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축제 마케팅을 통한 예술 축제의 발전 방안 : The study of developing festivals through effective festival market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용수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51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서울여성영화제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축제 마케팅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 반영하여 전반적인 축제 발전 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자료인 논문과 단행본을 토대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2005년 각각 7회와 5회를 맞이한 두 축제의 개요 및 행사 전반에 대한 기획안 및 평가자료, 홈페이지 내용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연구의 타당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공연 전공을 하는 학생으로서 늘 본 연구자의 화두는 공연예술분야의 대중화였다. 축제라는 장이 불특정 다수라는 대중을 겨냥한 잔치는 아니지만, 대중적이지 않은 예술적 장르가 축제라는 테두리 안에 존재할 때 그것을 동시에 감상하는 관람객 수가 증가하게 되는 것은 대중화라고 섣불리 단언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그 출발선상에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성공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축제는 대표적으로 춘천마임축제를 들 수 있다. 마임이라는 생소한 공연예술분야의 장르를 이제는 ‘춘천’ 하면 ‘마임’이 생각날 수 있게까지 만들어왔다. 같은 공연예술분야의 축제로서 성공적인 선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제라는 도구를 빌려와 축제의 마케팅적 요소를 비교하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이유는 영화제들의 급격한 성장의 원인을 파악하고 다른 컨텐츠를 다루는 축제들끼리도 서로 상호 보완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축제라는 공통점이 장르간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축제간의 마케팅적 비교 분석을 가능케 하였고, 이를 토대로 비단 공연예술제 뿐만 아니라 예술 장르를 다루는 모든 축제들이 비용만 낭비하고 사라지지 않도록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has for its object to examine effective festival marketing closely by analyzing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and to search for overall plans to develop festivals by reflecting the marketing into Seoul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this study, I presented theoretical grounds based on a paper and a separate volume which are the precedent study documents, and compared & analyzed outlines, overall proposals, documents for evaluation and homepage contents of above two festivals which respectively greeted 7th and 5th in 2005 so 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study. As a student who is majoring in performance, my topic was the popularization of performing arts fields all the time. Festivals are not focused on the public who are the unspecified majority, and it can’t be stated easily that the increase of spectators to view the festivals is the popularization when unpopular arts genres are in the framework of festivals. However, I think that the increase of spectators is at least showing a possibility on the starting line. As a festival which is showing a successful possibility like this, we can take Chuncheon International Mime Festival as a typical example. The Festival has made Mime, an unfamiliar genre of performing arts fields, to this extent that we can imagine ‘Mime’ when heard of ‘Chuncheon’. Even if I already had an example of a successful festival in the same performing arts fields, I tried to compare marketing elements of the festival by borrowing a means of Film Festival and to search for its development plans so as to apprehend the reasons of Film Festivals'' fast growth and to show that festivals dealing with different contents can present ways for development complimentary to each other. In conclusion, as two festivals have common similitude in the way of a festival, I could make marketing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m though they are different genres. Based on it, I will seek out ways for development so that all festivals related with arts genres including performing arts festivals will not waste money and disappea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