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카메라 등장이 가져온 인터넷 문화컨텐츠의 변화양태 연구 : A Study of the Transformation in Internet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Entrance of Digital Cameras : Based on Personal Hompage Media Providers Cyworld and Blog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장용호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084517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논문은 디지털카메라가 인터넷과 접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 문화의 특성과 그 주도 세력들의 콘텐츠 이용 행태를 연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싸이월드 미니홈피나 블로그 같은 개인미디어 속에서 디지털카메라 문화의 주도세력들이 어떻게 콘텐츠를 생성하고 사용하고 있는가를 주목하고 있다. 사진을 찍는 도구는 여러 가지일 테지만 요즘 눈에 띄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디지털카메라나 폰카메라일 것이다. 이미 디지털카메라의 보급 대수가 일반 카메라 보급 대수를 넘어 대중화되었으며,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의 대부분이 폰카메라를 소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시성''과 ''오락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그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일상사의 기록을 남기기 위하여,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하여, 또는 싸이월드나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사진을 소재로 하는 사이트에 올리기 위해 열심히 찍는다. 디지털카메라와 폰카메라는 개인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진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했다. 이미지를 동반하지 않는, 웹에서의 글쓰기가 네티즌의 주목을 받기 어려운 반면,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 첨부된 일상의 기록은 네티즌에게 아주 쉽게 다가갈 수 있다. ''''글쓰기''''라는 범주가 더 이상 재능 있는 소수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니터 앞에 앉은 네티즌 모두에게 활짝 열렸다는 면은 아주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디지털카메라의 등장은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이미지를 대량생산, 무한복제, 자유유통 시킬 수 있는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렌즈를 통해 일상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재발견 할 수 있도록 하여 추억의 보관에서 일상의 기록으로, 소유에서 공유로, 재현에서 의미화로 사진, 즉 이미지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일반 대중들을 수동적인 소비자에서 사회문화적 콘텐츠 생산의 능동적인 주체로 성장하도록 하였다. 디지털카메라의 대중적 보급과 폰카메라의 무차별적인 확대로 이미지 생산과정은 즐거운 놀이로 변하였으며, 다른 사람들과 이미지를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에 열광하게 되었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디지털카메라를 즐겨 사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디지털카메라 문화도 생겨났고,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카메라를 사이버 공간과도 결합시킴으로써 디지털카메라 문화는 더욱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 버린 디지털카메라의 문화적 가치와 디지털카메라 문화의 시대상황적 배경을 고찰하고, 콘텐츠 제작과 이용의 측면에서 디지털카메라 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세력들의 행위를 경험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1) 디지털카메라의 문화적 의미들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2) 디지털카메라 사용자에 의해 대량생산된 이미지들이 어떤 경로로 무한 복제되어 자유롭게 유통되고 있는가. (3) 디지털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창출의 자유와 개인미디어를 통한 소통의 자유를 통해 대중은 어떠한 콘텐츠 이용 행태를 보이고 있는가를 주제로 삼았다. 디지털카메라는 콘텐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경계를 무너뜨렸으며, 개인미디어는 익명의 인터넷을 실명의 사적 영역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개인미디어의 성공, 개인미디어의 활성화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보급 확대라는 결론은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양자는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서로가 서로를 보완시키며 타자의 발전을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와 개인미디어가 일상생활에서 겹쳐지는 모습과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는 개인들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콘텐츠 이용 행동 양식을 계속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tudy of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amera, closely related with high-speed Internet and the use of its contents by its influential people. Furthermore, it is a research of how the influential people of the digital camera culture form and use the contents in the world of South Korea? popular personal homepage providers such as Cyworld and blogs which serve as a channel for relationships among Internet users. There are various tools of photography, however the use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are especially on a sharp rise. The spread of digital cameras have exceeded that of the general cameras, as mobile camera phones are already popularized among Korean students and workers. People have taken the ''diirect'' and ''recreational'' merits of the digital camera and have started photographing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people use digital cameras to record their daily life, to enjoy one''''s hobby and to save photos in their personal homepage providers such as the Cyworld. Thus,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have now become a necessity for many people and thus a new form of communication through photography has been formed. Whereas written words without imagery is hard to get people? attention in the Internet, records of daily life accompanying a photo is easily approachable with the use of digital cameras. Composition is no longer an exclusive possession of a talented writer, but for every individual who place themselves in front of a monitor. This has opened doors for a positive change. The entrance of digital cameras has brought change in letting the public use images in mass production, unlimited reproduction and free circulation. Moreover, through the lens, people are now able to rediscover the merits and essence of daily life from saving memories to recording the recollections, from possession to public ownership and reappearance to signification. In other words, it has brought to surface the change of attitude of images and allowed the once passive public to become active social and cultural content providers. The mass supply of digital camera and phone camera image production has turned out to be pleasurable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publicly share a new culture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various uses of digital cameras in daily life naturally formed the culture of digital camera and led to the union of cyber space through the Internet. This thesis inquires the cultural value of digital cameras and the periodical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digital camera. It also aims to study the content production and use of the digital camera culture through the experiences of its influential people. In detail (1) In what form does the culture of digital cameras appear. (2) Through what channels do the mass produced images freely circulate after unlimited reproduction. (3) What kind of transformation does the public show by the free creation of images of digital cameras and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through personalized media. The digital camera has broken down the border between content providers and consumers and personalized media has changed the anonymous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to reveal oneself. Concluding that the success of the personalized media through digital cameras and the activation of personalized media are due to the mass supply of digital cameras is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phenomenon. Both parties do not move individually, but preserve one another to deepen chang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observe the digital camera and personalized media which are closely overlapping one another as well as to observe the continuous change of content utilized by digital camera us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