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여성정치인의 여성리더쉽 유효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Women Leadership of Korean Women Politicians : A Comparative Analysis on Political Leadership of Congresswomen Myeong-sook Han and Geun-hye Park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전상진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08450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그동안 리더십에 관한 논의는 남성의 특성과 경험에 기반한 남성 리더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이제 변화의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성별(gender)을 고려한 리더십 이론들이 출현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대해 적절히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효율적 리더십이 요청되는 것이다. 최근 여성리더십의 효과성을 주장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은 여성리더들이 조직원들의 자긍심, 조직몰입도, 효율적인 의사소통, 협력적인 환경을 창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즉, 여성의 리더십은 남녀와 비교할 때 보다 참여적. 민주적. 배려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는 변혁적 리더십 특성과 부합하여 현대조직사회에서 유효성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의 정치는 국민들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 측면보다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해 오면서 힘의 정치, 지배의 정치라는 부정적인 한국적 정치현상을 낳았다. 오늘날 세계화가 전 지구적 화두로 떠오른 이래 국가경영도 기업경영의 관점에서 인식되어져서 각급 선거에 나서는 후보들이 저마다 CEO를 자처하게 되었다. 그만큼 각국, 각 지역사회는 경영 및 조직관리에서 탁월한 능력을 가진 리더를 요구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는 삶의 질을 추구하기위한 생활정치, 불균형한 발전이 아닌 조정과 설득에 의한 새로운 리더십을 가지고 국가경영을 할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특히 오랫동안 터부시되어 오던 정치, 행정 분야에서의 여성의 진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새로운 리더십의 한 형태로 여성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여성리더십에 대한 이론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여성리더십유형으로 제기되는 변혁적 리더십의 연관관계 속에서 여성리더십의 효과성을 입증한다. 둘째, 정치리더로서 요구되는 자질 역량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과 정책수행 능력으로서의 정치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보고 셋째, 한국에서의 정치. 행정 분야에서의 여성의 비중과 현황을 통해 미래 여성정치지도자들의 잠재적 형성군을 찾아 비교분석을 해보는 것이다. 17대 들어와서 여성국회의원이 40명으로 거의 두 배 이상 늘어난 만큼 여성정치지도자들을 모두 비교 분석한다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현재 여당과 다수당인 야당의 지도부에 속해 있는 두 여성 국회의원인 한명숙 의원과 박근혜 의원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공통점을 보면, 남성중심의 정치권에서 극히 소수를 차지하는 여성정치인에게 당면한 여성으로서의 역할기대와 당 지도부로서의 리더십에 대한 상반된 역할 기대에 대한 모순점에 대하여 여성성을 살린 이미지로 대응하였다는 것이다. 둘 다 모두 비전과 추진력, 결단력 등 과거에 남성적이라 불리는 특성을 내적으로는 강하게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성으로서의 모성애와 부드러움을 살린 이미지와 행동으로 추종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싸우지 않고 정책으로 경쟁하는 정치’ ‘계파 없이 갈등을 조정하는 지도자’로서 합리적 타협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는 서로 다른 배경과 정치입문 경로로 인해 정치적 권위의 원천이 다르다는 것이다. 한명숙은 30여 년 간을 여성운동가로, 민주화투쟁으로 살았던 배경으로 인해 도덕적 정당성의 명분과 내적 권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박근혜는 전 대통령인 아버지의 영향력으로 당선되어 부모의 이미지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아버지의 권위적, 가부장적 리더십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부정성을 갖고 있으나 퍼스트레이디로서의 국정운영 경험을 통한 책임감이 내적 권위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검토한 리더십에 대한 여러 개념들 속에서 공통되는 몇 가지 요소들을 복합시켜 이를 여성과 연관시켜 본다면,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리더십은 리더가 속한 조직의 상황과 관련된다. 리더십은 조직이나 집단의 목표를 전제로 행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발휘되기 때문에 여성 리더십이 더욱 용이하게 달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여성에게 주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즉, 그동안 갈등과 경쟁, 권위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정치문화에 식상해 하면서 정치리더십의 변화를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는 여성성의 특징으로 보이는 유연함과 화합능력이 대안적 정치리더십으로 발휘되기를 기대하는 상황에서 여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고 긍정적인 효과를 낳았다. 둘째, 지도자와 구성원과의 관계이다. 지도자는 통솔하는 조직이나 집단 전체의 목표와 그 자신의 권위에 입각하여 추종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추종자의 순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여성은 지역사회는 물론, 국가의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다는 논리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한명숙과 박근혜는 정치적 충원과정에서 보이는 특성의 차이는 있으나 추종자들을 순응하게 하는 내적 권위와 카리스마를 지니고 있기에 충분히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다. 셋째, 최근 조직사회에 매우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 유형으로 주목받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여성적 특성의 높은 상관관계는 정치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유효성이 높게 나타나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치리더십이 특징짓는 한국정치현상에 대한 거시적. 조망적 연구, 리더십 비교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정치리더십을 과학적 방법으로 정의하고 설명. 분석. 비교. 평가한다는 일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다른 그 어떤 분야보다도 여성들의 진출이 척박한 정치 영역에서 변혁적 리더십 특성을 보여주고 있고, 보여줄 수 있다는 유효성이 입증된다면 많은 여성들이 진출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여 정치에서도 효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Although past discussions on leadership generally focused on men lead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number of theories on leadership that take gender issues into consideration, appropriately answering to changing times. This is, in fact, an expression of demand for a new form of effective leadership that can suitably meet the changes of the era. Lately, there has been significant increase in studies claiming the effectiveness of women leadership, and these studies reveal that women leaders possess the tendency to create environments thatinduce pride, devotion to organization, efficien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ir organizing members. In other words, in comparison to men, women leaders show stronger participatory, democratic and thoughtful dispositions, which in turn suggest that they can demonstrate greater validity in modern organizational society when such dispositions are combined with reformative leadership characteristics. Korean politics have functioned as a means for maintaining power rather than providing service to the people, resulting in negative Korean-style political phenomena such as politics based on strength and domination. However, Korea has now reached a point in time that demands for reformative leadership able to realize everyday life politics while pursuing quality of life, and able to manage the country through arbitration and persuasion rather