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공영방송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Fairness for Korean public broadcast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균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문방송
  • 식별자(기타) 000000103733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 차원에서 선험으로 논의됐던 공정성이 실제 사회전반에서 어떻게 논의되는지를 사회적 주체들이 벌이는 ‘공정성 논란’을 통해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이론적 차원의 공정성 개념과 사회적 차원의 공정성 개념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KBS에 제기된 공정성 논란 사례를 중심으로 그 주제적 측면, 진행과정상 나타나는 공정성 논란의 특성을 알아보고, 각 주체들이 논의하는 공정성 개념은 어떤 것인지를 분석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정성 개념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의 원인을 짚어보았다. 먼저 공정성 논란의 특징은 정치적 사안에 있어서 보수와 진보의 이념적 대립의 논쟁구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이 사이에서 공정성 논란은 상호 비평은 그 도를 넘어서 각 언론사에 대한 비방과 이념적 논쟁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한다. 논란의 과정 속에서 주로 논의되는 공정성에 대한 개념은 사실성 차원의 논의와 방송제작자들의 윤리성 문제, 그리고 양적 균형과 질적 균형에 대한 문제가 주로 논의되었다. 특히 공정성 개념은 각 사안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각 주체들이 다른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 역시 공정성 논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공정성 개념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이 일어나는 것은 먼저, 논란 이슈가 다층적이며 복합적이라는 데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이슈는 단순히 정치적 사안으로 볼 수 있지만,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사회적 쟁점이며, 이를 둘러싼 사회적 계층들의 이해관계가 대립되면서 공정성 논란 역시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정성 논란은 공정성 개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의 대립 사이에서 언론이 그 논쟁의 장이 되고 있는 경향을 지닌다. 즉, 정치적 주도권이나 이권을 찾기 위해 공정성은 하나의 논쟁 대상일 뿐 그 논의가 주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의 공정성 논란의 특징은 특히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공정성 개념이 다르다는 것, 하나의 합의된 공정성 개념이 아니라 공정성에 대해 그 논의가 점점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의 학자들의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기존 연구가 실증적 사례 없이 심증만을 가지고 논의했던 공정성 논란의 한국적 특성을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해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examined how the fairness is discussed in our overall society which has only been discussed theoretically through ''the fairness controversy'' by social actor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ing between the concept of the fairness on theoretical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For this issue, this thesis tried to find the features of fairness controversy in which occur on its topics or its processing for the case of KBS since 2000. Then the concept of fairness from each discussion has been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ne could find the cause of social criticism that is related to the various fairness concept. First of all, the feature of fairness controversy shows the criticism frame for the ideological opposition between conservationism and progressivism on the political issue. Also the fairness controversy takes a role for diffusion of ideological controversy and abuse for each press. The main fairness concept is discussed about the truth, morality, balance for both quality and quantity and so on. Especially it has a feature that the concept for fairness could be applied differently. That means it is flexible for each issue. For the cause of social controversy for various fairness concept, it is because the issue itself is multilayered and complex. The issue could be seen as a simple political happening however it is more complex than we knew because it relates to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matters. So the fairness controversy are formed when the concern of those social layers are against. Moreover the fairness controversy tends to have a press sphere in opposition on political concern. Thus the fairness is only a subject for the controversy, not a main point for the discussion. Therefore the features of the fairness controversy in Korean society are summed up as below: First, the concept for fairness is varied by different political concern. Second, the issues and discussions for the fairness controversy are getting diverse and diverse. These results are not new discoveries but when we say that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discuss with practical cases,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fairness controversy for Korean case with practical cas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