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북한이탈주민’ 인권문제 : The Quest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Human rights ;Analysis of their process o settle down in the society of South Kore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수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정치외교
  • 식별자(기타) 00000010324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인권문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남한사회 소수자집단의 인권개선 차원에서의 의의. 둘째, 한반도 주변정세에서의 변수에 대한 이해 차원에서의 의의. 셋째, 남북통합의 예비모델로서의 의의가 그것이다. 기존연구들은 ‘제 3국’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인권문제 혹은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래서 한국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인권자료 및 연구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의 인권실태를 보고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은 인권실태 분석을 위해 준거로서의 인권지표를 구성하였다. 인권지표는 세계인권선언,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을 바탕으로 한 38조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 정착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실태를 조사한 결과 38개 조항 중 16개 조항에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었다. 이 같은 인권침해는 남한사회에 입국하는 순간부터 거주지에 정착할 때까지 전 과정에 걸쳐 발생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사회에 정착하는 동안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는 동시에 많은 인권침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1)차별 없는 평등한 권리 2)구속이나 투옥되었을 때 인간적인 대접을 받을 권리 3)좋은 근로조건에서 일할 권리 4)사생활, 가족, 가정의 보호 권리 5)사회보장의 부분에서 가장 많은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진술하고 있다. 보다 객관적인 인권실태 분석을 위해 한국 일반주민의 인권실태와 비교해본 결과 항목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사회 일반 주민들은 한국사회의 모순과 균열구조의 영향을 받아 인권실태가 변화하고 있는 반면, 북한이탈주민들은 이보다는 국가정책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상황에는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다른 소수자집단에 비해서 국가로부터 물리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었다. 반면 남한 주민들의 ‘차별인식’으로 인한 인권침해를 많이 당하고 있었다. 인권실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정책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물질적 지원에 크게 치중하고 있다. 둘째, 소수자인권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다. 셋째, 남북통합관점에서의 접근이 부재하다. 넷째, <정부합동조사기관>에서의 인권보호에 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같은 특성을 지닌 정책과 인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위해 인권실태와 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가의 정책이었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정책과 인권사이에는 제한적 비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적으로는 구체적인 정책이 존재할 때 인권보장의 질이 높아지고, 구체적인 정책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권실태의 원인은 정책에만 있지 않았다. 일상생활의 영역과 ‘차별인식’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정책의 특성상 정책을 잘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일부 인권영역에 있어서는 사회적 실천의 보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정책과 인권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인권보장을 위한 정책의 한계지점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 인권개선을 위한 다음의 여섯 가지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개인의 특성별로 차별화된 정책, 북한이탈주민 참여형 정책, 남북 주민 개방형 교육, 전문 인력의 확보,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 민간주체들의 사회연결망 구축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사회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실태 및 원인규명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을 보장하고 남북통합이후의 인권침해 없는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소수자인권의 관점에서 구성된 정부정책과 사회적 연결망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This research is on the questions of human rights which refugees from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North Korea) suffer in the process to settle down in the society of Republic of Korea(South Korea).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erms of the three themes following : First, to help find how to make better the condition of a minority''s rights in (South) Korean society ; Second, to help analyze variables to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 Third, to help draft the model of one united society comprising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As most preceding researches on North Korean refugees have focused on their human right questions in the third state or on their ''adap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on the ex-refugees from North Korea now settling down in South Korean society. S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questions of human rights which North Korean settlers suffered in the course of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and on the causes bringing about the question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state of human rights, a ''human rights index'' is composed, which is made up of 38 articles based on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Human Rights(UDHR), International Covenants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International Covenants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When the state of North Korean settler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is examined by the ''human rights index'', 16 of the 38 articles are found to be violated. The violations occurred all through the period from the entrance to settlement into South Korea. South Korean government, while giving lots of benefits to North Korean refugees, did them crucial violations of human rights, the most frequent of which are the five following : 1) the right to equality without discrimination 2) the right to be treated humanely as a prisoner 3) the right to work in good circumstance 4) the right to protection of family life and privacy 5) social security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it, the state of North Korean settlers'' human rights needs to be compared to the state of ordinary South Korean civilian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shows a cri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asses : Violations of human rights by government are inflicted on North Korean settlers much more than normal South Korean civilians, whose human right questions now derive rarely from violations by government, having prevailed under their old dictatorships, but mostly from internal new cleavages in South Korean society. Synthetically speaking, there are two remarkable tendencies about violations of North Korean settlers'' human rights : 1) North Korean settlers never get little benefits from South Korean government ; Nevertheless, the discrimination from native South Koreans causes violations of their human rights. 2) Under their special circumstance, in contrast to ordinary South Korean civilians, they have to face and treat government more frequently, and that''s why they suffer more violations of human rights from government. Two crucial variables to the state of North Korean settlers'' human rights we can find out of the result above. The most crucial variable is policies by government. There can be found proportionate relation limitedly between the policies to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ir human rights. When there is a specific and concrete package of policies on an issue of human rights, there are much less violations by government on that issue than otherwise issues. That is, the more specific and concrete rules and policies there are, the less violations of human rights by government occur on a particular area of human rights. South Korean government makes specific polic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some issues, but does not in many other issues.: The government concentrate on material support to North Korean refugees ; On the other hand, it has little concrete rules and policies to protect the minorities'' rights in their everyday life ; Nor it has any regulation to protect human rights in the case of governmental joint investigation. To improve North Korean refugees'' and settlers'' human rights, the government needs to complement human right policies for minority and to make regulations to protect human rights in the case of governmental joint investigation. The second crucial variable is native South Koreans'' discrimination against North Korean settlers. The reason for such discrimination is the combination of the minority position of North Koreans and South Koreans'' lack of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s and their culture. Therefore, government needs to deeply take affirmative actions for the minority into consideration ; and South Koreans'' discriminative attitude should be corrected by mutual efforts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to make advances to understanding each other. In brief, this research means to show the realities of human right which refugees from North to South Korea are in, and the causes to bring about them. And the following are conclusions : 1) North Korean refugees suffer violations of human rights throughout the period from the entrance to settlement into South Korea. 2) The main causes of violat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human rights are the policies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discriminative attitude of native South Koreans. 3) To improve such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needs to deeply take affirmative actions for the minority into consideration ; and native South Koreans'' discriminative attitude should be corrected by mutual efforts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to make advances to understanding each oth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