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환시장의 이질성과 변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 Empirical Analysis of Volatility and Exchange Market Heterogene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정재식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
  • 식별자(기타) 00000010337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2분 간격의 예시호가를 이용하여 원/달러 자료와 현물환 거래량을 이용하여 환위험을 측정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로 고려되는 변동성을 측정해 보았다. 변동성은 오른쪽으로 긴 꼬리를 갖는 모양을 보이고 있다. 또한 비대칭의 고첨도(leptokurtic)분포이며, Jarque-Bera검정에서 p-value가 0으로 나타나, 정규분포 가설을 기각하였다. 또한 단위근이 존재지 않는 안정적인 시계열 자료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환시장의 미시적 정보 중의 하나인 거래량과 변동성의 동시적 또는 피드백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원/달러 현물환 시장은 순차적 정보가설이 혼합분포가설보다 더 적합한 이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래량이 모든 구간에 동시적으로 변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랜져 인과관계가 있어서는 일관되게 동태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충격반응함수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결국 원/달러 외환시장은 외생적 정보가 유입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거래량과 변동성이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시차를 두고 정보에 거래량과 변동성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분산도 역시 변동성, 거래량과 동태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측분산은 변동성과 동시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거래량도 동태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그랜져 인과관계와 충격반응함수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외환시장의 비효율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고, 잡음 거래모형의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외환시장의 규모가 급속히 성장하고 동시에 환율의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변동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예측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다. 변동성의 예측과 리스크 관리, 자산 분배에 있어서 변동성의 측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장 참여자들의 이질적인 예측의 대용변수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다. 시장참여자들의 예측이 매우 상이할 때 거래량과 변동성에 대한 예측 방향이 아직까지는 매우 불분명하며, 이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외환 시장에 대한 미시적 접근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Using indicative quote data on Won returns against the dollar, we construct model-free estimates of daily exchange rate volatility. Daily volatility of won/dollar was measured using high-frequency tick-by-tick data. This measure is more convenient to know exchange volatility distribution. Also,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ket participant''s heterogeneous expectation to volatility and volume and confirm contemporaneous relation and dynamic relation among three factor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 First, realized log standard deviation by using indicative quote data is stationary data and does not follow normal distribution. Second, we analyzed contemporaneous and dynamic relation between volume and volatility by using VAR structure. We can not conclude contemporaneous relation between volume and volatility consistently but, the empirical result that volume Granger-cause volatility means there exists feedback relationship. Therefore, we can conclude our empirical results are in favor if SIM in the won/dollar spot foreign exchange market. Third, heterogeneous expectation of market''s participant has significant effect on volatility. Also, there is feedback relationship between heterogeneous expectation and volum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