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개혁''론에 관한 연구사적 정리 : History of studies on the controversy of ''Gwangmu Reform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두희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353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한국 근대사에 대한 연구는 줄곧 식민지기를 겪었던 한국 사회의 ‘근대성’을 인식하는 관점 차이 속에서 논쟁적으로 전개되었다.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이 이러한 논쟁을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역사 인식 방법론이다. ‘내재적 발전론’이 일제의 침략과 수탈에 저항하여 자주적인 근대화를 이루고자 한 점에 주목하였다면, ‘식민지 근대화론’은 기존체제의 극복과 제도적인 근대화 과정에 주목하여 식민지 경험을 통해 근대화가 성립되었다고 보았다. 열강의 침략 속에서 부국강병을 이루어 국권을 지키고자 했지만 결국 실패한 대한제국의 개혁 즉, ‘광무개혁’을 둘러싼 ‘근대성’ 논쟁에서 이러한 역사 인식 방법론이 최근 첨예하게 부딪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광무개혁’ 논쟁에 주목하여 1차적으로 연구사 정리를 하였다. 수량분석을 통해 1960년대부터 2006년 1월까지의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는데, 관련 연구는 단행본 35편, 연구논문 177편, 총 202편에 이르렀다. 연구는 ‘광무개혁’ 논쟁은 7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90년대에 가장 많은 연구 성과를 통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논쟁의 쟁점으로 부각되는 주요 사항은 황실 재정 정책, 개혁 세력의 성격, 광무 양전 · 지계 사업, 산업 진흥 정책이었다. 먼저, 개혁 세력의 성격과 관련된 연구는 ‘광무개혁’의 정치개혁에 해당된다. 이 정치 개혁 논쟁의 핵심에는 고종의 황제권 강화 정책을 자주적 국권을 수립하는 근대적 개혁으로 보는 입장과 전제 군주 중심의 보수적 회귀로 보는 입장이 있다. 황실 재정 정책, 광무 양전 · 지계사업, 산업 진흥 정책은 ‘광무개혁’의 경제개혁에 해당된다. 먼저, 황실 재정 정책에 관한 논쟁은 황실의 재정 확대를 황제 중심의 근대화를 위한 재정 확보 방안으로 보는 입장과 국가 재정의 불균등을 초래하여 근대적 재정제도의 구축이 실패하고, 결국 일제에 의해 확충되었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광무 양전 · 지계 사업은 이 사업을 통해 근대적 토지 소유가 인정되었다고 보는 입장과 국가의 수세파악을 위한 조사에 불과하며, 일제의 토지 조사 사업을 통해 근대적 소유권 제도가 확립되었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끝으로 산업 진흥 정책은 특권적 상업체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상공업 정책과 회사, 화폐, 금융 정책을 열강의 이권침탈을 막기 위한 자주적, 자본주의적 정책으로 보는 입장과 특권적 상업체제가 장기적인 시장경제의 창출을 막았기에 근대적 산업 진흥 정책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 있다. 한편, 양자의 입장을 절충적으로 받아드리는 견해도 있는데, 당시 대한제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주적 개혁의 측면을 인정하지만, 지나친 황제권 강화 정책과 재정 확대 정책 등으로 인해 근대적 개혁은 실패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렇듯 ‘광무개혁’ 논쟁에서 ‘근대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대한제국이 열강의 침략을 막고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던 자주적 개혁의 측면에 입각하여 보는 입장과 ‘근대성’을 체제 변혁적인 관점에서 판단하는 입장이 있다. 이는 ‘근대성’의 기준을 달리 하는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역사 인식의 방법론과도 맥이 닿아있고, 절충적 입장도 이러한 역사 인식 방법론의 틀을 벗어나지는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포스터 모던의 문제틀에 입각한 역사 인식 방법론에서는 ‘근대성’ 자체를 인식의 기본범주로 설명하는 지금까지의 ‘광무개혁’론이 근대의 발전 사관이 초래한 억압과 불평등에 대해서는 간과했다고 주장한다. ‘광무개혁’을 자주적 근대화 개혁으로 평가하는 입장에서는 황제 중심의 전제적인 정치 구조와 특권 상인 중심의 경제 구조가 일반 민들과 소상인들에게 일정한 억압이 동반되었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한다. 대한제국의 근대적 개혁성을 부정하고, 식민지 자본주의가 발전하였다는 주장은 근대 자체의 억압과 불평등에 인종적 · 민족적 억압이 더해졌음을 간과했다는 것이다. 본고는 ‘광무개혁’론에 대한 연구사 정리를 통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논쟁을 ‘근대성’ 논쟁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역사인식 방법론에 따른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대한제국 전 분야에 걸친 연구사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 개혁에만 초점을 맞추어 전체 속의 부분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점, 연구사적 정리에서 나아가 비평적인 관점에서 ‘광무개혁’ 논쟁의 전반을 바라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more초록/요약
Studies on Korean modern history have long been led by much controversy arising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s in perceiving the ''modernity'' of Korean society that experienced the colonial times. Two theories, ''the hypothesis of internal development'' and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of colony'', are the ones on the front rows of this controversy. While ''the hypothesis of internal development'' focuses on the argument that Korea strived for autonomous modernization in spite of aggression and exploitation by the Japanese, the latter sees the modernization as a result of colonial experience stating overcoming of the existing regime and systematic modernization process. Lately, such theoretical conflict around the controversy on the ''modernity'' of ''Gwangmu Reformation'' - the failed revolution of Dae-Han(大韓) Empire(1897-1910) in trying to defend the sovereignty - has become sharpening. Firstly, this study provides the statistics of historical studies