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교수법이 어휘의 기억과 어휘 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주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723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현행 학교 영어 수업에서 그동안 체계적으로 교수되지 않았던 어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고등학교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휘 교수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정의중심 교수법, 문맥중심 교수법, 그리고 시각자료중심 교수법을 선택하여 경기도 소재 A 고등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어휘 학습의 효과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단기 기억에 얼마나 많은 어휘가 저장되어 있는지, 그리고 장기 기억에서 얼마나 많은 어휘가 인출될 수 있는지를 실험 하였다. 또한 학습한 어휘에 대한 영어 정의, 우리말 정의, 맥락, 유사표현, 작문 등 다양한 형태의 총괄 평가를 진행하여 학생들의 어휘 활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결과, 단기기억 / 장기기억 공히 시각자료 중심 교수법을 사용한 학급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와 시각 자료의 사용이 학생들의 기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문맥중심 교수법을 사용한 학급의 평균이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나 다른 어휘 교수법에 비해 어휘의 기억에 비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어휘 활용 능력 측정 결과, 세 학급의 총괄 평가 평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 유형별 점수 구성은 다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제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어휘의 개념, 어휘 교수법, 어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기억 이론 등을 알아보고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제 III장에서는 연구 문제를 명시하고, 연구 대상 및 기간, 실험 방법 및 절차 그리고 자료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IV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어휘 학습에 관한 추가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s the basic unit of meaning for communication and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 for high-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2nd and foreign languag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re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 definitional approach, visual-aided method, contextual approach - has been carried out in a high-school in Kyung-gi province.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teaching has been measured in the following dimensions: how it affects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and how it affects application of memorized vocabulary in various contexts. The tests of short-term memory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vocabulary meaning while those of long-term memory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vocabulary with Korean definition given. The results of both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tests show that visual aids are the most effective in enhancing vocabulary memorization while vocabulary learning through contexts is the least effective. The final test had various question types; selecting proper vocabulary based on the provided English or Korean meaning, selecting related vocabulary in its meaning, selecting phrases that can go best with the vocabulary, inferring proper vocabulary in contexts and writing a sentence using vocabulary. The result of the final test shows no difference in averages while the constitution ratio of each question type is not the same per teaching method. The structure of the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necessity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provided. In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 of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s studied: the concept of vocabulary skill, vocabulary teaching methods, factors related human memory and vocabulary processing. In chapter III, research questions, procedure are stated and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is provided. Finally, chapter IV concludes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questions i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