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 Causal Effect of Co-residence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전현배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
  • 식별자(기타) 000000104245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7차년도(2004)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가질 수 있는 내생성을 고려하지 않고 외생적인 설명변수로 다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대하여 내생성을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 효과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우선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기혼여성의 노동공급과 낮은 상관관계를 갖는 도구변수를 모색한다. 그리고 ‘장남을 제외한 남편의 출생순서’가 타당한 도구변수로서의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선택된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회귀분석(OLS)과 도구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2SLS)을 비교한 결과,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는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대하여 내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밝혔다.

more

목차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residence with parents or in-laws on the labor supply of Korean married women. Previous literatures have consistently found that co-resid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There is an increasing recognition that co-residence should be treated as endogenous because co-residence and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are jointly determined.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2004, we construct instrumental variable (IV) which is the birth order of husband excluding the eldest among siblings. After correcting endogeneity, IV estimation results cast doubt on the argument that co-resid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bor supply of marred wome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