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읽기 전략 분석 : An Analysis of Reading Strategies in 2nd-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장영희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451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최근의 영어교육에서는 말하기와 듣기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교육 목표로 다루며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써 영어를 학습하는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영어 읽기 교육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전공서적이나 학술서적 연구 등 학문적 목적 이외에도 상급학교 진학 시험이나 승진 시험 등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능력은 읽기 능력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영어교육에서 읽기 교육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현재의 영어 읽기 교육은 과거의 문법번역식 수업에서처럼 주어진 글을 구나 문장 단위로 나누어 단순히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글과 학습자의 배경지식 간에 원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영어 읽기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읽기 전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외국어로써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의 상황에서 영어 읽기 교육의 주요 수단은 영어 교과서이므로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는 읽기 전략 연구를 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다양한 종류의 영어 교과서에서 반영하고 있는 읽기 전략의 유형과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읽기 전략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교과서의 읽기 단계별 읽기 전략의 비중을 알아본다. 둘째, 영어 교과서에 따라 읽기 전략 유형별 전략의 분포를 알아본다. 셋째, 교과서별로 각 읽기 전략의 단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단계의 전략의 분포로 나누어 알아본다. 위의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공식적 통계에 의해 현재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으로 알려진 5종의 영어 교과서 5권을 선정하여 각 교과서의 읽기 지문과 학습 활동을 대상으로 읽기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도구로는 Rebecca L. Oxford(1990)가 제시한 읽기 전략의 여섯 가지 범주 중에서 네 가지 범주의 읽기 전략(인지 전략, 보상전략, 상위인지 전략 및 사회적 전략)을 채택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그에 따른 학습 활동의 예에서 포함되어 있는 읽기 전략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교과서의 읽기 단계별 읽기 전략의 비중의 결과는 평균적으로 읽기 중<읽기 전<읽기 후 단계의 순으로 전략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었고 그 중 읽기 후 단계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5종의 교과서 중 3종의 교과서에서는 읽기 중 단계에서 질문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교과서별 읽기 전략 유형별 전략 분포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간접적 전략보다는 직접적 전략에 대한 비중이 컸으며 그 중에서도 인지 전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간접적 전략의 경우 교과서에 따라 그 비중은 조금씩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상위인지 전략의 비중이 사회적 전략에 대한 비중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별로 각 읽기 전략의 단계별 분포를 알아본 결과 읽기 전 단계에서는 상위인지 전략을, 읽기 중 단계에서는 인지 전략을, 마지막으로 읽기 후 단계에서는 인지전략을 비롯한 다양한 전략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어 교과서의 읽기 영역은 비교적 단계별 읽기 모형에 따라 체계적으로 제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계별로 읽기 중<읽기 전<읽기 후 단계의 순서로 전략의 빈도수가 커지고 있는데 읽기 중 단계가 가장 적은 것은 읽기 중 단계에 대한 전략 제시가 전혀 없는 교과서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전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교과서에서 전체 전략 중 인지 전략을 중심으로 하는 직접적 전략에 대한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 이를 잘 말해준다. 단계별 읽기 모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략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읽기 전 활동에서는 상위인지 전략에, 읽기 중 활동과 읽기 후 단계에서는 인지 전략의 사용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학습자들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임을 감안했을 때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보상 전략과 사회적 전략에 대한 비중을 좀 더 높인다면 보다 다양한 전략의 사용을 통한 성공적인 읽기 학습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보았다. 결론적으로, 교과서간에 전략의 제시가 동질적이지 않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교과서 중 한 종류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교과서에 따라 전략 사용 능력에도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는 곧 읽기 능력과도 연관이 있으므로 교사는 교과서 별로 읽기 전략의 유형이 제시 형태가 다른 점을 인식하고 또한 단순히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부분으로만은 읽기 전략의 충분히 교육시킬 수 없음을 인식하면서 부족하거나 많게 제시되어 있는 읽기 전략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교과서들이 다양한 읽기 전략들을 좀 더 골고루 포함시켜 학습자들로 하여금 읽기 전략을 기반으로 한 능동적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oday''s English education focuses more on the importance of oral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literary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do not seem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However, the literary skills are equally important as other o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ituation, read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ndispensable skills in written communications. English reading classes have focused on sentence by sentence translation rather than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ext. Recently, the comprehension of the text is more emphasized, and readers need to use reading strategie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xts and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Therefore, teaching strategies is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reading. Since English textbooks are major means of learning English in the Korean EFL situation, they should be proper and useful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ools of teaching reading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d which reading strategies from the textbooks were requested to be used by the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Reading strategies, which were identifi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 this study were mainly based on the list of learning strategies by Rebecca L. Oxford (1990),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materials of each textbook are given out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model of reading stages. Second, textbooks ask for direct strategies much more than the indirect strategies. As the proportion of indirect strategies are rather small, it will be better to increase those ones especially in the type of social strategies which make students cooperate with each other. Third, each textbook shows different proportions of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hree stages of reading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stages). In conclusion, the textbooks analyzed in this study are generally evaluated in terms of reading strategies pertinent to the goals of each reading stages. However, there are some points to be checked. The first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s of strategy requirement among textbooks. The second is that the requested strategies are usually focused onto certain stages, types and kinds.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textbooks should have more diverse strategies and more similar levels among them so that any students studying with any English textbooks can improve their reading competences as active learners who can cope with reading material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