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Cooperative Learning Effects of Short Story Readings in High School Englis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신경원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266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연구에서는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H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5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다. 사전 성취도 수준이 유사한 2개 학급을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의 경우 11주 동안 2인 1조의 이질 동성집단을 구성하여 영미단편소설을 교재로 화요일과 목요일에 정규 수업을 통해 협동학습으로 실시되었고 통제집단은 영어교과서를 활용한 교사중심의 강의식수업만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 활용한 통계분석은 SPSS WIN 12.0의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적용하였고, Microsoft Excel의 도표 기능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질문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읽기능숙도가 통제집단 보다 향상되었는가?
두 집단 간의 영어 읽기능숙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 전·후 읽기능숙도 평가와 영어 중간고사 성적결과로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 전 읽기능숙도의 유의도가 0.796으로 동질집단이었던 두 집단은 영어 중간고사에서 유의도가 0.000으로 이질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어서 실시한 실험 후 영어 읽기능숙도 평가결과에서도 두 집단의 유의도가 0.026으로 나타나면서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실험 집단의 영어 읽기 능숙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수업이 흥미, 이해, 참여도를 증진시키는가?
설문조사 및 상담을 분석한 결과, 하위 수준의 학습자는 혼자서 해결하기 힘든 과제를 동료의 도움으로 해결함으로써 학업성취를 높이고, 상위 수준의 학습자 역시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영미단편소설을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져 흥미, 이해, 참여도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중위권 학생의 경우,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협동학습 시 설명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교사로부터 단기적으로 많은 지식을 얻기를 원함으로써 흥미 및 참여에 낮은 비율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셋째,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교사 역할에 대한 생각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설문조사 분석한 결과, 수업전반을 일방적으로 가르치기만 하는 강의자(instructor)역할을 하는 교사가 아닌 “도와주는” 각도에서 학습의 도우미 및 촉진자(facilitator) 역할을 하는 경영자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통하여 많은 긍정적인 결과들을 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영어교과서 수업과 맞물려 수행평가로써 프로젝트를 완성해야 하는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지속되는 수행평가에 대한 부담감을 하소연하기도 하였고 본 연구자 역시 학생수준에 맞는 영미단편소설의 교재선정에 다소 고심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표본 추출과 짧은 연구기간 등의 이유로 일반화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영어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는 실증적 고찰을 통해 낡은 교수법을 버리고 새로운 학습방법을 연구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게 영어교육의 변화에 궤도수정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목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operative learning effects of short story reading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To carry out this study, two classes of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from South Choongchung provinc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ading pre-tests.
In the experimental clas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pairs of differing ability levels where one partner has recorded higher scores than her partner if possible. They participated in a student-centered activity of reading based on American & British short stories every Tuesday and Thursday for 11 weeks. The control group students received a teacher-centered lecture using the standard course textbook.
SPSS WIN 12.0 with frequency analysis and an Independent t-test were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reading tests, and Microsoft Excel was adopted for the charts of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three conclusions were reached as major findings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effects of short story reading.
Firs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se Significance was 0.796 as a homogeneous groups on their pre-reading test gradually showed a greater difference with a Significance of 0.000 on the midterm exam results. After two weeks, Sig. was 0.026 on the reading post-test so they matched the heterogeneous groups. Therefore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reading skills.
Second, after analyzing questionnaires, both high and low-level students'' interest,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appeared higher than before. However, some intermediate-level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actively by not helping their partners. These factors presented major obstacles in inducing their participation, interest and comprehension.
Third,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teacher found and aided the learners in need, rather than acted as a director who only lectured to the class, since they observed the teacher explaining as little as possible and working with pairs on their assignments directly. Therefore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rongly thought of their teacher''s role as a facilitator.
As shown above,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ositive aspects in student-centered reading activities. At the same time, however, some students complained, saying they felt overwhelmed in conducting the projects because these were in addition to their regular assignments. Even the researcher also felt a greater burden in preparing extra course work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its sampling of subjects and its short term of study. However, when Korea''s English education paradigm is changing, we need to make revolutionary changes by discarding old teaching methods and researching new ones. A great deal of effort should be mad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get used to the gradual changes of this new edu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