focused on the controversy of ''Gwangmu Reformation''. The trend of research studies from 1960s to January 2006 shown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as follows; relevant studies are 201 in total, 35 books and 176 research papers. Such study on the controversy of ''Gwangmu Reformation'' has started from the 1970s and reached the peak in 1990s. Major issues in this controversy are the financial policy of the imperial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reformists, the National Land Survey (Yangjunsaup), the Land Ownership Survey(Jikyesaup). First of all, the studies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formists fall in the political reform of ''Gwangmu Reformation''. At the center of this controversy over the political reform are one side that sees Gojong’s policy of strengthening his imperial power as a modern-day reform of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sovereignty and the other side that regards it as returning to an old-day absolutism. The financial policy of imperial family, the National Land Survey, the Land Ownership Survey and the industry promotion policy come under the economic reform of ''Gwangmu Reformation‘. As for the controversy over the financial policy of imperial family, there are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e argues the expansion of imperial property as a way to finance the modernization led by the imperial family and the other argues that this created the inequality of the national economy and failed to establish modern financial system. In a case of , the National Land Survey, the Land Ownership Survey the advocates of this policy claim that it opened a way to the property ownership of modern-day idea. However, the opposite side argues that this is a mere survey for the sake of national taxation and the ownership system of modern-day idea was established through the land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At last, the industry promotion policy is also interpreted in two ways; one sees this as an autonomous policy in order to defend the national economy and industry and the other opposes to regard this as a revolutionary industrial promotion policy because this hindered the creation of long-term market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opinion that compromises these two extreme viewpoints. This group accepts the idea of autonomous revolu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ose days but argues that ''Gwangmu Reformation‘ fails to be a modernistic revolution due to excessive power given to the Emperor and expansion of royal property. Like this,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modernity in the controversy over ''Gwangmu Reformation''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ositions. One focuses on the autonomy of the revolution in defense of foreign influence and the other puts an emphasis on the systematic change. The eclectic position, too, does not go far from such division. However, the group of historians from the post-modernism claims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Gwangmu Reformation‘ explaining the ''modernity'' itself as their starting points overlook the fact of oppression and inequality created by modern historical view of development. Those who assess ''Gwangmu Reformation'' as an autonomous modernization are said to overlook the fact the Emperor-oriented political system and the economic system privileging only the special group brought a certain level of oppression on general population and small business holders. Whereas, those oppose the modernity of the Dae-Han Empire argues that ethnical and racial oppression were added to modern oppression and inequality. This paper conclude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ntroversy of ''Gwangmu Reformation'' as the controversy of ''modernity'' and provides the direction according to a new methodological viewpoint on historical study. Only, this study still carries some limitations as it does not look into the whole period of Dae-Han Empire, focuses only on the reform not grasping the meaning as a whole and fails to see the big picture of the controversy over ''Gwangmu Reformation'' beyond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