인간이 온전히 존재했을 당시의 인간이 수행한 근원적 경험을 담지하고 있는 신화를 이용하여, 김수영을 둘러싼 여러 이분법적 구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뒤랑이 1860년부터 그가 직접 몸을 담그며 그 곁에 살았던 1980년 이후까지의 독일과 프랑스를 분석하면서, ‘구조적 3분법’을 신화로 형상화하며 가져온 세 신화 ‘프로메테우스-아폴론’, ‘디오니소스’, 그리고 ‘헤르메스’를 김수영 분석에 이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뒤랑이 말하는 신화적 구조는 문화와 시기에 따라 그 ‘내용’을 달리하지만 항상 기본적인 ‘구조’는 같은 ‘형상적 구조’를 띤다는 점에서, 김수영이 살았던 시대의 사회ㆍ문화적 맥락에 따라 세 신화는 그 모습을 달리 형상화한다. 또한 이질적인 세 신화가 갈등하면서 끊임없이 부침을 겪는다는 점에서 김수영의 내면을 지배하는 신화도 계속해서 변화한다. 따라서 김수영의 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 해방, 6ㆍ25 전쟁, 4ㆍ19 혁명, 5ㆍ16 군사쿠데타를 기점으로 어떤 신화가 우세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그리고 그 지배적 신화가 시대적 상황과 조응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대립되는 것의 중재를 상징하는 제 3의 종합적 구조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김수영을 온전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이 논문의 목적과 상통하는 것이자, 이 논문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하는 사회학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목차
Kim Su-Young, who is the representative poet of 1960s and even now exercises most great influence on other fellow poets, is poet whom critical application is getting done about despite 40 years after his death. But in spite of his agreed reputation, the controversy about him looks like a extreme confrontation. However, Because Kim Su-young has what two poles have insisted on, the dichotomic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exclusion of the third-principle'', which has only two solutions-''A'' or ''not A''-cannot explain the antinomy that Kim Su-young has.
This thesis bring the famous french-sociologist Gilbert Durand''s ''structural trichotomy'' as theoretical resources to Solve the problem and to understand Kim Su-Young better. He calls the flow, where something has been judged in this ''truthㆍfalse'' dichotomy or syllogism, ''endemic Iconoclasm'' and tries to answer contradictoriness, namely antinomy that men and society have, through ''structural trichotomy'' that can explain the third synthetic structure, which dichotomical structure has reckoned without. Furthermore, he emphasizes that the contradictoriness should be not a concomitant but a taken for granted and meaningful aspect of men and society.
Besides, This thesis want to show newly some dichotomical structure that surround Kim Su-Young, using the myth which bears foundational experience men got in the time when men wholly existed. In order to do this, This thesis use the myths-''PrometheusㆍApollon'', ''Dionysos'', ''Hermes''-that Durand figure ''structural trichotomy'' with, analyzing Germany and France from 1860 to 1980 when he lived.
But The three myths vary their''s figure as socialㆍcultural context of the time when Kim Su-Young lived in that mythical structure, which Durand explains, assumes ''figurative structure'' that has the different content but always has the same structure as culture and time. And the myth, which dominates Kim Su-Young''s inner world, also varies in that three heterogeneous myths continue to struggle and, rise and fall. Thus I examine specifically whether any of three myths occupies a prevailing position and what feature the dominative myth is figured in in accordance with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war, 4ㆍ19 civil movement, and 5ㆍ16 military coup which are regarded as Kim Su Young''s life-changing moments.
And that is like this thesis''s purpose that understands wholly Kim Su-Young, bringing positively the third synthetic structure which means negotiating what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can be said to be the sociological approach that this thesis ultimately intends to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