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의 트럼펫, 빙엔의 힐데가르트 : "A God's Trumpet", Hildegard von Bingen : A Prophet and Reforme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한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사학
  • 식별자(기타) 00000008451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글의 목적은 12세기 독일의 수녀 빙엔의 힐데가르트(Hildegard von Bingen, 1098-1179)의 예언자로서의 면모와 개혁가로서의 면모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힐데가르트는 중세의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방대한 저작을 남겼으며, 당시 여성에게 주어졌던 전통적인 역할을 뛰어 넘어 다방면에 걸쳐 활동하였다. 이로 인해 그녀는 뛰어난 여성이자 12세기의 주목할 만한 종교 지도자로, 신비주의자, 음악가, 자연과학자, 신학자 등으로 후대에 재조명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을 무엇보다도 ‘신의 트럼펫’인 예언자로 이해하였으며, 예언자로서의 소명을 통해 현실을 비판하고 개혁을 요구한 개혁자였다. 힐데가르트가 활동한 12세기는 종교적으로 그레고리우스 개혁과 비세속적인 영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 시대였다. 더불어 교회의 세속화와 부패, 새로운 종교적 열망이 불러온 이단의 융성, 황제와 교황의 대립으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혼란이 팽배한 시기였다. 힐데가르트는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과 더불어 성경과 구속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러한 자신의 시대를 신의 정의가 약해진 시대, 생명력이자 만물을 자라게 하는 녹색의 힘(viriditas)이 쇠퇴한 시대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성과 같이 유약한 시대’(tempus muliebre, effeminate age)라 명명하였다. 교권과 속권의 대립, 카타리파와 같은 이단의 융성과 같은 시대의 문제점에 민감하게 반응한 힐데가르트는 성직자와 교회, 더 나아가 기독교 사회의 도덕적 해이와 세속화를 그 원인으로 파악하고, 그레고리우스 개혁의 대의에 찬성하는 정통적이고 수도원적인 교리를 바탕으로 성직자의 권력 남용과 부정축재, 목자로서의 의무 소홀과 도덕적 타락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각성을 요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력을 확장한 카타르파의 이단적 교리에 대항하여 정통교리를 옹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힐데가르트는 당대 교회에서 발언할 권리를 필요로 하였으나, 여성은 교회에서 말할 수 없다는 즉, 교리를 해석할 수 없고, 이를 가르칠 수 없다는 당시의 시대적 제약으로 인해 쉽게 목소리를 낼 수 없었다. 당시 여성이 공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은 구약의 전통에 따라 예언자가 되는 것이었다. 힐데가르트는 자신을 스스로 소리 내지 않고 오직 신의 목소리를 전할 뿐인 ‘신의 트럼펫’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자신은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말씀을 전할 뿐이라는 의미이다. 이렇게 자신을 부정하는 방법을 통해 역설적으로 힐데가르트는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는 한편 자신에게 주어진 제약을 최소화하여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자신의 말을 신의 목소리와 일치시킴으로써 힐데가르트는 강한 권위를 부여받은 것이다. 더불어 힐데가르트는 강한 것을 치기 위해 약한 것을 선택하는 신의 力事 방식을 적용하여, 강하고 교만한 남성 성직자들이 실패한 시대에 신께서 약하고 겸손한 여성을 도구로 쓰신다는 역설을 통해 자신의 시대를 ‘여성과 같이 유약한 시대’로 명명하고, 자신의 예언자로서의 소명을 강화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예언자로서의 권위를 통하여 힐데가르트는 당대의 권위들에 도전하여 준열한 비판을 가할 수 있었고, 교리에 대해 해석하고 가르칠 수 있었다. 전체적인 구속사의 맥락에서 현실을 파악한 힐데가르트는 교회와 기독교 사회를 이끌어갈 의무를 가진 성직자의 개혁을 요구하였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도덕적인 성격의 개혁이었다. 그녀의 예언들은 구약의 예언자들과 같이 시대에 대해 내리는 경고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새로운 사회와 역사의 급진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개혁가로서 힐데가르트는 모든 덕이 구현된 예수에 비추어 미래에 보다 나은 교회를 희망하였으나, 체제 자체를 바꾸기보다 체제 내에서 도덕적 개혁을 요청하였다. 이 글은 힐데가르트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탈시켜 추상적, 상징적인 존재로 파악하기보다 당대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힐데가르트는 성서와 교리를 이해하는 그녀만의 관점을 구축하고, 이를 창의적인 상징을 사용하여 독창적인 방식으로 종합화하였다. 그녀를 연구하는 것은 12세기의 종교적, 문화적, 사상적 맥락을 짚어볼 수 있는 귀중한 시도가 될 것이다. 예언자이자 개혁가로서의 힐데가르트의 면모를 검토함으로써 이런 작업들에 앞서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deals with the Deutsch nun of the 12th century, Hildegard von Bingen, who played various roles beyond the traditional women''s role of the time such as religious leader, musician, natural scientist, and theologian. Thus Hildegard was recognized as a distinguished woman of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ildegard von Bingen as a visionary prophet who advocated the reform of the church. Calling herself as "a God''s trumpet," she severely criticized the corruption of the church. The 12th century was a time of Gregorian reform, pursuing the unsecular spirituality, and also a time of social and political confusion. Hildegard named her time “effeminate age”(tempus muliebre) when God''s justice was weakened and the power of cultivating the lives(viriditas) was decayed. She judged the prime cause of this confusion was the deterioration of priests and church. Hildegard aggressively reproached the abuse of the power of church, negligence of duties of priests, and the moral decay of the church. She called for a spiritual awakening of the priests and a revival of the orthodox theology and monasticism, which was the essentials of Gregorian reform. However, Hildegard could not speak out her own words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the time which did not allow a woman to interpret the bible and to teach a tenet. The only way to express her voice was to be a prophet. Hildegard became a prophet, receiving a calling of God through visions, and she represent her voice through writings. Using the word of "a God''s trumpet", Hildegard described that she conveyed God''s words not her own. Paradoxically, however, through the denial of herself, she could express her own thoughts without breaking the rule of the time. Besides, according her voice with the words of God, she could gain the strong authority and power. She advocated that God used her as a tool to reform the world the arrogant and lukewarm male priests made deteriorated. Now, she could not only critically blame the church but also teach religious doctrines. Examining Hildegard as a visionary prophet and moral reformer in the context of the time, this study ultimately aims at to lay a found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12th centu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