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석의 <로미오와 줄리엣>공연 분석 : Analyzing Performance of Romeo and Juliet by Oh Tae-Sok Focussing on play production and spectator recep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란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25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오태석은 자신의 희곡텍스트를 다시 무대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무대진을 통해 공연텍스트로 완성시켜야하는 연출가로서의 특수성 때문에 희곡 텍스트의 무대화에 대한 인식과 공연텍스트에 대한 관객의 반응에 대한 인식이 첨예하게 드러난다. 오태석은 희곡텍스트가 무대진에 의해 무대화되었을 때 기능하는 내포관객에 대한 자리를 마련하고 있으며, 공연텍스트가 관객에게 어떻게 다가가며 관객들과의 의사소통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늘 의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서양의 고전인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오태석이 어떻게 자신의 연극문법으로 각색하고 연출하여 관객들에게 다가가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별히 공연생성과정에서 이상적인 관객과의 의사소통을 생각할 때, 오태석은 어떤 내포관객을 설정하고, 어떻게 그들의 자리를 마련하는 극적 장치들을 사용하여 무대화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실제관객들은 그렇게 준비된 무대진의 공연텍스트를 보고 어떻게 기대지평과 충돌하고, 불확정성의 자리를 메우면서 오태석이 의도한 기대지평과 융합해가는 지에 대한 관객수용양상을 수용미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태석은 관객과의 이상적인 의사소통을 수용미학적인 견해에서 무대진과 관객의 어우러짐과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 및 다양한 해석을 존중하는 입장을 취한다. 그런 까닭에 오태석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사용된 극적 장치들은 대부분 관객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것들이다. 가장 기본적인 무대 구성에서부터 오태석은 관객들을 의식하여 관객들과 시선을 맞추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 빈 무대를 창출한다. 가장 기본적인 무대배경만 있을 뿐 장면 변화에 따른 특별한 무대 장치의 변화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열려 있는 무대에서 배우들은 끊임없이 관객과 눈을 맞추고, 관객에게 말을 걸고, 관객 속에서 등장하고 관객 속으로 퇴장한다. 배우들은 한국적 정감이 그대로 묻어나는 침투력이 강한 우리말을 사용하여 관객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언어유희 등과 같은 등장인물의 대사는 관객들에게 재미를 준다. 아울러 빈번히 사용되는 춤과 음악은 장면과 장면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배우과 관객을 연결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서양의 고전인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현대 우리 나라에서 공연하기 위해 오태석은 셰익스피어와의 끊임없는 의사소통을 시도하였다. 특이한 것은 16세기 영국의 셰익스피어와 21세기 한국의 오태석은 연출스타일에 있어서 많이 닮아있다는 것이다. 시적인 대사, 막간없는 연속성, 고정적이지 않은 무대 장치 등에 있어서 그러했다. 그러나 오태석은 자신만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만들었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죽음으로 양가가 화해한 해피엔딩의 원작과는 달리 오태석은 양가 모두가 칼바람을 일으켜 죽게 되는 비극적인 결말로 텍스트의 기본 골격을 바꾸어 이 시대의 현실을 드러낸 것이다. 무대진에 의해 공연텍스트로 올려진 <로미오와 줄리엣>은 관객들과 끊임없이 소통한다. 관객들은 무대진과 때로는 일치하기도 하고, 때로는 맞서기도 하며 자신의 의미를 창출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남자학생들을 대상으로 관객이 공연텍스트와 어떻게 소통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 관객들은 오태석의 공연을 재미있게 관극했으며, 오태석이 바라본 현실관과 일치하는 작품해석 경향을 보였다. 서양식 무대배경이 아닌 우리 전통적인 무대 배경과 등장인물의 의상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지녔던 기대지평과 충돌했지만 관극하는 동안 공연을 훔쳐보는 관망자로서가 아닌 배우들과 함께 놀이공간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관람 태도를 보였다. 낯설게 받아들여질 것 같았던 오태석식 연극 약속(convention)은 대부분 연극관람이 처음이었던 학생들에게는 오히려 자연스럽게 다가갔다. 반면, 오태석이 의도적으로 바꾸었던 비극적 결말에 대해서는 셰익스피어 원작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화해 결말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부정적으로 볼 때, 오태석이 의도한 작품의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했다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긍정적으로 보면 학생 관객들이 바라보는 세상과 오태석이 생각하는 현실관과 일치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관객들이 실제 공연텍스트를 보고 어떻게 반응하고 무대진과 의사소통을 하는 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번 연구에서도 드러난 그런 어려움과 미진했던 부분은 다음 연구에서 좀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more초록/요약
Korean version of Romeo and Juliet by Oh Tae-Sok, a prominent Korean playwriter and a play director, reveals Oh''s perceptions of staging a drama and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performance text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that he has to adapt his drama into a performance text by using his dramatic imagination. Oh Tae-Sok makes room for the implied spectators who would function when the play is dramatized on the stage, and this implicates that Oh is concerned about the issue of how the performance text will affect the audience and how he will communicate with them. Within this