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祖 초기의 女眞關係와 北征 : Relationship with Jurchen and the subjugation(北征) in the early King Sejo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정두희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사학
- 식별자(기타) 000000104521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世祖 초기의 여진정책은 그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고 복잡하였다. 세조가 여진관계에 적극적일 수 있었던 이유는 국내외적으로 이전과는 다른 여건이 조성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즉 세조는 즉위하기 전에 중국을 다녀와 요동에서 明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현실을 목도하였고, 이것은 세조가 이후 적극적인 여진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국내적으로는 세조가 정권을 잡은 직후 이징옥의 난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5鎭 일대의 여진인들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이에 세조는 여진인들의 상경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이러한 상황을 진정시키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상황 속에서 東良北에 거주하는 浪孛兒罕 등 근경 여진인들과 이만주의 建州衛를 포함한 建州三衛의 왕래는 매우 빈번해졌다. 건주위인들은 평안도를 통해 상경할 수 있는 파격적 대우를 받았고,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전에 없던 후대를 받았다. 이것은 세조가 요동에서 명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는 점을 이용해, 그동안 왕래가 활발하지 않았던 요동 깊은 곳의 여진인들과도 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세조가 이런 시도를 할 수 있었던 것은 李思哲의 여진보고서가 상징하는 바와 같이 세종대 이래의 조선의 여진정책들이 안정화되고 있었던데 힘입은 바 크다. 또한 세종대 이래의 조선의 군사력은 세조대에 와서 더욱 강화되었고 이것은 국력의 내실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세조는 요동 일대까지 조선의 영향력을 넓히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세조대의 여진관계가 세조의 의지대로만 전개되지는 않았다. 동량북에서 世居하던 毛憐衛 낭발아한 사건과 그것으로 인한 근경 兀良哈 여진인들의 침입이 계속되었고, 세조의 강력한 여진 招撫策이 明의 견제를 받게 되면서 세조대 여진 관계는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낭발아한은 세종대 이래로 조선과 비교적 우호관계를 맺어 오던 동량북 일대의 올량합 추장이었다. 그가 조선에 처형된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하나는 근경여진인들과 邊將과의 오래된 갈등관계이고, 두 번째는 세조가 추진하였던 和解事의 의미이다. 조선의 변장이 근경 여진인들을 천시하였던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었다. 낭발아한이 상경 문제로 함길도 도절제사 楊汀과 불화하였던 것도 이러한 관계의 표출이라고 보여진다. 화해사는 세조가 즉위 4년 이후 근경의 올량합과 올적합이 적대하여 불화하는 것을 화해시키기 위해 신숙주를 함길도에 파견하여 이들의 화해를 중재한 일이다. 그렇다면 이 화해사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첫 째는 조선이 올량합과 兀狄哈의 갈등을 가운데서 중재함으로써 근경여진인에 있어서는 기존의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하여 그들에 대한 통제력을 한층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또 하나의 목적은 이 기회를 통하여 조선과 왕래가 거의 없었던 遠境의 올적합을 초무하려는 것이었다. 즉 이 화해사는 건주삼위를 후대하여 요동 일대까지 조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한 것과 같은 세조의 야심찬 여진정책의 하나였다. 그런데 이 일에 낭발아한이 부정적 역할을 하고 신숙주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은, 일개 여진 추장이 세조의 의도에 반하여 국가의 명령에 도전한 것이라고 세조는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의 분노는 낭발아한 일족의 처형으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낭발아한의 죽음은 시작에 불과한 것이었다. 낭발아한의 살아남은 아들 阿比車를 중심으로 근경여진인들의 집단적인 침입이 계속된 것이었다. 이것이 세조가 북정을 계획하게 되는 직접적 이유였다. 그런데 근경여진인들이 침입한 이유를 낭발아한의 죽음에 대한 복수라고만 단순하게 이해할 수는 없다. 보다 구조적인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즉 조선이 5진을 경영한 이래 본래 그 곳에서 살던 여진인들은 조선에 투화하여 조선인화하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하였으나 여진인들로서는 그것이 그리 달가운 것만은 아니었다. 많은 여진인들은 그들의 종족적 특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화해사와 같이 한층 강화된 세조대의 근경여진인에 대한 압박정책은 조선과 근경여진인간의 갈등을 증폭시켰다. 즉 낭발아한 처형사건은 세조의 강력한 압박정책의 산물이었고, 근경여진인들의 계속되는 침입은 이에 대한 그들의 집단적인 저항이었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바로 조선과 근경여진인간의 오래된 갈등관계의 폭발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세조는 북정이라는 무력적 방법을 동원하여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려고 한 것이었다.
그러나 세조가 북정을 단행한데에는 명에 대한 반감도 한 몫을 하였다. 즉 명은 적극적인 여진정책을 추진하는 세조를 견제하기 위해 수차 使臣을 파견하거나 勅書를 보내어 조선을 압박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명의 견제와 간섭에 대하여 강력하게 맞섰다. 그것은 ‘夷狄이 夷狄으로 행동하는 것이 떳떳하면 이적으로 행동한다’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북정이 실제 실시되기까지 세조에게는 명의 존재라는 중요한 고민이 있었지만, 세조 6년 8월 신숙주는 여진인 추장 90명을 처형하고 북정을 단행하였다.
