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향전>의 공간이동 양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the aspect and its meaning of spatial translation in <Suk-Hyang Ju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주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331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소설의 공간은 배경이라는 아주 기본적인 공간의 개념에서부터 작가나 등장인물의 내적 세계를 반영하는 하나의 공간, 즉 인간이 세계에 대해 가지는 전망으로서의 역동적 개념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층위를 지니고 있다. 소설의 공간 설정에는 당대 향유계층과 작가가 지니는 공간 인식이나 관념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숙향전>의 공간도 이와 같은 중요성을 띤다. 그러나 그동안 <숙향전>의 공간 논의는 적강소설의 공간구조 체계에 그쳤으며 그 이상의 공간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본고는 <숙향전>이 적강소설의 공간구조를 이루고 있는 점 외에, 작품의 서사에서 활발하고 광범위한 공간이동이 일어나고 공간이동이 <숙향전>의 서사 원동력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공간이동 양상과 그 서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공간이동은 인물이 지향하는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숙향전>의 공간이동 분석을 통해 <숙향전>의 공간 설정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당대 향유계층과 작가가 지니는 공간 인식이나 관념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숙향전>에 나타나는 천상계, 선계, 수궁계와 명사계를 총칭하는 수직 공간의 특징과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숙향전>에 나타나는 공간이동 양상을 천상계→지상계→천상계의 수직 축 공간이동과 지상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수평 축 공간이동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수직 축 공간이동은 적강소설의 공간구조와 동일하며 본고에서는 특히 수직 축 공간이동과 지상계 공간이 갖는 관계를 그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본다.
수평 축 공간이동은 <숙향전>의 두 주인공인 숙향과 이선의 지상계 공간에서의 삶을 통해 나타난다. 두 주인공의 공간이동 구조와 숙향과 이선이 직접 다녀오는 수직 공간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본다. 그리고 이러한 수직 축 공간과 수평 축 공간이 상호 관련되어 수직 축 공간이 수평 축 공간의 서사 전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파악해 본다.
Ⅳ장에서는 이와 같은 공간이동은 당대 향유계층(또는 작가)이 지향하는 의식과 관념의 반영으로 형상화 되었으며 그 지향 의식은 작품의 서사 원동력인 공간과 공간이동 설정을 하는 서사적 의미를 갖는다. 그 서사적 의미를 도출하고 그것으로 세부적인 공간과 공간이동 설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해 본다.
본고는 17세기에 애독되었던 <숙향전>의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숙향전>의 분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 시도이다. 그 결과 <숙향전>이 적강소설의 공간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논리적이고 통일성 있는 공간이동 양상을 드러내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고는 앞으로 공간의 유형과 그 의미 규명에 편향되었던 고소설에서의 공간연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작품에 다양한 공간론을 적용하여 고소설의 공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밝혀내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목차
The space in the novel reflects not only the elementary spatial term, but also the inner point of view of writers and characters. In other words, it has various layers which also includes dynamic perspective of the world. When it comes to spatial establishment in a novel, the upper class of the period as well as writer''s spatial recognition and conception become significant elements. The space in
This thesis inquires into the aspect of spatial translation and its narrative significance, focusing on not only on the fact that
Chapter Ⅱ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vertical space including celestial world, fairy world, underwater world, and meditation world.
Chapter Ⅲ divides the spatial translation in
The horizontal spatial translation in
Chapter Ⅳ discusses the fact that the spatial translation encapsulates the reflection of the upper class consciousness and conception at the period and such consciousness has a narrative significance which establishes narrative motive, space and spatial translation. Moreover, chapter Ⅳ deduced its narrative significance and analyzes how the detailed space and spatial translation established itself in the novel.
This thesis made an effort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analysi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