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적 음운 변이와 통시적 음운 변화의 상관성 : The Correlation between Synchronic Phonological Variation and Diachronic Phonological Change : Focusing on Yukcin Dialect in the North Hamkyeng Provi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곽충구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국어국문
- 식별자(기타) 00000010319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의 목적은 함북 육진 방언을 대상으로 공시적 음운 변이와 통시적 음운 변화의 원리를 밝히고 양자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기존의 통시 음운론이 주로 음운 변화의 결과를 기술하는 데 그친 반면, 본고는 음운 변화의 요인과 진행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육진 방언의 진행 중인 변화에 대한 정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통시적 음운 변화는 공시적 음운 변이의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짐을 입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발화 산출 과정에 작용하는 수의성의 유형에 따라 변이 및 변화의 유형을 분류한다. 표면형 도출 과정상의 수의성에 기인한 변이 및 변화는 ‘교체 지배 변이 및 변화’로, 기저형 선택 과정상의 수의성에 기인한 변이 및 변화는 ‘기저형 지배 변이 및 변화’로 분류한다. 공시적 변이와 통시적 변화를 공통된 원리에 의하여 파악하려는 이같은 시도는 기존의 공시태 개념을 완화함으로써 통시태와의 상관성 속에서 공시태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에서 비롯한 것이다. 3장에서는 교체 지배 변이와 변화의 실제를 검토하고 그 원리를 밝힘으로써 양자의 상관성을 확인한다. 함북 육진 방언이라는 실증적인 언어 자료를 토대로, 수의적 음운 교체에 의한 변이와 변화의 구체적인 기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훈춘 지역어의 세대별 음운 변이의 양상을 비교하여 현장 시간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한편, 이를 20세기 초의 카잔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실재 시간상의 변화 양상도 살펴본다.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음운론적 변항은 현재 진행 중인 음운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ti), (tyV), (ni), (nyV), (syV), (tsyV), (ye), (ya) (ti), (tyV), (ni), (nyV), (syV), (tsyV), (ye), (ya)이다. 3장의 논의 내용을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육진 방언의 (ti), (tyV), (ni), (nyV), (syV), (tsyV), (ye), (ya) 변이는 수의적 음운 교체에 의한 변이, 즉 교체 지배 변이이다. 그 이유는 공존하는 다양한 변이형들을 단일한 기저형으로부터 공시적 음운 과정에 의해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수의적 음운 교체의 기제와 요인은 일차적으로 규칙에 의하여 기술될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제약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수의적 음운 교체는 규칙의 수의적 적용에 의한 것이며, 그러한 수의적 적용의 원인은 제약들 간의 상호 경쟁에 있다. 기존의 제약 위계가 새로운 제약 위계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공시적 변이가 출현하고, 그 위계가 확정되면서 변화가 완료된다. 셋째, 현장 시간상에서 진행 중인 변화의 예와 과거 이 방언에서 일어났던 음운 현상의 실제를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음운 과정에 의한 통시적 음운 변화는 수의적 음운 교체를 통하여 어휘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행되며, 그러한 점진적 어휘 확산 과정에서 공시적 음운 변이가 출현한다. 대상 음운론적 변항과 연관된 특정한 변이형의 출현이 100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휘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넷째, 교체의 적용 양상의 측면에서 볼 때, 변화의 확산은 수의적 교체의 점진적 필수화와 더불어 이루어진다. 한편, 교체의 적용 대상의 측면에서는, 해당 교체가 적용되기 용이한 세부 조건을 지닌 어휘로부터 교체가 적용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변화가 확산된다. 다섯째, 음운론적 변화는 발화 산출과 발화 해석의 최적화를 지향하여 일어난다. 이 중 교체 지배 변이 및 변화는 발화 산출 과정이 최적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4장에서는 기저형 지배 변이와 변화의 실제를 검토하고 그 원리를 밝힘으로써 양자의 상관성을 확인한다. 함북 육진 방언을 토대로, 기저형의 수의적 선택에 의한 변이와 변화의 구체적인 기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훈춘 지역어의 세대별 음운 변이의 양상을 비교하여 현장 시간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한편, 이를 20세기 초의 카잔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실재 시간상의 변화 양상도 살펴본다. 새로운 기저형의 첨가 기제를 크게 재해석, 단일화, 차용 및 유추로 나누고, 이들에 의한 변이 및 변화의 예들을 검토한다. 4장의 논의 내용을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재해석에 의한 기저형 첨가는, 주어진 표면형에 대해 둘 이상의 음운론적?형태론적 해석이 가능할 경우, 청취한 표면형의 기저형 복원 과정에서 청자가 기존의 기저형과 상이한 기저형을 복원한 데 기인한다. 이에 따라 한 형태소에 대한 기저형이 둘 이상 공존할 경우, 발화 산출 과정에서는 기저형의 수의적 선택이 일어난다. 둘째, 단일화에 의한 기저형 첨가는, 청취한 표면형의 기저형 복원 과정에서 청자가 기존의 복수 기저형을 단일 기저형으로 복원한 데 기인한다. 이에 따라 한 형태소에 대한 기저형이 둘 이상 공존할 경우, 발화 산출 과정에서는 기저형의 수의적 선택이 일어난다. 셋째, 표준어를 포함한 타 방언형의 차용 및 그에 대한 유추에 의해서 새로운 기저형이 첨가될 수 있다. 개별적인 어형 차용 후, 차용한 어형과 해당 방언형 사이의 규칙적인 음운론적 차이에 기반하여 유추가 행해지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한 형태소에 대한 기저형이 둘 이상 공존할 경우, 발화 산출 과정에서는 기저형의 수의적 선택이 일어난다. 넷째, 기저형 지배 변화는 새로운 기저형의 첨가와 그것의 점진적인 필수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신형의 선택 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구형의 선택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결과적으로 구형은 소실되고 신형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저형 대체의 중간 과정에서 공시적인 기저형 지배 변이가 출현한다. 다섯째, 기저형 지배 변화의 방향은 기저형 첨가 기제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일부 과도 교정적 변화의 경우를 제외하면, 재해석에 의한 변화는 주로 복원 과정을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단일화에 의한 변화는 복수 기저형을 단일화한다는 점에서 어휘부의 간소화를 지향하여 일어난다. 