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DTV전송방식 논란해소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ttling Process of DTV Transmission System Controvers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08453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In present-day society, the influence of broadcasting media is bigger than any other media. Hence, most policies on broadcasting are generally leaded by the government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channels and frequencies that are used by a broadcasting media are limited resources, so they are supposed to be used priority for the public services and purposes. In these context, the decision on the terrestrial DTV system of Korea as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was made under the government''''s leading in 1997. During the decision process, broadcasters, professors, consumer electronics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had taken part in, but the government''s leading was dominant above all the others'' opinions. Unreasonable impetuous decision o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o meet the prescheduled time table was only to be the main cause of controversy on DTV transmission system. Technical problems of relatively poor reception performance of ATSC system which was the start of the controversy became one of major social issues while going through disputes betwee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MIC) and National Union of Mediaworkers(NUM) for several years. With joining of non-government citizen organizations, it was expanded to the matters of TV viewers'' right, mobile service possibilities, main body of technical policy for broadcasting media and finally it reached to a controversy on the whole area of broadcasting medias. To solve that problem, MBC compared the reception performances of DVB-T and ATSC for several months but the fairness of the fieldtest was doubted from many aspects so it was not that helpful to discern the superiority between two systems but aroused new controversies. To settle down the controversy, there were several efforts - overseas current DTV status investigation, investigation on the case of Taiwan''s DTV system change, KBS''s promotion of another comparison fieldtest etc. But they could not solve that dispute. Eventually, the heads of the major 4 concerned bodies - MIC, NUM, KBS, Korea Broadcasting Committee(KBC) - set up the 4 co-representatives'' meeting which became a clue for solving the controversy and finally reached to an consensus and finished it. This paper surveys what kind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controversy through an analysis of processe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controversy and applies the bodies who mostly contributed for solving that controversy and their influences to the decision model for the media system. With these processe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force relations between the bodies and make a contribution for the enhancement and compensation of decision systems of broadcasting technical policy in the future. Multi variable policy decision model of Krasnow and Longley which is adopted as a decision model for media system was very useful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major bodies during the process of solving controversy. But it has a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be directly applied to the situation of Korea. So, broad and consistent study is necessary to apply Krasnow and Longley''s system theory and make new decision models for a broadcasting policy that are apt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

more

초록/요약

현대 사회에서 방송의 영향력은 그 어떤 매체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에 관한 정책은 세계 각국에서 정부의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 추세다. 특히, 방송매체가 사용하는 채널 및 주파수는 한계성이 있어 공익적 서비스에 우선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 하다. ‘97년 지상파디지털TV 방송방식의 선정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방송사, 학계, 가전사,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였으나 정부 주도의 정책 결정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정부 또한 상위개념의 정책적 목표 설정이 안 된 상황에서 미리정해 놓은 일정의 준수를 위하여 무리하게 방송방식을 결정한 것이 결과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논란의 시발에 해당하는 미국방식에 대한 기술적 문제제기는 정보통신부와 언론노조간의 공방을 통하여 사회적인 현안으로 부상하였으며 이에 시민단체까지 가세하면서 시청자주권문제, 이동수신자를 위한 방송서비스, 방송기술정책 주관부서에 대한 논란으로 까지 확대되어 기술적 논란이 방송환경 전반에 대한 논란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의 해소를 위하여 미국식과 유럽식 양방식간의 비교시험이 MBC에서 이루어졌으나 그 결과에 대한 공정성 시비 때문에 양방식간 기술적 특성과 우열의 판단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새로운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단초가 되었다. 논란 해소를 위하여 해외실태조사, 대만의 방송방식 변경 현장조사, KBS의 비교시험 추진 등의 노력이 있었으나 논란을 종식시키지는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논란의 핵심 당사자인 정보통신부, 언론노동조합, 국가기간방송인 KBS, 방송위원회의 수장들이 모여 4인공동대표 회의 체제를 가동시키면서 논란해소의 실마리를 마련하였고 최종 합의에 도달하여 논란을 종식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논란의 발생과 해소까지의 과정분석을 통하여 어떤 사항들이 쟁점이 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들이 있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논란해소에 기여하였던 행위자들과 행위자들의 영향력을 미디어체계결정 모델에 적용시켜 그 역학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방송기술정책 결정시스템의 개선 보완에 기여코자 하는 것이다. 미디어 체계결정 모델로 원용한 Krasnow와 Longley의 다원적 정책결정 모델은 논란해소 과정에서의 주요 행위자들의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경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진다. 따라서 Krasnow와 Longley의 체계이론 모델 적용을 위한 보다 폭넓은 연구와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근본적으로는 향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새로운 방송정책 결정 모델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