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es du Lyrisme verlainien dans Romances sans paroles : 『말 없는 연가』에 나타난 서정성의 형태 : 우수와 음악성을 중심으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Castagnes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불어불문
- 식별자(기타) 000000103674
- 본문언어 프랑스어
초록/요약
L’axe principal de notre recherche est « le lyrisme » des Romances sans paroles. Nous étudions comment la voix du moi poétique s’amoindrit et se multiplie à travers les deux autres axes de la mélancolie et de la musicalité. Le recueil Romances sans paroles est publié en 1874 par Paul-Marie Verlaine. Il se compose des quatre sections : « Ariettes oubliées », « Paysages belges », « Birds in the night » et « Aquarelles ». Verlaine s’est déjà écarté de l’effusion lyrique du Romantisme, depuis son premier recueil, Poèmes saturniens. Pourtant, c’est dans les Romances sans paroles que Verlaine essaie ce que Jean-Pierre Richard appelle « le lyrisme impersonnel », peut-être, sous l’influence de Rimbaud. D’autre part, on remarque le fait qu’il y a « une poétique de la suggestion », qui est une tendance du Symbolisme. L’identité du sujet poétique ou des autres existences n’y est pas claire. Le temps climatique (la brume, la neige, la pluie...) renforce cette identité ambiguë des existences. Le sujet poétique semble se confondre avec toutes les autres existences. Il laisse surtout ses sensations ouvertes vers l’extérieur. On trouve quand même une continuité, une unité dans cette discontinuité, dans cette pluralité des existences. On peut relever une telle continuité au niveau syntaxique. Par exemple, la syntaxe simple proche du style parlé, peut donner une certaine unité au recueil. Les phrases nominales sont relevées aussi en tant que traits simples au niveau syntaxique. Elles sont notables, en particulier, car elles évoquent la technique utilisée par le courant pictural de la fin du ⅩⅨe siècle, « l’impressionnisme ». Par exemple, dans le poème « Walcourt » des « Paysages belges », des phrases nominales sont juxtaposées comme les taches de couleurs des peintres impressionnistes. On trouve également dans le poème « Bruxelles, Simples Fresques Ⅰ, Ⅱ », l’esthétique de l’éphémère : la variation du paysage est décrite avec la fuite du train. Somme toute, il s’agit de la fusion et de la séparation des existences diverses dans la tonalité atténuée. Notons que c’est dans la rêverie que la fusion et la séparation des existences seront facilement acceptables. La rêverie, favorisée par l’imagination du moi poétique, est accompagnée de solitude. Elle est mélancolique, en quelque sorte, comme on le voit dans un poème « Spleen » de la section « Aquarelles ». Car la définition du mot « spleen » s’apparente à celle de « la mélancolie ». Pourtant on remarque aussi que les deux correspondent à des réalités culturelles différentes. D’autre part, on relève le mouvement du balancement (de l’escarpolette) dans la rêverie mélancolique du recueil. Ce va-et-vient, en évoquant le berceau, semble lié au retour du temps infantile. Nous pourrions dire que l’énonciateur hésite entre deux pôles opposés : le passé du souvenir et le présent de l’écriture. Il faut remarquer également l’opposition entre harmonie et discordance dans le recueil. La dissonance semble exister pour empêcher une sorte de « mort », de silence absolu, d’obscurité, qui peuvent naître de la léthargie. La répétition du balancement, en rendant le contour de ce mouvement flou, crée un creux intemporel, une sorte d’hypnose. De même, le thème de l’eau a pour fonction d’estomper la distinction des existences. Par ailleurs, l’imagination du sujet poétique pourrait s’élargir au creux de la rêverie mélancolique. La voix du sujet lyrique se mêle au murmure des autres existences et du monde. Et elle s’y évapore comme des notes de musique. C’est la musique qui offre une continuité dans ce mélange des voix, à laquelle, sans doute Verlaine emprunte le pouvoir de l’évocation. Pour accéder à la musicalité des Romances sans paroles, un regard sur le poème intitulé « Art poétique » de Jadis et naguère est nécessaire. Car la musicalité du recueil, qui repose, en particulier, sur les vers impairs et l’assonance au lieu de la rime, illustre la théorie contenue dans ce poème. Comme dans les chansons populaires, les poèmes du recueil contiennent souvent un refrain. Pour renforcer cette musicalité, Verlaine a besoin d’assouplir les règles classiques, en pratiquant l’enjambement, le rejet et le contre-rejet. La tonalité principale de Romances sans paroles est douce et basse. Les existences ne parlent qu’à voix basse. Nous trouvons aussi un jeu sur les phonèmes dans cette tonalité. Dans les Romances sans paroles, l’imagination du sujet poétique naît dans un creux de la rêverie, qui est rempli de musicalité et de vagues sensations. Dans le recueil suivant, Sagesse (1880), c’est la voix de Dieu qui comblera ce vide. Verlaine semble avoir trouvé la paix absolue grâce à cette foi chrétienne. Néanmoins, on dit souvent que c’est dans les Romances sans paroles que l’intuition naturelle et suggestive de Verlaine s’épanouit le mieux.
