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문방송
- 식별자(기타) 000000104499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연구는 전통적 공동체의 상실현상이 고령화 사회의 대두와 맞물리면서 일어나는 노년층의 외로움과 소외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터넷 공간 내에서 회원가입을 통해 자생적으로 형성되는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에 주목하였다.
많은 근대적 사회학자들이 오프라인 커뮤니티의 해체현상을 진단해 왔지만 오늘날 일부 미디어 학자들을 중심으로 20세기 후반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이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 현상들이 커뮤니티 회복의 전조라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는 ‘공통의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누구든지 간단히 인터넷 접속을 통해 자유롭게 참가해서 교류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만들어 내는 것은 이용자들의 참여행위이다. 정보를 제공하는 측과 이용하는 측이 확실히 구별되는 게 아니라 이용자들이 게시판에 글을 올림으로써 정보가 생산되고 축적된다. 즉, 이용자들이 정보의 생산자이자 수신자인 셈이다.
인터넷 커뮤니티는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자발적인 가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능동성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이런 수용자의 능동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용자는 능동적인 수용자임에도 불구하고 게시판에 게시물을 올리는 참여자와 남의 게시물을 읽고만 나가는 잠행자로 그 참여정도가 다시 나누어진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선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용동기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근거로 추출해보고자 했다. 일반적인 인간의 욕구충족에 의한 동기화가 행위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동기에 따라 그 참여정도와 이용정도가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의 중심이 되는 능동성을 기존 매체 중에서 인터넷 이용동기와 가장 유사한 동기를 갖는 텔레비전 이용행태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능동성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이와 함께,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를 매개로 상호작용성을 구현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게시물의 성향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라는 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위의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1> 노년층 인터넷 이용자들이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1-2>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에 따라 커뮤니티 참여 정도(참여자/잠행자)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3>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에 따라 커뮤니티 이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능동성 정도에 따라 커뮤니 티 참여 정도(참여자/잠행자)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의 게시물 성향에 따라 상호작용성의 정 도 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위해서는 온ㆍ오프라인 서베이를 병행하였으며(N=256),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게시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과 관련된 동기요인으로 ‘정체성 확인동기’, ‘현실도피 및 오락 동기’, ‘정보추구 동기’, ‘동질적 관계형성 동기’, ‘관심사 공유 및 취미활동 동기’의 5가지가 추출되었다. 노년층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주요한 목적은 ‘정체성 확인’, ‘현실도피 및 오락’과 ‘정보추구’였으며 특히 인터넷 커뮤니티의 속성을 반영하는 ‘정체성 확인‘은 타 매체의 이용동기와 차별화되는 요인이었다. 또한 ’현실도피 및 오락‘동기에서 타 연령층과 구별되는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만의 독특한 문항인 ‘배우자나 가족ㆍ친지 등의 상실로 인한 슬픔을 달래려고’가 중요한 동기임이 입증되었다.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참여정도간의 비교에서는, ‘관심사 공유 및 취미활동’ 요인에서만 참여자 집단과 잠행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참여정도와는 상관없이 커뮤니티 이용자들이 ‘정보추구’, ‘정체성 확인’, ‘동질적 관계형성’, 그리고 ‘현실도피 및 오락’의 동기를 갖고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이용정도간의 비교에서는, 부분적으로 이용동기에 따라 이용정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심사 공유 및 취미활동’ 동기에 대해서는 이용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커뮤니티 이용정도에 관한 거의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서 이 동기를 갖은 사람들이 커뮤니티 이용에 가장 적극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반면에 ‘정보추구’ 동기는 어느 항목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으며 이는 ‘정보추구’ 동기가 이용정도와 상관없이 두 집단 모두에게 해당되는 동기라고 해석할 수 있다.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참여자와 잠행자의 능동성의 차이에서는 두 집단간의 능동성의 차이는 발견되었지만 ‘관여 및 시청 후 활용’ 요인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능동성의 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시판의 게시물 성향에 따른 상호작용성의 정도에서는 정서적 성향의 게시물에 더 높은 상호작용성이 구현된다고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정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들이 너무 포괄적이었고 그 대상이 젊은층에 국한되었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노년층 인터넷 이용자들의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동기를 추출해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신체적 노화와 더불어 사회적 역할의 상실에서 오는 소외감을 느끼게 되는 노년기에, 노년층 인터넷 커뮤니티는 시ㆍ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통의 관심사를 갖은 동년배집단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재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본다.
목차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et community of the elderly which is based and formed voluntarily on the internet.
Although there have been the pros and cons of the internet communities, it is undeniable that they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our liv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what the motives in using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are in the framework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Methodologically,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May 1 and May 20, 2007 among a sample of 256 seniors, age 55 and older. In addition, to examine the interactivity in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RQ1-1: What are the use motives of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users?
RQ1-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according to use motives?
RQ1-3: Is there any differences in using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according to use motives?
RQ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according to activity?
RQ3: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teractivity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ent on the bulletin board is emotive or informative?
The following five factors emerged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establishment of identity, escapism / pastime, information seeking, relationship, sharing interest / hobby. These five factors explained 62.44% of the variance.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establishment of Identity is the main purpose in using the community,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internet community. But other two factors -escapism/pastime and information seeking -are significant as well. Especially, "Soothing the sorrow caused by the loss of acquaintances" was the unique item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young users.
With respect to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in the internet community according to use motive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active participants and passive participants(lurkers) only in the use motive of sharing interest and hobby.
Concerning differences in using the internet community according to use motives, there were, in part, some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users who had the use motive of sharing interest and hobby were the most active in using the community and both of the groups(participants and lurkers) had the use motive of information seeking.
In terms of audience activity between participants and lurkers, the difference was found, but not muc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verified that emotional contents had much more interactivity and participants could get emotional support.
In this regard,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 I conclude, might be an adequate substitute for traditional communities for the elderly, developing affective ties and social networking. But It must not be taken as an idealistic model for the future. It should be given special attention over time.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one on the Elderly Internet Communit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use motives and use activities.
This study may have a weak point in representation and generalization because of convenient sampling, not random sampling. In addition to sampling problem, question wording and practical difficulties in online survey may introduce some errors or bias into the finding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