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교로서의 하느님 나라 :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조현철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35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하느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포와 활동의 중심이다. 세계 안에서 만나게 되는 비(非)구원적 상황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올바른 응답을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구원을 가리키는 복음서의 핵심개념인 하느님 나라에 대해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겠다. 이 논문은 먼저 하느님 나라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친교로서의 하느님 나라를 중심으로 신앙진리와 신앙실천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한다. 한편 이러한 주제를 전개하는데 있어서 보프(L. Boff)의 신학을 주요한 신학적 자료로 사용하였다. 예수가 선포한 하느님 나라는 어느 한 측면으로 국한 될 수 없는 전 세계의 총체적 변혁이다. 한편 친교는 타자와 함께 타자를 위해 타자 안에 존재하는 깊은 사랑을 의미하며, 신약의 κοινων?α는 하느님-인간(수직적), 인간-인간(수평적) 사이의 친교 모두를 가리키는 통합적인 개념이다. 예수의 식탁친교, 죽음, 부활에 나타나는 하느님 나라의 내용은 바로 친교이다. 이 친교로서의 하느님 나라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중심(열쇠개념)인데, 그 이유는 예수 생애의 중심이 하느님 나라였고 그 내용이 친교이기 때문이다. 친교로서의 하느님 나라의 관점에서 신앙진리(교의)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참 하느님이요 참 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 교의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한 인물 안에서 친교로서의 하느님 나라가 완전히 실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삼위일체’ 교의는 성부, 성자, 성령의 친교 공동체가 바로 종말에 모든 창조계가 참여하게 될 하느님 나라임을 전해준다. 한편 신앙실천 또한 하느님 나라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과 창조물은 친교 관계에 있으므로 인간을 비롯한 만물은 곧 하느님의 성사이다. 따라서 친교를 향한 인간의 실천은 종말적 하느님 나라의 성사인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논의는 그리스도교 신앙에 담긴 구원론적 차원을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이론(교의)와 실천(삶)의 일치, 예수의 선포와 교의 정식 사이의 일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more초록/요약
The Kingdom of God is the center of Jesus Christ''''s preaching and action. The non-salvific situation in the world demands the right response of Christian faith. Thus,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view on the kingdom of God which is the central concept of salvation in the Gospels. In this thesis, it is discussed what is the substance of the kingdom of God.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comprehesiv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and practice of Christian faith in relation to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L. Boff''''s thought is used as the main theological material to study the subject matter of this thesis.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s proclamation is the tot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and cannot be reduced into any particular aspect. Communion means the deep love enabling one to exist with others, for others, and in others. The Greek term in the New Testament, κοινων?α, is the holistic concept indicating the vertical(God-human) and horizontal(human-human) communion. It is communion that is regarded as the substance of the kingdom of God by considering Jesus'''' table fellowship, death and resurrection. The center(key concept) of Christian faith is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This is because the Kingdom of God is the center of Jesus Christ''''s whole life and because communion is the substance of the Kingdom of God. First of all, the truth of Christian faith can be newly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The doctrine that Jesus Christ is the true man and the true God means that the Kingdom of God was realized in Jesus Christ'''' pers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demonstrates that the community of Father, Son and Holy Spirit is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into which all the creation will be inserted at the eschatological fullness. In addition, the action of Christian faith can be understood from the standpoint of the Kingdom of God as communion. Because the relation between the God and the world is of communion, the whole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can be the sacrament of the God. Therefore, the human action for communion is the sacrament of the Kingdom of God. This theological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restoring the soteriological dimension of the Christian faith. Futhermore, by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ccordance between the theory(dogma) and the action(life) and between Jesus'''' proclamation and the doctrinal fomula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