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최인훈 희곡 <둥둥 낙랑둥>의 공간 연구 : A study of space in In-hun Choi’s play <Dung-dung Nakrangdu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란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71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는 최인훈의 희곡 <둥둥 樂浪둥>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고 그 의미 체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인훈 희곡 작품인 <둥둥 樂浪둥>은 『삼국사기』에 실려 전해지는 원전 ‘호동 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원전 설화의 내용인 호동과 낙랑공주의 이야기를 호동이 낙랑을 이기고 공주는 희생되어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이야기를 전개시키며 역사 속에 감추어진 개인의 비극과 욕망을 모티프로 하여 ‘현실’과 ‘환상’의 공간을 넘나들며 다양한 스펙터클을 형성해 내고 있다. <둥둥 樂浪둥>에서 공간은 인물들의 갈등과 욕망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호로 작용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논의를 진행시켰다. 언어 요소들이 구성되는 내재적 법칙인 체계 중 계열 체계는 연속선상의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요소들 중에서 화자의 선택에 따라 문맥에 나타나는 요소와 나타나지 않는 요소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를 말한다. 공간 체계 또한 특정한 넓이 안에 놓인 생물체 및 사물들 간의 수직적 관계라는 점에서 계열 체계와 동일한 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언어학적 방법으로 Ⅱ장에서는 공간에 관한 어휘 목록을 자료체로 하여 공간의 계열 체계를 검토해 보았는데 그 결과 <둥둥 樂浪둥>에서 무대 안 공간에서는 크게 집단 공간이며 열린 공간인 제단과 개인 공간이자 닫힌 공간의 의미 자질을 띤 방의 대립 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개인 공간 안에서는 내면 의식이 확장되고 집단 공간과 관계를 맺을 때는 수축하는 양상을 드러내면서 개인과 집단, 현실과 이상 공간 사이에서 갈등하는 내면 심리의 움직임이 공간화 되고 있었다. 무대 밖 공간에서는 고구려 내부 권력의 갈등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적대국 간의 갈등이 드러나 있었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Ⅱ장에서는 나타난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개인 공간인 천막과 방, 집단 공간인 제단, 굿자리를 중심으로 인물의 갈등 양상과 시청각적 기호, 오브제의 의미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천막은 현실 공간에서 환상 공간으로, 다시 현실 공간의 의미론적 공간으로 전이되고 있었고, 천막을 둘러싸고 있는 벌판은 집단 공간으로써 호동의 욕망을 억누르고 감시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잠재적 욕망이 분출되는 공간은 호동 왕자의 방이었다. 낙랑 공주와 똑같이 생긴 왕비를 본 후 호동의 내적 갈등은 심화되고 왕비와 호동의 욕망이 결합하는 지점에서 방의 하위 공간인 낙랑성의 공간이 형성되었다. 낙랑성은 개인적 가치를 추구하는 호동과 왕비, 낙랑 공주에서는 유토피아적인 이상 공간이었다. 그러나 집단적 논리가 강한 현실 공간에서 개인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은 위험을 수반하는 일이었다. 개인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와 그것을 억누르는 집단적 이데올로기 사이의 갈등은 굿자리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극 행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제단과 굿자리 공간은 병존할 수 없는 가치의 대립과 희생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어미 무당인 왕비가 주재하는 굿을 통해 집단적 이데올로기가 공고하게 형성되었고 이것은 진실을 밝히려는 호동과 대립 구도를 이루며 공간을 두 의미 영역으로 나누고 있었다. 결국 집단적 폭력에 의해 호동이 희생됨으로써 호동이 제기한 의미 영역이 집단적 이데올로기의 공간이 굿자리에 수렴됨을 알 수 있었다. 연극에서 공간이 그 작품이 산출된 시대의 사회, 문화적 공간과 도상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라면 굿자리가 형성되는 제단이 작가의 세계 인식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공간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둥둥 樂浪둥>이 발표된 1970년대의 사회적 배경을 고려할 때 무대 공간에 놓인 두 개의 북 중에서 한 개의 북만을 선택해야 하는 극적 상황을 통해 흑백 논리에 의해 경직된 우리 사회의 모습을 감지할 수 있었고, 그 당시 집단적 논리에 의해 개인과 사회의 정의가 통용되기 힘들었던 사회를 보는 작가의 비판적 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analyzed In-hun Choi’s play of "Dung-dung Nakrangdung" and intend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space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remise that space is an important symbol indicating conflicts and desires of characters in "Dung-dung Nakrangdung," discussions are developed as follows; the space system isin line with the language system in that it has a vertical relation with organisms and objects in a certain space. With such linguistic methods, the system of space was examined in the chapter II with vocabulary of space. As a result, conflicting relations was found on the stage of "Dung-dung Nakrangdung"between an altar which represents a space for a group and an open space as well and a room which has closed and individual attributes. An internal awareness expands in the individual space but contracts in the group space, moving th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and the reality and the ideal to space. Outside the stage, political turmoil from power struggle in Goguryeo and conflicts among enemy states are portrayed. In the third chapter, the attributes of space are investigated centering on the opposing relationship between a tent and a room which are individual space and an altar and an exorcism venue which are group space. The space works on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visual and auditory symbols and meaning function of objects. The tent was transforming from a realistic space to an illusion space to a meaningful space. The field surrounding the tent was acting as a space monitoring and suppressing the desire of Hodong as a group space. Hodong’s room was where the latent desire erupted. When he saw a queen who looked the same as the Nakrang princess, Hodong’s inner conflicts intensified. At the point where queen’s desire and Hodong’s desire meet, the Nakrang castle was formed as a sub-space of the room. The Nakrang castle was a Utopian space for Hodong, the queen and Nakrang princess who pursued individual values. Yet, it was dangerous to pursue individual values in a realistic space where group logics have strong influence. The conflict between the intention of pursuing individual values and the group ideology suppressing it was investigated in drama actions in the exorcism venue. The altar and exorcism venue was where the conflicts between values and sacrifice were revealed. The group ideology was solidified through an exorcism presided by the queen, a mother shaman, dividing space into two meaningful spaces in opposition to Hodong who tried to reveal the truth. Hodong’s meaningful space converged on the group ideology venue of the exorcism when Hodong had fallen victim to the group violence. The space in play has something to do with social and cultural space in the era. In that vein, the altar of exorcism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deology of a writer. Among two drums on stage, only one drum is chosen. The dramatic circumstance explains the rigid, black and white Korean society in the 1970s when "Dungdung Nakrangdung" was released. In addition, the writer’s critical mind was confirmed on the society where the group logic dominated and individuals and the social justice hardly pa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