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수정 재무건전성지수를 이용한 기업의 부도확률거리와 투자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 among Financial Health Index and Distance to Default, Investment Resul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박영석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
  • 식별자(기타) 00000008464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기존 기업의 부실과 주식시장에서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투자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업의 재무정보를 적절히 이용하여 예측력이 높은 변수들을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선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며, 최근에는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회계정보를 사용한 미국 시카고 대학 교수인 Piostroki 교수(2000년)의 재무건전성 지수를 이용하는 방안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무정보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재무건전성지수를 이용한 기업의 부실과 투자전략의 성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이를 이용, 간단한 수치를 계산하여 이를 투자전략에 이용하여 일정한 성과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미국 시카고 대학의 Piostroki 교수가 사용한 재무정보에 기초한 기본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즉, 총자산경상이익률, 총자산대비영업현금흐름비율, 영업현금흐름과 경상이익의 차이, 유상증자 여부, 이자보상배율, 자산규모의 변화, 총부채 잉여현금흐름비율, 총차입금의존도, 순운전자본/총자산, 이익잉여금/총자산, 영업이익/총자산, VaR와 같이 12개 변수를 선정하고 이러한 지표의 신호에 따라 긍정적인 지표에는 1점을, 부정적인 지표에는 0점을 부여한 후, 이들을 합하여 하나의 종합요약치로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후 1992년부터 2002년 11년 동안 비금융상장기업 289개사를 대상으로 재무건전성지수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기업부실과 투자전략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기업의 부실에 대한 지표는 부도확률거리로 투자전략의 성과로는 시장조정수익률과 젠센척도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총 연구기간과 외환위기 이후로 분리하여 고려하였을때 재무건전성지수가 높은 포트폴리오가 재무건전성지수가 낮은 포트폴리오 보다 다음해의 부도확률거리가 모두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장조정수익률과 젠센척도는 총연구기간 동안의 경우 각 포트폴리오별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외환위기 이후의 경우는 재무건전성지수가 높은 포트폴리오가 재무건전성지수가 낮은 포트폴리오보다 다음해의 부도확률거리가 모두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가 나온 이유를 기간 별로 구분하여 말 하자면, 외환위기 이전인 93~96년, 외환위기 직후인 97~99년, 그리고 외환위기 이후인 2000~2003년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외환위기 이전의 기간 동안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중요도가 크지 않았고, 외환위기 직후인 97~99년에는 재무건전성이 낮은 기업들에 대해 투자자들이 높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는 투기적 결과로 인해 재무건전성지수를 이용하여 나눈 총 연구 기간 동안의 그룹 간 평균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외환위기 이후인 2000~2003년 동안은 그 동안 실시해온 정부의 강도 높은 기업구조조정 정책과 기업의 각종 재무비율의 개선 노력 등을 한 것이 주식시장을 호전시키고 이러한 상황들이 투자자의 기대심리에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more

초록/요약

The fianacial or the accounting information would prove its usefulness when its user achieve his or her goal in the securities market by appropriate application and nowadays the Financial Health Index is getting high-lightened as one of useful applic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varification of corporation weakness, investment results in the case that the Financial Health Index is applied in order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financial information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Financial Health Index which was developed by Professor Piostroki, F_SCORE, is used. And it was complemented, too. Under Piostroki Model, I measure rate of financial statement from the 12 indexes-ROA, CFO, ACCRUAL, EQ_OFFER, Interest coverage ratio, △Asset Scale, FCF/Total Debt, Debt/Asset ratio, Net working capital/Total asset, Earned surplus/Total asset, EBIT/Total asset, VaR- then I give 1 point for the positive direction and 0 point for the negatives on a maximum scale of 12point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corporation weakness, investment strategy under calculated the Financial Health Index from 1992 to 2002, 289 companie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high Financial Health Index and low Financial Health Index. The corporation weakness index is Distance to Default and the investment results are Market Adjusted Returns Method, Jensen ratio. From the observation generally the Distance to Default, Market Adjusted Returns Method and Jensen ratio of high-Financial Health Index portfolio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Financial Health Index portfolio.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