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문헌의 외국어 표기 연구 : A Study on Korean Writing System for Foreign Language during The Civilization Period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곽충구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국어국문
- 식별자(기타) 00000010348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는 개화기 국어 문헌의 외국어 표기를 대상으로 외국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과 그 원리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어음에 대한 국어 표기 가운데 자음에 주목하여 영어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 양상과 대응 원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개화기에 간행된 국어 문헌 가운데 외국어를 한글로 음역 표기한 자료를 검토한다. 우선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임의의 조건에 따라, 대상 문헌의 외국어 표기가 제3국 언어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국어로 직접 수용되어 한글로 음역된 표기를 보여주는지 살펴본다. 그 다음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조건에 따라 문헌 목록을 설정하고 개별 문헌 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성격을 파악한다. 이러한 작업은 대상 문헌 자료가 외국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과 그 원리를 파악하는 데 적합한 자료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선정한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외국어에 대한 국어 대응 표기에 대해 논의한다. 우선 표기 문자를 한글로 삼았다는 점에서 개화기 당시의 국어 자소 체계를 살핀다. 그 다음 국어 자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영어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을 살피고 대상 자료를 분석·검토하여 영어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 양상 목록을 설정한다. 4장에서는 구체적인 문헌 자료를 통해 영어음에 대한 국어 음운 대응의 실제와 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이에 대상 자료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분류하고 어두 위치, 어중 위치, 어말 위치로 구분하여 대응 양상을 살핀다. 또 대응 원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논의하면서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 선행 환경 등의 요인이 대응 원리에 관여적임을 확인한다. 5장에서는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과제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결론으로 삼는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historical literatures transcribe foreign languages during the civilization period of Korean history. And I reveal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language to foreign language sounds and the principles of the correspondence. I specifically introduce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 for the consonants of a English sound and explore the aspects and principles of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language to English sounds. In Chapter 2, I review various historical literatures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civilization period and directly transcribed the foreign languag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examine whether selected historical literatures directly transcribed the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without being affected by another languages. In Chapter 3, I discuss the writing norms for the foreign language, English. Then, I examine the contemporary graphem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that was used to transcribe the foreign language. And I figure out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phoneme to the Korean grapheme system and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phoneme to English sounds. This work is positively to investigate correspondence of Korean grapheme to Korean phoneme that is correspond to English sounds. In Chapter 4, I present specific examples that show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phoneme to English sounds and its principles. Examples are classified by five different sounds including plosive, fricative, affricate, nasal and liquid. In addition, I examine the accordance of Korean phonemes to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sounds of English words. Finally, I discuss how elements like the manner or point of articulation, preceded segment impact on correspondence. In Chapter 5, I summarize the discussion and present the remaining problems for the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