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CEPT OF ANXIETY IN KIERKEGAARD''S EXISTENTIAL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박종대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83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실존주의의 창시자인 키에르케고어는 실존을 추상적 개념을 정의하려는 논리적 관념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 생활화하는 것 안에서 하나의 생성과정으로 보았다. 종교적 실존 안에서 참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찾고자 했던 키에르케고어에게 있어서 실존적 인간의 모습은 권태와 우울 속에서 살아가는 불안한 존재다. 인간은 누구나 죽음의 가능성에 의해 한계 지워지는 유한성과 영원을 향한 무한한 추구 사이에서 불안을 가진다. 이러한 불안을 실존의 핵심으로 본 것이다. 불안은 인간의 존재론적인 특징으로 구체적인 대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생명에 대한 위협이나 폭력 등과 같은 어떤 구체적인 대상 앞에서 느껴지는 공포와는 구별된다. 불안은 불안 속에 아무것도 없다는 무(無)이다. 키에르케고어는 원죄라는 교의학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통해 모든 인간의 내면에 있는 본래적 요소인 무에 의한 불안에 접근했다. 따라서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아담의 범죄가 생래적으로 후대의 인간에게 전해진다는 원죄 개념을 거부하고 원죄는 인간에게 현재하는 죄성이며 아담의 죄는 최초의 죄일 뿐이라고 한다. 이처럼 키에르케고어는 자신의 독창적인 불안개념으로 아담의 원죄를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실존 문제인 불안을 파헤치는데 기여했다. 키에르케고어가 불안을 통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것은 불안이 구원의 매개가 된다는 것이다. 절망과 자기상실의 상태에서 불안과 절망을 극복하고 종교적 실존으로 비약하게 될 때 불안은 이러한 의미에서 구원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불안으로부터 신 앞에 선 단독자를 향한 비약이다. 그러나 여기에 한계도 있다. 키에르케고어는 자신의 아들을 번제로 바치려는 아브라함을 단독자의 표본으로 삼음으로써 고립된 단독자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키에르케고어는 하느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이성을 포기할 것을 주장한다. 하느님이 사람이 되어 세상을 구원하러 오셨다는 것은 신앙의 역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홀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를 형성하며 살아간다는 사실을 볼 때 단독자는 공동체와 고립되어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성의 역할은 경시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키에르케고어의 사상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키에르케고어가 불안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올바른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될 것인가??라는 신앙적 실존에 관한 질문은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의 물음이기도 하다
more초록/요약
Soren Kierkegaard, the founder of existentialism, regarded the existence as a course of making in daily life, not as a logical idea in order to define an abstract conception. In the religious existence, Kierkegaard sought for the form of true christian and the existential appearance of human being is in the fatigue as well as melancholy. All human being has his or her own anxiety between limitation by a mortal death and searching for the eternity. He took this anxiety as the key word of existentialism. There is no object which featured a human being in the anxiety.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is kind of anxiety is truly different form the caused by violence or threat to the life. The object of the anxiety is nothing. Kierkegaard tried to approach to the anxiety by nothing, which is the original essence of human being, through the 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dogmatical issue, original sin. The traditional conception, the original sin of Adam inherited to his descendants, was rejected by Kierkegaard and he asserted that the original sin is just a present sin. There is no original sin except Adam''s first sin. so Kierkegaard contributed to know the anxiety of human existential issue more clearly by explaining Adam''s original sin with his own anxiety conception. He intended the anxiety would be the medium of salvation. When we over the anxiety and despair to be a religious existence, the anxiety would work as a role of medium. Accordingly, we should be a single individual before God. But this single individual like Abraham, who was about to sacrifice his son. In addition, Kierkegaard urged to abandon our reason to establish the right relation with God. That Divine God came to this world to save us is the paradox of the faith. However, human being should form communities to live, not just alone. Considering this, a single individual is separated from his community. Moreover, our reason is needed to react to the malfunction of the religion in the modern times. In this point, Kierkegaard has not his own perfect logical idea. Nevertheless, what he wants to say using the anxiety is to be a true christian. So, the question that ''What kind of a christian should be I ?'' is also the same question for all of us to live in this modern tim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