context,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Oh Tae-Sok adapts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and directs it on the stage in his own way. In the process of directing it in particular, it will be examined how Oh establishes the implied spectators when he considers the communication with the ideal spectators of his play. In addition, this thesis explores the ways in which Oh applies dramatic devices to encourage spectators to actively respond to and participate in the play. On top of this, this thesis examines how Oh''s adapted play is received by the spectators in terms of reception aesthetics: how the spectators complement the uncertainty of the play and how they conflict with the horizon of expectation, and in what aspects they can be said to side with Oh. First of all, Oh Tae-Sok acknowledges the significance of the audience in terms of reception aesthetics, that is,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harmony of staging staff and the audience. For this reason, most of the staging devices in Oh''s Romeo and Juliet are designed to encourage the spectato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his play. His intention is explicitly shown in the basic formation of the stage. Oh creates an open space, an empty stage, for his play in order to have a direct eye contact and communicate with the spectators. On the stage, there is only a simple backdrop without special changes for different dramatic scenes. On this open stage, actors can have a constant eye contact on the spectators, talk to them, and enter and exit through them. Actors communicate with the spectators by effectively using words which are full of Korean sentiment and excite spectators with words full of verbal play. In particular, frequently used dance and music function not only as a connection between scenes but also as a stimulant to link actors and spectators to form a sense of a community. In adapting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Oh Tae-Sok tries to talk to Shakespeare to perform his play in 21th century Korea. Noticeably, Oh''s version has some features in common with Shakespeare''s in the various ways of production, that is, poetic words, performance without intermission, and unfixed stage. In some ways, however, Oh creates his own version of Romeo and Juliet. That is the difference of the ending of the play. Different from that of Shakespeare, Oh''s ending is even more tragic in that all characters-all family members of Romeo and Juliet- die in the bloodshedding. By changing the ending of the play, Oh trie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contemporary age. Oh''s Romeo and Juliet communicates with the spectators. The spectators sometimes agree with the newly adapted play, but sometimes they oppose to it, and consequently establish their opinions in view of the play.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third grade boys''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 performance. Student spectators enjoyed Oh''s version of the play, and tended to correspond with Oh in their view of the world. Student spectators had a conflict with their horizon of expectation in the stage costume because Renaissance costume is replaced with traditional Korean costume in Oh''s play. In general, however, they tended to take a positive attitude in their watching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lay. Far from expectation, theatrical convention adapted by Oh seemed to be acceptable to the spectators. By contrast, student spectators did not notice the different ending of Oh''s version of Romeo and Juliet. It may be negatively interpreted in that Oh''s intended message was not conveyed efficiently.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 also be positive in that student spectators correspond with Oh Tae-Sok in their view of the society. It is true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studying how spectators respond to the performance text and how they communicate with the actors. Hopefully, more research will complement the unsatisfactory part of this the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