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LR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영상 복원 : 3D Image Reconstruction using DSLR Camer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쾌희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전자공학
- 식별자(기타) 00000010350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한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 중 대상물체까지 초점을 맞추어 거리 정보를 연산하여 3차원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거리의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기 위하여 광학 렌즈의 조리개 값에 따라 변화 되는 피사계의 심도특성을 이용하여 카메라부터 대상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3차원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리개는 사람 눈의 홍채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조리개의 개방 상태에 따라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광학시스템으로 획득한 영상 Frame을 초점영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찾는다. 전체 Frame의 매 영상을 고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에지성분을 찾고 단위 마스크를 설정하여 필터링 된 영상을 자르고 각 마스크 영역의 윤곽에너지를 전체 Frame을 통해 연상하여 가장 큰 값이 되는 마스크의 Frame Number를 추출한다. 추출한 Frame Number를 데이터 보정을 하여 최적의 초점거리로 추정하고 다시 연산을 통하여 3차원 영상을 복원한다.
more초록/요약
There are many methods of 3D image reconstruction using single camera as an optical range finder to measure depth information from the focused object(SFF). In this thesis approach depends on the aperture of the lens and works like human eyes'' iris. Each different AV(aperture value) can produce different depth of field behind the lens. High-pass filtering is used for finding depth of field from full frames obtained by single camera. Each image of frames is divided by the size of unit mask and unit region of each image is used for calculating the power of edge. Maximum magnitude of masks'' value after high-pass filtering all frames is then calculated. The frame which has maximum magnitude of edge power is used to estimate the best focal length. Finally by integrating all the relative distance data, reconstruction of a 3D image is perform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