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의 공간 구현 양상과 그 서사적 기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주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0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3189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는 <심청전>의 공간 구현 양상과 그에 따른 서사적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고소설에서 흔히 등장하고 있는 이계(異界) 공간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충분히 연구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심청전>에 나타나는 공간 구현 양상과 그 서사적 기능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고소설 일반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 관계 양상을 유형화하여 논의 전개의 기반을 마련한 후, 이를 <심청전> 작품에 적용하여 논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본고의 논의 전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 고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의 종류를 규정짓고, 이를 바탕으로 現實과 異界 공간의 관계 양상을 2가지로 유형화한다. 본고 논의의 출발점은 한국 고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의 종류를 명확히 하는 절차에서 시작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소설에 나타나는 공간들의 관계 양상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특징을 살피고, 그에 따라 소설 속에서 이계 공간이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2장에서 공간에 대한 유형체계를 이론화한 것을 토대로 고소설 <심청전>에 적용, 확장하여 고찰한다. <심청전>은 여러 가지 공간들이 등장하는 작품이다. <심청전>에 등장하는 여러 공간들의 관계 양상을 2장에서 살핀 유형체계를 통하여 분석하여 본다. 그리고 각 양상에 따라 이계 공간이 서사구조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 고소설에는 환상적 요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이계(異界) 공간이 빈번히 등장하는 만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더 큰 의의를 지닐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고소설에서 공간은 서사구조에 우연히 삽입된 것이 아니라 필연성을 갖고 일정한 원리에 따라 수용된 것이며. 그에 따라 각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작품 속에 구현된 공간은 결코 황당무계하거나 비합리적 사고의 결과가 아닌, 우리 민족의 세계에 대한 인식의 결정체이며 문학의 현실 대응태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object of the article is to study the appearance of materializing the space in ''Shimchng-jun'' and its narrative function. The space of ''the other world'' often appearing in the classic novel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spited of its importance. Thus, this article in having with the critical mind studied the appearance of materializing the space and its narrative function in ''Shimchng-jun.'' As a part of the study, at first, among the classic novels in general,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was being prepared through concretizing the appearance of the relation of space; and then, the method of which the results would be applied to the novel, ''Shimchng-jun'' was taken to discuss of the topic.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in the article was directed to the way as follow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ypes of the space, appeared in the Korean classic novels, were prescribed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appearance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other world were concretized in two way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of the article began from the procedure to make clear of the space types appeared in the Korean classic novels. In based on the results, the appearances of the relation of the spaces in the classic nove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closely inspected. Also,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e space of the other world, were taking what kinds of the function in the novel, was carefully inspected. In the third chapter, the result in based on theorized the concretizing system of the space in the second chapter was applied and expanded to the classic novel, ''Shimchng-jun'', and inquired. ''Shimchng-jun'' is a literature which the several types of the spaces are showed. The appearance of relation of several spaces showed in ''Shimchng-jun'' was analyzed through the concretizing system in the second chapter. Also, in according to each of the appearances, the space of the other world covering of what kind of func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was carefully inspected. Since the space of the other world was very often showed as the core element of fantasiain Korean classic novel, the study of the space might be the most meaningful. In the classic novel, the space was not accidentally insert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but it was having a necessity and was accommodated on a principled basis. Thus, it was taken in each of the important functions, in depending on the roles. Therefore, in the literatures, the materialized space, by any means, was not the result of the absurd and irrational thoughts; rather, it could be realized as the crystallized recognition of our people for the world as well as the coping attitude of the reality through the literature.
more