한편, 차용 및 유추에 의한 변화는 외재적인 사회적 권위를 지닌 어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일어나고 있다. 공시태와 통시태를 철저히 이원화하고, 이상적인 화,청자로 구성된 동질적인 언어 공동체를 전제한 상태에서는 역동적인 언어의 실제를 설명하는 데 많은 한계가 따른다. 언어는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인정하는 한, 공시적 음운 변이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 없이 통시적 음운 변화를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고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함북 육진 방언의 실증적인 언어 자료를 검토하여, 생동하는 언어의 본질적 측면을 밝히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rinciple of synchronic phonological variation and diachronic phonological change using data from Yukcin dialect in the North Hamkyeng Province, and suggests thereby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variation and chang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just described the result of change, it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 and the process of phonological change. Based on the minute observation on the change in progress of Yukcin dialect, it suggests that diachronic change implements gradually via synchronic variation. In chapter 2, it defines the notions of variation and change, and categorizes them according to the types of optionality which operates in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The variation and change caused by the optionality in the derivation of a surface form are categorized into Alternation-Governed Variation(AGV) and Alternation-Governed Change(AGC), while the variation and change originated from the optionality in the selection of an underlying form are categorized into Underlying Form-Governed Variation(UFGV) and Underlying Form-Governed Change(UFGC). This attempt which tries to explain synchronic variation and diachronic change by a single principle is derived from the need for understanding synchrony in relation to diachrony. In chapter 3, it investigates practical data of AGV and AGC, and demonstrate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m. Focusing on Yukcin dialect, it discusses the specific mechanism of the variation and change caused by optional alternation. The change in apparent time is examined by comparing the phas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different generations. In addition, the change in real time is also examined by comparing the present data with the data from the written documents which were issued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o be specific, it investigates the phonological variables such as (ti), (tyV), (ni), (nyV), (syV), (?yV), (y?) and (ya), which reflect the ongoing phonological changes. The mechanism and the cause of optional alternation can be described by means of rules, however they can be explained more adequately in terms of constraints. Optional alternation is due to optional application of rules, and the optional application of rules results from the competition among constraints which are ranked. In this point of view, diachronic change is considered as a reranking of constraints. While the existing constraint hierarchy gradually changes to new one, synchronic variation occurs. In chapter 4, it investigates practical data of UFGV and UFGC, and demonstrate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m. Focusing on Yukcin dialect, it discusses the specific mechanism of the variation and change caused by the optional selection of an underlying form. The change in apparent time is examined by comparing the phas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different generations. In addition, the change in real time is also examined by comparing the present data with the data from the written documents which were issued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t suggests that new underlying forms can be added to existing ones by reinterpretation, leveling, borrowing, analogy, and investigates the actual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by them. The process of UFGC consists of the addition of new underlying forms and the gradual increase of the selection of new ones. In this point of view, diachronic change is considered as the replacement of former underlying forms by new ones. While the existing underlying forms gradually changes to new ones, synchronic variation appea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