more초록/요약
본 논문은 폴 베를렌느 Paul Verlaine(1844~1896)의 시집 『말 없는 연가』Romances sans paroles를 대상으로 하여 서정성 lyrisme, 우수 mélancolie 그리고 음악성 musicalité이라는 세 가지 축을 적용한다. 이 세가지 주제는 베를렌느의 시 인생 전반에 걸쳐 거의 연속적으로 드러나는 그만의 시적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세 주제가 『말 없는 연가』라는 시집에서 갖는 위치를 파악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비인칭 주어와 암시적 기법 등의 시적 실험을 가장 멀리까지 밀고 간 이 시집은 서정성에 있어서의 모순과 같은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말 없는 연가』만의 이러한 목소리를 포착하기 위해, 베를렌느의 다른 시집들과의 관계를 파악하며, 또한 세 주제를 중심으로 베를렌느와 다른 시인들, 예를 들어 위고, 랭보, 말라르메와 같은 거의 동시대의 시인들이나, 다음 세대라고 할 수 있는 아폴리네르와의 비교를 제시한다. 『말 없는 연가』는 베를렌느가 1872년에서 1873년 사이에 쓰고 1874년에 출간한 시집이다. 베를렌느는 한때 고답파 Parnasse에 가담하기도 했으나 보들레르, 랭보, 말라르메와 함께 형식과 외적인 정확성에 머무르는 고답파를 떠나게 된다. 이후 그는 상징주의 Symbolisme, 인상주의 Impressionisme 등의 일파로 분류되는데, 특별히 이 시집을 쓸 당시에 랭보와 함께한 사랑, 여행, 모험 그리고 시적 교류는 여러 비평가들의 엇갈리는 반응에도 불구하고 랭보의『말 없는 연가』에 미친 영향을 간과할 수 없도록 한다. 시인이라면 감각의 착란 délire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자아 moi의 한계를 극복하며 나아가 타자 autre와 만나야만 비로소 견자 voyant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랭보의 시적 인식을 베를렌느가 가지게 된 것은 그러한 교류의 일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답파와 상징주의가 그 이전의 낭만주의가 지향했던 자기 감정의 토로 effusion lyrique에 반기를 든 것과 같이, 자아로부터 타자로 나아가려는 시도를 통해 이 시집을 쓸 당시, 베를렌느는 중요한 시적 변환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시적 자아가 시집 전반에 걸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즉 서정성 lyrisme의 표현 방식을 가장 기본이 되는 분석의 틀로 삼는다. 우선 시적 자아가 비인칭을 사용한 발화를 통해 그 목소리의 비중을 축소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그렇게 작아진 발화자가 자기 주변의 사물들 choses과 동일선상에 놓이며, 자기 자신과 주변을 객관적인 관찰자와 같은 입장에서 포착하는 모습을 볼 것이다. 이 때 자아는 자연 현상을 포함한 주변 환경에 대하여 감각적으로 열려 있는 수동적이기까지 한 상태가 되게 된다. 베를렌느 시에 있어서 큰 특징으로 간주되는 안개와 비, 파스텔 색조 등의 사용은 이 자아의 바깥과 안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주는 윤활유의 역할을 한다. 이어서 이렇게 와해된 자아에도 불구하고 시집 속에서 유지되는 어떤 단일한 통일성을 시의 통사 구조 속에서 찾아본다. 또한 명사문 phrase nominale의 사용과 같은 인상주의 기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논문의 두번째 주제는 주로 자아가 과거를 회상 할 때 나타나는 우수의 감정에 대한 고찰이다. 