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디지털미디어 수용자의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능동성에 관한 연구: 다음(Daum)의 텔레비존을 중심으로 :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udience Activity for Digital Media: in the study of Telzone Us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393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상호작용성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징은 수용자에게 미디어 및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통제권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호작용성으로 인해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이용자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수동적인 수신자에 머물지 않고 스스로 콘텐츠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는 제공자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상호작용성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매체, 콘텐츠와 수용자를 둘러싼 환경을 매개하는 개념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능동적인 수용자를 재발견한 이용과 충족 접근은 새로운 매체가 출연함에 따라 새로운 매체의 이용동기와 시청행위의 변화를 밝혀내는데 커다란 공헌을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 능동성을 능동적 이용행위로 좁혀서 인터넷 미디어를 이용하는 수용자의 능동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분석 사례로는 다음(Daum)의 텔레비존을 선택하였으며, 텔존은 개방적 커뮤니티를 지향하고 누구에게나 정보가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폐쇄형 커뮤니티보다 높은 상호작용성을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수용자 능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로 접근하였다. 텔존의 이용동기는 무엇인가?, 상호작용성 인지도에 따라 능동성에 차이가 있는가?, 능동적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무엇인가? 첫째, 텔존의 이용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통해 동일한 취향의 타인과의 교류, 개방성, 정보성, 오락성, 유인성 등의 텔존의 이용동기 요인을 추출했다. 둘째, 상호작용성 인지도에 따른 능동성에 차이분석을 위해 먼저 능동적 이용행위를 요인분석 하였다. 각 요인에 대해 상호작용성 인지도 평균을 중심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상호작용성 인지도에 따라 능동적 이용행위에 차이가 있음을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밝혀냈다. 셋째, 능동적 이용행위에 설명력이 높은 예측변인은 무엇인가? 능동적인 이용행위는 유통/생산 행위, 소비 행위, 참여 행위로 요인분석 되었다. 이것을 종속변인으로 1단계 인구통계학적 변인, 2단계 이용동기 변인, 3단계 지각된 상호작용성 변인을 단계별로 투입하는 위계적 다변인 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통/생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변인은 동일한 취향의 타인과의 교류였으며, 지각된 상호작용성 변인에서는 수용자 인지도가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소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변인은 개방성, 정보성, 동일한 취향의 타인과의 교류의 순으로 측정되어 소비 행위에 있어서 텔존 커뮤니티에서 개방성의 영향력을 확인시켜 주었다. 지각된 상호작용성 변인에서는 수용자 인지도가 설명력이 높았다. 참여 행위에서 예측력이 있는 이용동기 변인은 동일한 취향의 타인과의 교류였다. 그리고 지각된 상호작용성 변인에서는 콘텐츠 인지도였다.

more

목차

In the era of digital media,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variables is the Interactivity. This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ity enables audience to control the process of use in media and content. It asserts that interactivity is a contextualizing facility that mediates between environments and content and users. In doing 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udience activity through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various factors concerning the usage motivation in telzone use. The analytical results shows that user''s motivations of telzone are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having the same tastes'', ''openness'', ''information'', ''entertainment'', ''enticement''.
The study can explain that the group of having high-recognition concerning perceived interactivity is more active than the group of having low-recognition. The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were demonstrated in statistics.
User production becomes possible when the user is positioned/can position themselves in a proactive role with regards to culture and the creation of content. The active audience can be positioned with regards to the generation of content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ree qualitatively different modes of interactivity. These modes are consumer, processor, generator interactivity. In this research, audience activity is defined as a active usage behaviour. And the factors is abstracted from the active usage behaviours; ''distributive/productive behaviour'', ''consuming behaviour'', ''participate behaviour''.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having the same tastes'' and user perception in percieved interactivity is the most relevant variable to predict the distributive/productive behaviour. The factors of ''openness'' and user perception in percieved interactivity is the most relevant variable to predict the consuming behaviour.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having the same tastes'' and content perception in percieved interactivity is the most relevant variable to predict the participate behaviou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