목차
The policy to Jurchen in the early King Sejo was more proactive and complex than ever. The reason King Sejo could be aggressive to Jurchen was due to different conditions around the Chosu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t that time. Before King Sejo took his position as a king, he had a chance to visit China. At that time he observed the diminished influences of Dynasty Ming in Liaodong(遼東). This was the major reason why he could be more assertive in setting up the policy to Jurchen.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Jing-Ok Lee’s Rebellion soon after he took his throne. This rebellion was enough to shake up the Jurchens in the 5-Jin(五鎭) areas. King Sejo had tried to appease the Jurchen by leading them to come into the capital to settle into.
In a situation like this, Nang-bal-ah-han(浪孛兒罕) and Gun-ju-sam-wi(建州三衛) was trafficable one another. King Sejo allowed Gun-ju-sam-wi to come up to the capital through the Pyung-an-do(平安道), which was drastic change and treatment unprecedented. This was King Sejo’s political intention to build up a new relationships with Jurchen in Liaodong that was not associated in the past by taking advantage of Dynasty Ming weakening political power in Liaodong area. and as Jurchen Report of Sa-Chul Lee symbolized, this attempt King Sejo did thanks to the stabilized Jurchen policy of Chosun since King Sejong. And the military power of Chosun since King Sejong had been enhanced and had become even stronger in the times of King Sejo. This had been firming up the national power. King Sejo had an eager to expand its influence to the Liaodong area under this circumstance.
However, the relationship with Jurchen was not progressed as he wanted to pursuit. That is, The incident of Nang-bal-ah-han occurred and due to this, the Ol-ryang-hap(兀良哈)''s invasion was continued to occur. And the checks from Ming to King Sejo''s Jurchen policy made more complicated the relationship with Jurchen in the end.
Nang-bal-ah-han was the chief head of Ol-ryang-hap in Dongryangbuk(東良北) region that had a tighter relationship with Chosun since King Sejong. To comprehend the incident of him being executed in Chosun, there were two factors to think of. One is the long-term hatred and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Jurchen and a government official of Ham-gil-do(咸吉道), the other is the meaning of Hwa-hae-sa(和解事) that King Sejo had promoted. Hwa-hae-sa(和解事) is the mediation work by sending Suk-Joo Shin to Ham-gil-do to reconcile two parties, Ol-ryang-hap and Ol-jeok-hap(兀狄哈) when King Sejo was on this throne at his 4thyear. Then, what was the reason or objective to reconcile these two? First, Chosun intended to maintain its existing influence and to make its control over the neighboring the Jurchens by mediating these two, Ol-ryang-hap and Ol-jeok-hap. Another objective was to build up a new relationships with Ol-jeok-hap in Liaodong that had not been in any relationship so far.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reconciliation was to pamper Gun-ju-sam-wi to Liaodong region in order to expand the influence of Chosun. This was one of the ambitions of King Sejo for the Jurchen policy. However, this affected negatively to Nang-bal-ah-han and the Jurchen chief not following to the order of Suk-Joo Shin, this meant to go against King Sejo’s intention. This behavior reflected as a rebel towards King Sejo and at his rage, it ended up executing the family of Nang-bal-ah-han as a result.
The death of Nang-bal-ah-han was a just start of many other incidents. The surviving son of Nang-bal-ah-han, A-bi-geo(阿比車) with the neighboring Jurchen had attacked collectively. This was the reason why King Sejo planned subjugating Jurchen. However, the attack of the neighboring Jurchen was not pure revenge for the death of Nang-bal-ah-han. It apparently had other hidden agendas more than it appeared to be. When Chosun governed 5-Jin and since then many of the Jurchens in the region naturalized as Chosun nationals, but it was not that welcomed by the Jurchens. Therefore, many other Jurchens wanted to maintain their heritages by sustaining its tradition and culture. However, the strengthened oppressive policy towards to the Jurchen in the period of King Sejo incurred more conflict with Chosun and other Jurchens. The execution of Nang-bal-ah-han was the result of King Sejo’s oppressing policy and the continuous attack of the neighboring Jurchen was the collective resistance for that oppression. This was the explosion from the long lasting conflict between Chosun and Jurchen. King Sejo had tried to solve this by subjugating Jurchen with the forceful coercive ways to Jurchen.
However, King Sejo also had some anti Ming sentiments and this had influence on subjugating Jurchen. Dynasty Ming had the checks towards King Sejo for his aggressive policy towards Jurchen and Ming sent frequently delegates with official letters to threat Chosun. But, King Sejo firmed had confronted to the checks and the interferences. Because he had confidence himself. Up until to facilitate subjugating Jurchen, King Sejo went through some major concerns due to the Ming’s strong presence, but he had executed 90 chiefs of Jurchen by ordering Suk-Joo Shin when it was his 6th year as the King in Chosun and pushed to subjugate Jur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