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톨릭 주일학교에 대한 교육조직사회학적 접근 : A Study of ''Catholic Sunday school'' based on Sociology of Education organization : With special focus on middle & high schools stud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전상진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사회
  • 식별자(기타) 00000010333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연구자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교회조직은 외부나 내부에서 느끼고 있듯이 권위주의적인 관료제를 통해 운영 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 사목의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주일학교의 활동은 교회구조로 대표되는 사제단과 느슨한 결합을 이루고 있었다. 주일학교에서 느슨한 결합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주일학교와 연관되어 있는 사제단이 주일학교에 대해서 기대하는 바가 별로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제들은 현재의 주일학교가 기본적으로 해야 할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제들의 인식은 자연스럽게 주일학교 조직의 활동을 교회구조와 느슨한 연결을 만든다. 이에 따라 교회구조인 사제단은 주일학교 활동에 대한 결과를 떠맡지 않아도 된다. 즉 사제가 주일학교의 신앙교육이 잘 되지 않아도 그 결과에 그다지 큰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결국 주일학교에 대한 책임은 주일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과 입시체제에게 전가되며 청소년 사목의 전문성은 사제보다는 교사나 학생들에게 더 필요한 것이 된다. 교리교사들의 전문성만 확보된다면 주일학교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믿음을 교회 구성원에게 심어주는 것이다. 또한, 교리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은 사제단이 가지고 있는 주일학교에 대한 책임과 불확실한 목표를 회피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된다. 이런 상황은 자연스럽게 주일학교 조직을 의례적 활동만을 수행하며 현상유지를 하는 곳으로 만든다. 여기서 교리교사들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교사들은 매주 있는 교리 교육을 하고 여름 캠프, 피정, 각종 행사 등을 한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자신들의 활동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더욱더 주일학교의 정당성을 강화시킨다. 이런 의례적 활동들은 주일학교를 유지시키는 정당화의 기제가 되며, 주일학교가 잘 되고 있고, 필요한 존재라는 인식을 교회 구성원들에게 심어준다. 따라서 이런 활동들은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재생산된 활동들은 주일학교라는 곳이 그들의 몫을 하고 있다는 표시이며, 주일학교가 현재 상황에서 최대한 안전한 곳이고, 다른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more

초록/요약

Organizations of the church are not hierarchically constructed as these are considered, according to my research. Especially, the Sunday school activities are loosely coupled with representatives of organization of the church, priests. It means that Catholic priests do not regard the Sunday school as an important organization. This concept loose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of the church and the Sunday school activities. Consequently, priests do not need to take charge of results of Sunday school activities. Therefore, Catholic priests do not need to consider their responsibility for religious education in the Sunday school. It also implies that this responsibility can be transferred to the Sunday school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of korea. In the result, improving speciality for adolescence pastoral seems more urgent for the Sunday school teacher, not for priests. In addition, this makes illusions that the Sunday school will be activated if the Sunday school teachers can equip special knowledge about adolescence pastoral. Furthermore, this gives a way for priests to eschew responsibility for Sunday school. This complex situation makes the Sunday school as a place where various rituals are performed. In this process, roles of the Sunday school teachers are essential. Teachers train students a doctrine every week and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like summer workshops, religious events. Through these activities, teachers endow meanings on their activities. This bolsters legitimacy of the Sunday school. Furthermore, this kind of rituals is a mechanism of legitimacy to maintain the Sunday school''s present status. It makes followers believe that the Sunday school is an essential part of the church. Therefore, this kind of activities is continually reproduced. In this case, ''reproduction'' means that the Sunday school manages its roles well. However, this kind of rituals is not concerned as just perfunctory rituals. Rituals of the Sunday school are regarded as necessary activities in the church because of the faith about Sunday school''s efficiency, even though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priest grant it low-este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