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R&D실태분석을 통한 외국인직접투자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to Improve the Policy of Direct Foreign Invest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R&D Investment by Companies Engaged in Direct Foreign Investment in Korea :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Survey of R&D in Science and Technolog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모창환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377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진출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현황파악 및 분석을 통하여 외국인직접투자정책의 발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연구개발인력 및 연구개발비 등) 현황을 조사하는 지정통계인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의 조사대상기관 중 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한 2002년에서 2005년까지의 기업체를 대상으로 하고, 이들 기업을 산업자원부에 등록된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국내기업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매출액과 연구개발비 비중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연구개발집약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국내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의 기술수준별 연구개발비 비중은 국내기업이 High technology산업에 전체연구개발비의 55% 이상, Mid-High technology산업에 22% 남짓 사용하고 있는데 비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은 High technology산업에 30%, Mid-High technology산업에 50%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조업의 기술수준별 연구개발집약도 역시 국내기업이 High technology산업에 매년 6% 전후의 연구개발집약도를 나타낸 반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연구개발집약도는 그 절반인 3% 이내였다. 하지만,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High technology산업에 대한 집약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투자국가그룹별로 보면, 기술하위그룹의 매출액과 연구개발비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반면, 국내기업과 기술우위그룹의 매출액과 연구개발비 비중은 줄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내기업이 외국인직접투자기업보다 종업원 천명당 연구원수는 더 많은 반면,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 더 적었다.
또한,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변수가 무엇인지 회귀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첫째, 국내기업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에 비해 연구개발활동이 더 활발하다. 둘째, 벤처기업이 비벤처기업에 비해 연구개발활동이 적극적이다. 셋째, 산업별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연구개발투자가 활발하다. 넷째, 기업규모가 클수록 연구개발투자가 더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에 IMD 과학·기술경쟁력 순위를 적용해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다만 외국인직접투자기업 내에서도 벤처기업이 비벤처기업에 비해 연구개발활동이 활발하고, High technology산업의 연구개발활동이 왕성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술파급효과(spillover effects)를 염두에 두고 투자업종과 금액으로 지원여부를 결정하고, 특히 고도기술을 수반하는 업종에 대해서는 투자금액의 제한 없이 조세감면, 토지 및 임대료 감면, 현금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현재의 외국인직접투자정책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직접투자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투자업종에 따른 지원에서 고용창출과 입주지역에 따른 차등적 지원으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성과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에 대한 무조건적 조세지원을 축소 혹은 폐지하여 국내기업과의 역차별을 제거하고, 경제자유지역 등의 입주는 국내기업에게도 기회를 제공하여 외국인투자기업과의 경쟁을 촉진시키면서 낙후지역을 함께 개발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연구개발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정책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방향설정과 정책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all enterprises which had an R&D center or R&D related departments during the period 2002-2005 from among the Korean enterprises listed in the "The Survey of R&D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se enterprises are categorized into foreigner''s direct investment and domestic on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nual turnover and R&D expenditur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are increasing, but the concentration rates of R&D expenditures are lower than those of domestic enterprises. Second, the amount of R&D expenditures in domestic manufacturing enterprises is above 55% in the high technology field and about 22% in the mid-high technology field with regard to the total amount of R&D expenditures, but these amounts are about 30% in the high technology field and around 50% in the mid-high technology field in the c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Third, the concentration rates of R&D expenditures are estimated to 6.0% annually for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but 3.0%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However, the concentration rates of R&D expenditure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Fourth, this study shows that the annual turnover and R&D expenditures are increasing in the inferior technology group, while decreasing in the advanced technology group and among domestic enterprises. Fifth, the number of R&D people per 1,000 employees in domestic enterprises is superior, but the average R&D expense per researcher is less than that for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underlying factors for decisions on R&D investment are as follows.
First, R&D investment among domestic enterprises is more than that of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Second, venture enterprises are more aggressive than conventional enterprises in terms of their R&D activity.
Third, the higher the technology level, the more active the R&D investment. Fourth, the larger the enterprises, the higher the scale of R&D investment. Finally, although a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competitiveness rank of IMD science and technology in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the result of which is not statically valid. However, the trend in R&D investment is similar to the results shown for domestic enterpris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no absolute evidence to suggest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are superior to domestic enterprises in terms of R&D inve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policy of foreign investment, such as the decision to support according to the investment fields and the amount in consideration of the spillover effects, and the many existing incentives - especially tax or rental fee exemption and supporting cash.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ment method for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the supporting rule should be changed or vari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s or demand in a local area. Second, a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compensation awarded based on continuous evaluation. Finally, generating competition between enterprises and improving local economies ar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considering the need to reduce or withdraw supporting tax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and provide equal opportunities for domestic enterprises.
This study offers a significant evaluation of the R&D activiti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and provides policy directions fo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policies in Korea.
Accordingly, it is strongly expec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util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establish a new policy for inducing foreign direct inves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