than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In particular, increased interest regarding women''s advancement in politics and administrations fields considered to be taboo for women for a long time has resulted in greater interest in women leader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women leadership within connective relationship of reformative leadership, which is presented as women''s leadership type. This will be realized through theory and practical research on women leadership. Second, in relation to political leadership, this paper searches for methods of analyzing and evaluating temperament and competence required in a political leader, and also for theoretical basis of political leadership as policy implementation entity. Third, this study searches for, and makes comparative analysis of potential group of future women political leaders through gender ratio and present conditions i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ields. The 17th National Assembly saw the birth of 40 women members, which is double the number of any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This makes it difficul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all women political leaders.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and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is of two prominent wo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Myeong-sook Han and Geun-hae Park both of whom presently belong to leader ranks in the ruling and majority opposition party, and examine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rst, looking into their similarities, with regard to contradicting expectations between theirroles as women politicians who are extreme minority in men-centered political arena, and as leaders of their respective parties, the two congresswomen responded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outward feminine image. Inwardly, they both possess strong political visions, drive, decisiveness and other characteristics considered to be masculine traits in the past. However, they influenced their followers with images and actions that make the best of their maternal qualities and gentler aspects as women. Also both leaders give weight to rational compromises as ''politicians who compete through policies not quarrels'', and as ''leaders who regulate conflicts without regard to splinter groups.'' The major dissimilarity between the two women is that their political authority is fundamentally different due to differences in their backgrounds and the route that brought them into the political arena. Having devoted her life to feminist campaigns and struggles for democratization during the past 30 years, Myeong-sook Han possesses moral justification and inner authority. In contrast, Geun-hae Park was elected through the influence of her father,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and enjoys public popularity thanks to the image people have of her parents. This also presents negative aspects that make it difficult for her to escape from the shadows of her father''''s authoritarian and patriarchal leadership, but her sense of responsibility gained through her experiences in operations of state affairs as the First Lady (after the death of her mother) is presently materializing as her inner authority. Among various concepts of leadership examined in this study, several common factors were compounded and studied in relation to women. They can be summarized into following three factors. First, leadership i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organization that the leader belongs to. Since leadership is manifested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ctions based on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or group,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esent leadership opportunities to women for situations where women leadership can be achieved more easily. In other words, people have become tired of political dissension and competition, and authoritarian and men-centered political culture. They called for changes in political leadership. Such demands created situations, which needed qualities of flexibility and harmony considered to be feminine traits to be activated as alternative leadership. This in turn allowed for display of women leadership, and brought positive results. Secon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his/her members. Leaders must be able to influence the actions of their followers based on the overall goal of the organization or group that they are leading, and their own authority. Therefore the logic that women who have the quality to bring out the compliance of their followers can develop not only as leaders of local communities but of the country as well, is quite sound. Myeong-sook Han and Geun-hae Park may display differences in political reserve process, but because both posses inner authority and charisma that gain compliance from their followers, they could sufficiently exercise their influence. Third,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reformative 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the new leadership style highly appropriate to organizational society,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their validity can be strong in political areas as well. In present situation where there is not enough historical, situational and environmental studies on leadership or macroscopic and perspective studies on Korean political phenomena characterized by political leadership, and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leadership, it is not an easy effort to scientifically define explain, analyze, compare and evaluate women''s political leadership. However, if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reformative leadership can be demonstrated, and evidences proving the validity of such characteristics can be presented in the arena of politics where women''s advancement is more lacking than any other field, it will lead to construction of social and systematic environment inducing greater participation by women, and expand their effectiveness in politics as wel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