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존 듀이의 종교적 신앙 이해 : Understanding John Dewey's Religious Faith : The Natural Dialectic Of The Ideal And The Actua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재영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종교
  • 식별자(기타) 00000008451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찰스 샌더스 퍼스(C. S. Peirce), 윌리엄 제임스(W. James)와 더불어 미국의 대표적인 고전적 프래그머티스 중 한 사람인 존 듀이는, 지금까지 적어도 종교 문제에 관한 한, 의도적으로 무시되거나 또는 중요치 않은 인물로 평가받았다. 곧 그는 <도구주의>를 무기로 전통적인 종교들의 권위와 형이상학적이고 초월적인 진리를 무너뜨린 인간중심적 정향의 세속적 인본주의를 대표하는 학자로서, 또한 무질서한 도덕적 윤리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인식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듀이의 사상과 그의 저작을 좀 더 면밀히 고찰해 보자. 그렇다면 우리는 표면적으로는 그가 전통적인 종교와 그 종교들이 담지하고 있는 가치의 중요성을 비판했을 지라도, 그 비판 이면에는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영성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 종교적 가치와 과학적 가치, 성스러운 것과 속된 것의 이원론을 허물면서 종교적인 삶과 일상적인 삶의 일치, 경험의 통합성을 주장하려는 진지한 의도가 놓여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듀이는 초월적 실재와의 관계성이 없다하더라도, 또는 개별 종교 전통들에 속하지 않다하더라도, 인간은 누구나 자연적 경험을 통해 자신이 속한 맥락 혹은 상황에서 종교적 태도 내지 질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종교 문제에서 듀이에게 오랫동안 외삽되어 온 선입견 내지 편견을 시정하는 한편, 듀이 사상에 내포된 자연주의적 종교적 전망 내지 통찰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둘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듀이의 종교 사상에서 핵심 개념인 자연적 경험에서의 종교적 요소 개념을 그의 종교 관련 저작과 논문을 통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와 함께, 그러한 듀이의 종교적 전망이 현대종교학과 어떠한 지평에서 만날 수 있는지도 탐색해 볼 것이다. 이 두 가지 목적을 기억하며, 전체적으로 객관적 조건과 상황이 급격히 변모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종교적, 영성적 경험은 무엇이며, 그리고 그것의 출원은 어디인지를 우리는 듀이의 종교적 통찰을 통해 진지하게 궁구(窮究)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Ⅰ장「듀이의 생애와 종교적 배경」에서는 그의 생애를 크게 네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에서 발생한 중요한 종교적 사건들을 선택적으로 선별한다. 네 시기는 각각 제1시기(1859~1884)로서 버몬트와 내면의 고통, 제2시기(1884~1894)로서 신헤겔주의와 그리스도교의 재구성, 제3시기(1894~1904)로서 제도종교로부터 멀어짐, 그리고 제4시기(1904~1952)로서 자연주의적 형이상학과 종교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듀이의 종교적 전망이 크게 세 단계의 질적인 변화, 곧 복음주의적 기독교, 절대적 이상론, 그리고 자연주의적 인격주의의 과정을 겪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Ⅱ장「경험철학과 종교의 위상」에서는 듀이의 전체 사상적 구도를 초월철학과 경험철학의 대조로 이해하면서, 자연적 경험의 가능성을 강조하는 경험철학의 입장에서 듀이가 초월철학의 어떤 측면들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고찰했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초월철학의 일반적 특징과 그것이 현상의 경험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생물학적, 심리학적, 인류학적 지식을 토대로 한 경험철학에서 듀이가 제시한 경험 개념을 알아볼 것이다. 기본적으로 듀이는 생물학적 유기체 개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삶을 행위, 활동, 또는 과정으로 이해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자연과 경험의 연속성을 근저로 경험철학을 전개하는 듀이의 사유에서 종교 문제가 어떠한 위상을 점하고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짚어볼 것이다. 그리고 Ⅲ장「종교적 신앙과 그 대상: 이상과 현실의 자연적 변증법」에서는 전통적인 종교적 신앙을 맹목적으로 답습하지 않고, 종교적 신앙의 토대, 내용, 그리고 목적을 새롭게 정립하려는 듀이의 종교적 전망을 세 가지 측면 ― 동기, 비판적 고찰, 그리고 제안 ― 에서 살펴볼 것이다. 듀이는 전통적인 종교적 신앙의 이상적 모습으로 파악되는 초월에 대한 관조적 또는 관찰자적 신앙을 비판하고 경험/행위/실천의 신앙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듀이는 자연적 이상과 조건들 개념을 종교적 질의 핵심적 요소로 상정하고, 이 두 개념의 트랜스액션에서 종교적 신앙의 원천과 대상을 파악한다. 그러나 듀이는 자신이 새롭게 주장하는 종교적 신앙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또는 정합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실제적으로 듀이가 제시한 종교적인 것의 특징은 그의 두꺼운 저작에서 산발적으로 드러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장에서 편의상 이 물음을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것이다. 한 측면은 기능에 있어서 또는 질적인 측면에 있어서 듀이가 종교적이라고 주장하는 요소들을 정리하는 것이고, 그리고 다른 한 측면은 그 요소들이 드러나는 자연적 경험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통찰적 시각으로서의 자연적 경건 개념, 열정적 지성에 헌신하는 종교적 태도, 잠재적 가능성으로서의 개체성, 경험의 소통, 그리고 이상과 현실의 자연적 변증법 개념이 그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한다. 우리는 이 두 측면의 접근을 통해 듀이의 종교적 전망에서 핵심적인 요소인 종교적인 것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듀이의 종교적 전망이 현대 종교학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살펴볼 것이다. 종교적 경험이 선험적이고 고유한 것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또한 그러한 종교적 경험이 다른 일상적 경험과 질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이 정확히 듀이의 입장이다. 이 관점에서 우리는 듀이가 경험에서의 실제적인 종교적 질을 보다 더 풍부하게 확장시키려 함을 분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In general, it has been estimated that John Dewey (1859~1952), one of the classical pragmatists with 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 William James (1842~1910), was neglected on purpose, or less important particularly as far as the matter of religion. He was precisely regarded as a typical scholar of an anthropocentric-oriented secularism, which broke down both the dominant authority and the metaphysical or transcendental truth of organized religions, and so brought about moral disorder through his instrumentalism. However, review his comprehensive thought more elaborately. Then I think that we will certainly find that there is a designed intent for the union of religious life and daily