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디어교육 수용 양상 및 수용 방향 : Media Education Acceptance Phase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23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제도적으로 미디어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1차부터 7차까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미디어교육 수용 양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디어교육 수용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차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 전 학년, 전 교과의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바탕으로 미디어교육의 분류, 관련 미디어, 학년, 교과, 내용 구성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1차부터 7차 교육과정의 국어, 사회, 도덕, 실과 교과서에서 미디어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과서에서 미디어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외국의 교육과정과 현재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안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미디어교육 수용 방향을 제언해 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에서 반영된 미디어는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컴퓨터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시대와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다루는 내용도 변화되어 왔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의 종류는 다양하지 못하였으며 일부 미디어로 한정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미디어와 관련된 내용은 5학년이 가장 많이 수용되었으며, 1, 2학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미디어와 관련된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 교과는 국어과, 사회과, 실과, 도덕과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그 중 국어과에서 가장 많이 수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초기에는 가치․태도와 관련된 부분이 많았지만, 점점 기능과 관련된 부분이 증가하였으며, 지식과 관련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여섯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나타난 미디어 관련 내용들은 대부분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라기보다는 교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미디어를 통한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일곱째, 국어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제재의 대부분은 보호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여덟째, 현재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안을 살펴보면, 국어과와 미술과에서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도덕과, 사회과, 실과 등에서도 관련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미디어교육이 올바르게 수용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현장에 미디어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명시적 교육과정에 미디어교육을 도입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각 교과별로 미디어교육과의 접점을 확인하고 학년별, 개념별로 위계를 세워 체계적인 미디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내용의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서는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미디어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교과별로 미디어교육 학습 내용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미디어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나의 관점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올바르게 미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관점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미디어 보기와 분석 능력에만 한정지을 것이 아니라, 미디어와 사회, 정치, 경제 등 여러 구조적인 문제들을 발견하는 비판적 사고력과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표현할 수 있는 창의적 제작 능력을 배양시키는 부분도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교육이다. 각 교과별이나 통합적으로 연수를 추진하여 교사들이 미디어교육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초등학교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미디어교육의 내용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향후 많은 논의를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미디어교육을 도입할 수 있는 기초 분석을 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미디어 관련 내용을 분석 준거에 의해 분석하였어도 연구자에 의해 달리 해석되고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많은 내용을 포함하다 보니, 각 교과의 특징이라든가 교육과정 시기적 관점을 깊이 있게 기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각 교과별로 미디어교육 수용 방안을 깊이 있게 제시하기를 기대해본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dia education acceptance phase demonstrated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acceptance, so as to lay the foundation to institutionally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the front lin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end, this paper extracted media-related contents from all the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years and all subjects’ curricula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ontents,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by categorizing into relevance with media education, related media, school years, subjects, and content composi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media-pertinent content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s of Korean, Social Studies, Morality, and Practical Course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how media-related contents were handled in textbooks have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to accept media education in the future, founded on the foreign curricula and the currently debated curriculum. The ensuing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media main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curriculum are newspapers, radio, TVs, and computers, and the handled contents handled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media. Second, the types of media reflected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not been diverse, and limited to some media. Third, the fifth grade accepted the contents related to media most, and the first and second grade accepted relatively little. Fourth, the subjects reflecting media-related contents were limited to Korean, Social Studies, Practical Course, and Morality, and the subject of Korean accepted media-related contents most. Fifth,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e part concerned with value and attitude accounted for most at early stage, but the part related to functions gradually rose, and the part concerned with knowledge was relatively smaller. Sixth, the media-related contents demonstrat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mainly used media as a means to achieve curriculum goal,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education. Seventh, most writings with subject matter concerned with media in the textbooks of Korean and Morality had protective perspective. Eighth, looking into the currently debated curriculum revision plan, the Korean and Art subjects perceived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and showed a movement to actively reflect media education. Also, related contents were handled in the subjects of Morality,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Course. Based on the study result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properly accept media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First, it is urgent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the express curriculum in order to establish media education at schools. Accordingly, in-depth studies have to be conducted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Second, studies ne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so as to check crossing areas between each subject and media education, establish hierarchy by concept, and perform systematic media education. Third, media education suitable for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ried out so as to avoid duplicate contents. In doing so, an agreement about media education contents by each subject is needed. Fourth, a perspective change looking at media is required. Various perspectives have to be presented, not biased toward only a perspective, so that students can properly accept media. Fifth, the part to foster critical thinking through which various structural problems can be discovered, such as media and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not just limited to media watching and analyzing ability, and creative production ability to effectively deliver and express students’ own thoughts need to be expanded. Sixth, what is important is education for teachers among other things.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properly perceive media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promotion of training by each subject or in a unifying way. Seventh, lots of debate is needed regarding how to set the media education content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level. Concerning this, many studies are anticipated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a basic analysis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analysis can be differently interpre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researcher, although media-related cont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To include more contents in this study, each subject’s attributes or perspectives of curriculum based on period were not described in-depth. Hence, the author expects the studies in the future will present the measures to accept media education more deep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