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Promo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Asian Cultures : 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국제인권의 신장 : 여성의 권리를 중심으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오병선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법학
  • 식별자(기타) 000000103376
  • 본문언어 영어

초록/요약

This thesis explores the issue of promo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Asian cultures in legal and cultural contexts. Asia is a vast region with a diverse population, legal systems, unique cultures and particular ways of life.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the Asian region has two directions: de jure recognition (legal issues) and de facto implementation (practical issues, including cultural context).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compatibility and controversies between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particular cultures, and tension between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This thesis presents and defends the concept of relative universality and the complementary approach to the main issu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relative universality, human rights have a universal and fundamental character and are the primary source of legal validity ? that is, domestic laws must correspond with the international norms of human rights. The concept recognizes cultural diversity, and the importance and uniqueness of each culture; however, it holds that culture is a secondary source of law. The complementary approach to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Asian cultures is based on reconciliation of universal standards and cultural values, constructive dialogue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The central idea is that all cultures have common values derived from the very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se common values are reflected in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 thesis provides three detailed studies of major Asian religions (Islam,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s of human rights formed under the great influence of Western thought and Christianity.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issue of women? rights. The thesis provides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doctrines in a new perspective and optimal strategies for domestic incorpor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 Asian region. These studies show the compatibility of modern human rights concepts and Asian religions and the progress of human rights movement in Asian societies.

more

초록/요약

본 논문은 아시아문화권에서의 국제인권의 신장문제를 법적 배경과 문화적 배경에서 연구한다. 아시아에서의 인권신장을 법률상 승인(즉, 법률에 관한 쟁점)과 사실상의 수용(즉, 문화적 부분을 포함한 적용상 문제)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국제법과 국내법과의 관계, 국제인권법과 특정 문화간의 양립가능성과 그 밖에 이와 관련된 논쟁, 그리고 보편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와의 충돌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상대적 보편주의와 주요문제에 대한 보완적 접근을 주장한다. 상대적 보편주의는 문화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문화가 법의 2차적인 근원이라고 한다. 보편주의에 따르면 인권은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성질을 갖고 있으며 국내법은 국제인권규범과 일치되어야 한다. 아시아문화권에서의 인권신장에 관한 보완적 접근은 보편적인 규범과 문화적 가치관의 조정, 건설적인 대화와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핵심적 견해는 모든 문화가 인간의 본성에서 추론된 공통의 가치를 갖고 있고 그 가치가 바로 인권개념에서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아시아의 3 대종교(이슬람, 불교, 유교)와 기독교 및 서양사상의 지대한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인권이론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특히 여성의 권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전통적 교리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아시아지역에서의 국제인권규범의 국내편입과 수용에 관한 최적의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아시아의 종교와 현대 인권 개념간의 양립가능성과 아시아사회에서 인권 운동의 진전을 보여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