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측정지표의 판단에 대한 실험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Judgmental Effect of Measures : Balanced Scorecard Measur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순기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
  • 식별자(기타) 000000084651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최근 정보혁명이라고 불릴 정도의 정보기술의 발달과 국제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으로 인하여 기업의 환경은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부의 기업은 관리 통제 시스템으로서 균형성과표(BSC:Balanced Scorecard) 시스템을 도입하고 운영하고 있다. BSC 시스템은 조직의 목표을 중심으로 하여 그에 맞는 성과측정지표를 개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이행함으로서,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할 일을 명확히 알게 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BSC의 운영에 있어서 성과평가를 하는 관리자는 인간이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에 있어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BSC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어가는 가운데 성과평가에 있어서 상위관리자가 여러 가지 BSC의 성과측정지표에 대한 정보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보처리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나타난 판단효과가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SC에 대한 선행연구와 판단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BSC에서 성과평가에 대한 판단효과를 실험하기 위해서 MBA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과측정지표를 공통의 측정지표와 고유의 측정지표로 나누어서 피실험자들이 두개의 부서를 평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에 의해서 분석되었고, 연구가설은 3원 분산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성과 평가시에 상위관리자에게 제공되어지는 많은 측정지표로 인한 정보처리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고유의 측정지표와 공통의 측정지표중에 공통의 측정지표가 성과평가에 있어서 더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는 실제로 BSC를 운영하는 기업에서 성과를 평가하는 상위 관리자가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한계로 인해서 성과 평가의 판단에 용이한 측정지표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성과를 평가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인지적 한계에 대하여 깨닫게 하고 이를 보완, 수정해야 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에 맞는 성과평가 시스템으로서 BSC가 운영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In a present 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l technology and global competi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enterprise''s environment have changed promptly. For coping with this situation, some corporations introduce and conduct the BSC(balanced scorecard) as a management control system. BSC focused on organizational targets developes suitable measures which evaluate performance. BSC makes that the personel of organization comunicate each other smoothly and know what to do theirselves. But superior manager using of BSC is human. and human should have restriction of information treatment capacity. This is judgmental effect. this study reports judgmental effect that superior managers in corporations using BSC have many informations and in this case superior managers have restriction of information treatment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effect on judgmental effect in performance evalu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a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Questionaires are distributed to the MBA student. 60 students have took part in the experiment.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divided by common and unique measure and The MBA student assumed superior manager have evaluated two places. The hypothese established in this study is tested using 2X2X2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uperior manager have been furnished many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when he evaluate preformance. In this case, superior manager shows restriction of information treatment capacity and we can find that common measures are better influence on performance evaluation than unique measures. It means that superior managers implementing of BSC have a restriction of information treatment capacity and they mainly use common measures easy to do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for solving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ople having a responsible position have to perceive limitation of information treatment capacity and adjust it. this results are of help to implement of BSC as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uited coporation''s targe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