life behind such a critique, although severely did he object to supernaturalism because “it was committed to an objectionable form of dualism,” i.e., the religious/the secular, the spiritual/the natural, the religious/the scientific, and the sacred/the profane, and “harbored the quest for certainty.” In a word, Dewey proposes a hopeful message by making us aware that every people can realize “the religious as an attitude or dimension that can interpenetrate our entire being and range of experience,” without Transcendental Reality, or even without any relevance to traditional religions. This thesis focuses not only on correcting a prepossession superimposed to Dewey for a long because of condemning all forms of supernaturalism, but also proposing a naturalistic religious perspective inherently connoted his thought. For it this thesis come close to grasping some of the religious elements of experience which is essential to Dewey’s religious thought. And also this thesis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his ideas for the study of religion. On the whole, in comtemporary society which the objective conditions and situations with which people meet and act altogether dramatically have been transformed, we may have opportunity to seriously contemplate both what the general traits of religious experience is and where it emerge from, especially through Dewey’s distinctive angle. In Chapter One, I split Dewey’s lifetime into four periods, i.e., the first period (1859~1884) as Vermont and Inward Laceration, the second period (1884~1894) as neo-Hegelian Idealism and Reconstruction of Christianity, the third period (1894~1904) as Drifting Away Organized Religions, and the fourth period (1904~1952) as Naturalistic Metaphysics and Religions, and then selectively pick out the very significant religious events that have played an important influence in his life. And here we can come to see that Dewey’s religious vision has underwent important qualitative changes as Evangelical Christianity, Absolute idealism, and Naturalistic Personalism in order. In Chapter Two, I address a general scheme of Dewey’s thought by comparing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with the philosophy of experience, and carefully investigate the former having some fundamental problems in terms of the latter position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natural experience. And also, I consider whether his concern with religion holds any phase between these two angles. We ne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possibilities of experience have been depreciated by the philosophy beyond experience, what Dewey himself labels “supernaturalism.” Basically, Dewey understands the concept of experience in terms of biological-psychological-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here we can understand that he regards life as an action, an activity, or a process, positively accepting the organism concept of modern biology. In Chapter Three, Dewey’s religious perspective will be analysed in three aspects of motive, critical inquiry, and suggestion. Dewey did not stick to an old-fashioned pattern of traditional faith, but establish a new basis, outlook, and object of faith, independent of the supernatural. Instead of asserting the ideal pattern of the tradition faith as contemplative faith to transcendental reality, he convincingly develops faith of experience, action, or practice. And so we can understand that Dewey assumes the natural relation of the ideal to the actual as a substantial element of religious qualities, and also grasp the sources and objects of religious faith from it. However, hardly does he illustrate the attributes of religious faith systematically suggested himself. We therefore cannot making out his religious perspective by dividing into two themes. It partly readjusts some elements of what Dewey mean by “religious” in quality or function, and partly considers the processes of natural experience from which such elements emerge. The followings are included as detailed: the concept of natural piety as an inclusive vision, passionate intelligence as a religious attitude, individuality as the potentialities, communication of a shared experience, and the dialectic of the ideal and the actual in natural experience. As a result, these both approaches will help us more clearly outli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eligious” in quality. In the Conclusion, I address the implications of Dewey’s religious ideas for modern religious studies. It is precisely his position that there is not a definite kind of experience which is something sui generis as well as marked off from experience as asthetic, scientific, moral, political. From the perspective, we will clearly understand that he makes us enlarge more richly the actual religious qualities in the experi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