우선 시집의 맨 마지막 묶음인 « Aquarelles » 안의 « Spleen » 이라는 시의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과거 회상과 그로 인한 우울한 감정의 발현을 살펴본다. 이 때 두 단어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다른 기원과 발전 양상을 함께 확인한다. 더불어 보들레르가 « spleen » 이라는 말을 최초로 문학적, 시적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베를렌느에게 있어서는 그 단어의 사용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과거 회상 과정에서 생기는 한 움직임 즉 흔들림 bercement의 동작을 본다. 그네 escarpolette라는 모티브 motif를 통해 두 번째 아리에타에서 표현되는 이 움직임은 왔다갔다하는 동작의 반복 속에서 하나의 빈 공간 creux을 형성하게 된다. 안개와 비 등의 흐릿해진 시각 배경과 더불어 이 공간에서 몽상을 통한 시적 자아의 확장이 가능해지게 되는데, 이 때 베를렌느는 몽환적 분위기의 심화가 극단에까지 다달아 자아가 완전히 침잠해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청각적인 장치, 즉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논문에서는 안개, 비 등의 원형태라고 할 수 있는 물이라는 소재와 관련하여, 물의 거울 기능, 나르시시즘, 죽음과 연결된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논문의 마지막 주제는 음악성이다. 작아진 시적 자아의 목소리는 주변의 소리들과 섞이게 된다. 베를렌느 시의 고유한 음악성은 이런 불규칙한 섞임 mélange의 상태에서 시에 일정한 연속성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가벼워진 자아의 목소리가 흔들림의 동작으로 생긴 빈 공간에서 음악의 음표들과 같이 기화 s’évaporer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베를렌느의 음악성을 강조한 시학을 가장 잘 표명하고 있는 『옛날과 지금』Jadis et naguère에 수록된 « 시학 » « Art poétique »이라는 시를 분석한다. 이어서 리듬에 의한 음악성을 찾아본다. 즉 홀수 음절 시행 vers impairs과 후렴 refrain, 걸침 enjambement, 후치 rejet, 선행 후치 contre-rejet 등의 구제척인 사용을 살펴본다. 중간 휴지 césure와 휴지 coupe의 자리 이동 또한 시행에 유연함을 부여한다. 낮고 부드러운 음색 tonalité이 이러한 음악적 장치의 사용을 어떻게 유연하게 하는지도 짚어본다. 음악에 있어서 악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이 서로 메아리치듯 écho sonore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인칭 발화를 통한 서정성의 표현은 독자들이 『말 없는 연가』에 참여할 수 있는 틈을 부여한다. 시적 자아의 복수화 과정에서 독자들의 몫이 남겨지기 때문이다. 또한 시어들의 뜻보다 음에 중심을 두는 기법을 통해 『말 없는 연가』는 독자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다. 『말 없는 연가』에서 몽상으로 인해 생긴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은 희미한 감각들과 우수의 감정 그리고 음악성이라 할 수 있다. 베를렌느의 다음 시집인 『예지』 Sagesse (1880)에서는 신의 목소리가 이 공간을 채우고 있는데, 그러한 다른 시집들보다『말 없는 연가』가 베를렌느 문학의 정점으로 여겨지는 것은, 이 시집에서 그의 암시적인 직관이 가장 자유롭게 펼쳐졌기 때문일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